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에세이] 똑똑한 선택을 이끄는 힘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장영진 무역보험공사 사장
![[한경에세이] 똑똑한 선택을 이끄는 힘](https://img.hankyung.com/photo/202502/07.39080874.1.jpg)
이처럼 사회 제도가 개인과 사회 모두를 이롭게 한 사례는 금융 부문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인기 서적 <넛지>의 저자 리처드 탈러는 또 다른 저서 <행동경제학>을 통해 다음 사례를 소개한다. 모든 국민을 사회적 연금에 가입시킨 뒤 연금 가입을 원하지 않는 사람들에게는 신청이라는 적극적 조치가 있을 때만 탈퇴를 허용했더니, 연금 가입자가 대폭 늘어난 것이다. 저자는 이처럼 사회 구성원의 자유는 보장하면서도, 개인과 사회에 유익한 선택을 유도하는 방법을 ‘넛지’라고 부른다.
ADVERTISEMENT
무역보험공사도 수출 기업을 더 많이 지원하기 위해 정부예산 외 다양한 방식으로 기금을 확보하려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은행의 무역보험기금 출연을 통한 ‘수출패키지 우대금융’이 대표적이다. 무보는 기금에 출연한 은행과 해당 은행을 이용하는 수출기업 모두에 무역보험 우대 혜택을 부여했다. 이로써 무보는 기금을 확충할 수 있었고, 수출기업은 낮은 금리로 더 큰 금액의 대출을 이용하게 됐으며 출연에 참여한 은행은 더 많은 고객을 확보할 수 있었다. 은행의 기금출연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마련한 제도적 인센티브가 무보, 수출기업, 은행 모두에 득이 되는 결과로 이어졌다.
냉전 당시 소련에서 유행한 농담 하나를 소개하며 글을 맺고자 한다. “세상 사람들은 우리 핵무기를 두려워하지만 그들이 진정으로 두려워해야 할 것은 우리 경제학자들이다. 이들을 해외로 보내면 어느 나라 경제라도 무너뜨릴 수 있다.” 인센티브 없이 돌아가는 사회주의 경제의 취약성을 단적으로 드러내는 말이다. 경제가 어렵다. 예산 부담을 줄이고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한 ‘넛지’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