인공지능 활용 확대하는 지자체들…‘AI무역청’까지 등장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인공지능이 행정업무·상담에 이어
외국어 무역 서신·계약서 작성까지
지자체 예산·보안 대책 고려한
기준과 조례 제정은 남은 과제
외국어 무역 서신·계약서 작성까지
지자체 예산·보안 대책 고려한
기준과 조례 제정은 남은 과제

전국의 지방자치단체들이 행정 업무를 보는 AI의 영역을 확대하며 행정 업무 격차를 줄이고 있다. 재정자립도가 높은 지자체는 시민 편의 강화를 위해, 재정자립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지자체들은 부족한 인력 등의 보완책으로 활용 가능하다는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AI시스템 구축 과정에서 예산 분배를 위한 기준, 정보 보호를 위해 확인할 보안 항목 등이 명확하게 마련돼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AI챗봇 이어 AI무역청까지

수원형 중소기업 AI 무역청은 AI 기술을 활용해 무역 관련 업무처리를 단순화·자동화하는 플랫폼이다. 플랫폼 내에서 수출마케팅용 이미지도 만들고, 외국어 서신·계약서·회사소개서 등 무역 과정에서 필요한 행정 서류를 만들 수 있다. 또 수출 전략 컨설팅까지 받아볼 수 있을 예정이다. 내달 3일~3월 7일까지 선착순으로 모집한다.
서울시는 지난 30일 공공데이터 기반의 생성형 AI챗봇을 사용할 수 있다고 발표했다. 시 공공데이터 내에 있는 정보를 AI챗봇을 거쳐 쉽게 사용하거나 가공하는 방식이다. 또 내년까지 서울 모든 지하철역에 인공지능 폐쇄회로텔레비전(AI CCTV)를 설치해 돌발 사고 관리를 자동화하기로 했다. 특히 24시간 멈춤 없이 안전관리를 할 수 있게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한 기초단체 관계자는 "업무 자동화로 비용을 줄이고, 부족한 인력 대신 AI가 실시간으로 쉬지 않고 작업을 하고, 업무 지능화로 효율성까지 올릴 수 있다"며 "반복적인 민원 등에도 지치지 않고 응대할 수 있어 주민과의 상호작용에 긍정적이라는 시선도 많다"고 했다.
예산·보안 지킬 '잣대 마련'은 숙제
하지만 남은 과제도 있다. 바로 지자체별 AI서비스를 구축하는 예산 배분의 기준, 그리고 보안을 고려한 최소한의 점검 기준을 마련하는 것이다.또 단순한 대시민 서비스부터 지자체 공무원들이 내부적으로 사용하는 네트워크까지 AI 적용 사례가 늘면서 보안의 중요성이 더 커지고 있다는 지적도 나왔다. NIA 보고서에 따르면 2015년 런던 해크니구는 아동 보호를 위한 AI활용 프로파일링 시스템을 시험 운영했고 효과도 낼 수 있었지만, 정보공개 투명성이 떨어져 운영을 중단해야 했다.
일각에서는 관련 기준을 정하도록 'AI조례' 마련에 나서자는 움직임도 있지만 아직은 이용보다 AI산업 진흥의 관점으로 구성하는 경우가 많다.
일부 지자체는 최근부터 사후 평가나 보안대책 마련 등의 내용을 명시한 조례를 시행하기 시작했다. 경기도, 전남 신안군 등이 대표적이다.
도 뿐 아니라 시군 차원에서 여러가지 관련 조례를 제정한 경기도는 지난 20일부터 행정의 효율성과 생산성 증대, 업무 자동화 등 관련 내용을 담은 '경기도 인공지능행정 구현에 관한 조례'를 시행 중이다. 도는 해당 조례의 마지막 항목에서 '도지사가 매년 AI행정 구현 관련 사업 도입 및 운영 현황을 평가해 다시 AI행정 정책을 수립할 때 반영해야 한다'고 적고 있다.
전남 신안군도 '인공지능 기반 행정 구현에 관한 조례'를 지난달 31일부터 시행하고 조례 항목 중 하나로 '보안대책'을 제시했다. 해당 조항은 신안군수가 AI시스템이나 서비스 구축 과정에서 주요 자료와 정보의 안전한 관리를 위한 보안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다.
오유림 기자 our@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