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ESG 금융 5년간 213% 성장…1880조 돌파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국민연금 책임투자 확대 주도
민간 금융기관의 참여 확대하려면
제도적 지원 필요
민간 금융기관의 참여 확대하려면
제도적 지원 필요

한국사회책임투자포럼과 민병덕 국회의원실은 국내 금융기관의 ESG 금융 규모를 집계·분석한 2023 한국 ESG 금융백서를 발간하며 이 같은 내용을 19일 발표했다. 백서에 따르면, 2023년 말 기준 국내 금융기관의 ESG 금융 규모는 1882조 8000억 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2019년 610조 원에서 2021년 1000조 원을 돌파하며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인 결과다. 전체 금융자산(7129조 5000억 원)과 비교하면 ESG 금융이 차지하는 비중은 약 4분의 1 수준이다.
ADVERTISEMENT
공적 금융이 시장 성장 주도… 국민연금 비중 확대
2023년 ESG 금융 성장의 가장 큰 원동력은 공적 금융이었다. 공적 금융 규모는 1430조 6000억 원으로, 2019년(417조 5000억 원) 대비 242.7% 증가했다. 이는 전체 ESG 금융의 76%를 차지하는 수준이다.
ADVERTISEMENT
공적 금융이 ESG 금융 시장을 견인하는 가운데 민간 금융기관의 ESG 금융 규모도 확대되는 추세다. 민간 부문의 ESG 금융 규모는 452조 2000억 원으로 2019년 대비 146.3% 증가했다. 그러나 여전히 공적 금융 대비 절대적 규모가 낮아 민간 금융 확대를 위한 정책적 지원이 요구된다는 주문이 나온다.
박남영 한국사회책임투자포럼 책임연구원은 “국내 민간 금융기관들은 ESG 금융 목표를 수립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외부 요인과 내부 역량 부족에 따른 부담이 크다”며 “민간 ESG 금융의 성장 가능성을 고려해 정책적 지원을 확대하고, 녹색여신 관리지침 등 기존 정책의 실효성을 강화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한국사회책임투자포럼 김영호 이사장은 “최근 반(反) ESG 흐름에 대한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국내 기업과 금융기관이 지속가능한 경쟁력을 확보하려면 ESG 금융을 장기적인 관점에서 확대해야 한다”고 밝혔다. 끝으로 민병덕 국회의원은 “ESG 금융은 기업의 ESG 경영을 지원하는 마중물 역할을 할 것”이라며 “지속가능한 경제를 위해 금융권의 ESG 경영 확산이 필요하다”고 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