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경주의 테크 인사이드] 마윈 복권시킨 시진핑의 자신감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강경주 테크&사이언스부 기자
![[강경주의 테크 인사이드] 마윈 복권시킨 시진핑의 자신감](https://img.hankyung.com/photo/202502/AA.39626217.1.jpg)
![[강경주의 테크 인사이드] 마윈 복권시킨 시진핑의 자신감](https://img.hankyung.com/photo/202502/07.32217296.1.jpg)
ADVERTISEMENT
유일하게 중산복 입은 마윈
정확히 알려진 것은 없지만 중국 언론에 등장한 마윈 직함은 알리바바그룹 고문 혹은 파트너다. 아무리 중국이라지만 공식 직책도 없는 그를 시 주석은 왜 중용하려는 것일까.이에 대해선 두 가지 해석이 유력하다. 시 주석을 포함한 중국 공산당이 민간기업 사기를 올려주려는 목적으로 마윈을 활용했을 것이라는 게 첫 번째 해석이다. 중국은 미국과 패권을 다투는 중이다. 인공지능(AI), 양자컴퓨터, 반도체 등 첨단산업에서 경쟁에 뒤처지면 중국은 19세기의 굴욕을 다시 맛봐야 할 수도 있다.
ADVERTISEMENT
美의 일탈을 기회로 삼은 中
마윈이 ‘중요한 미션’을 부여받았을 것이란 추정도 나온다. 이와 관련해 마윈은 20일 알리바바 투자자 설명회에서 “앞으로 3년 동안 AI 분야에 지난 10년간 투자한 총액(약 220조원) 이상을 공격적으로 투입하겠다”고 밝혔다.알리바바가 지난달 새로운 AI 모델 ‘큐원(Qwen) 2.5-맥스’를 출시하는 등 알리바바 역시 AI 모델 개발 경쟁에 뛰어들긴 했지만 20일 마윈의 발언은 그가 손 회장과 비슷한 역할을 맡을 수 있다는 해석을 뒷받침한다. 영어 이름 ‘잭 마(Jack Ma)’를 쓰는 마윈은 영어를 자유롭게 구사할 수 있는 데다 손 회장과도 친분이 두텁다. ‘10분 만에 투자 결정을 내렸다’는 손 회장과 마윈의 만남에 관한 이야기는 지금도 회자된다.
미·중이 벌이고 있는 테크 전쟁은 아주 작은 국지전조차 그 결과가 한국에 지대한 영향을 끼칠 수밖에 없다. 특히 이웃 나라 중국의 강성은 가장 큰 위협 요인이다. 그나마 미국이 첨단 반도체칩 수출 금지 등 중국의 급소를 누르고, 중국 공산당이 기업인을 탄압하면서 시간을 벌 수 있었는데 마윈의 복권은 이 같은 기대마저 물거품이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트럼프 정부가 독재 정부를 옹호하는 등 일탈을 서슴지 않는 틈을 타 중국은 세계 각국에 친교의 손을 내밀고 있다. 그 손바닥엔 ‘중국에 투자하라’는 메모가 적혀 있을 것이다. 마윈 등 기업인을 손바닥에 올려놓은 채 미국과의 일전을 준비 중인 중국의 테크 위세가 두렵기만 하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