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1~2월 시멘트 출하량 최근 5년 중 최저 기록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1~2월 시멘트 내수 판매량 4420t
처음 4000만t대 진입했던 1991년 이후
34년만에 4000t대 이하 떨어질 듯
3월 성수기에도 내수 출하량 부진으로
업계선 가동중단으로 출하 속도 조절
시멘트 재고량 저장능력 대비 90%에 육박
처음 4000만t대 진입했던 1991년 이후
34년만에 4000t대 이하 떨어질 듯
3월 성수기에도 내수 출하량 부진으로
업계선 가동중단으로 출하 속도 조절
시멘트 재고량 저장능력 대비 90%에 육박

국내 주요 시멘트업체를 회원으로 하는 한국시멘트협회는 지난 1~2월 시멘트 내수 판매량이 전년 동기 대비 24.8% 급감한 445만t에 그쳤다고 24일 발표했다. 최근 5년동안 1~2월 내수 판매량 중 가장 낮은 수치다. 정점을 찍었던 2023년 712만t과 비교해서 2년만에 37.5%(267만t)가 감소했다.
ADVERTISEMENT
시멘트업계 관계자는 “1991년 당시 내수 4420만t과 올해 예상 내수4000만t은 단순 수치 비교 이상의 의미를 갖는다”며 “고속성장을 실현하던 1991년 당시는 생산능력(4361만t)을 초과 달성한 수요이지만 현재는 약 6200만t 생산능력 대비 내수 4000만t으로 쇠퇴기에 접어들었다는 위기감이 느껴지고 있다”고 말했다.
(가동율 64.5%, 기업경영 유지 위한 최소한의 가동율은 70%대 이상)으로 폭락한 것이라 기간산업의 위상은 오간데 없고 이젠 쇠퇴기로 접어들었다는 위기감 마저 가질 정도로 시멘트업계 임직원이 갖는 심리적 공황은 상상 이상”이라고 언급했다.
ADVERTISEMENT
한일시멘트 단양공장은 생산량 조절을 위해 지난해 하반기부터 생산라인 6기 중 2기 가동을 중단했다. 업계 전체 시멘트 생산라인 35기 중 총 8기가 가동을 멈췄고 4월 중 추가로 2기를 더 멈출 것으로 알려졌다.
시멘트업체들은 저장시설 용량 초과로 임시방편을 야적해두거나 쌓아둘 곳을 찾지 못해 추가 가동중단을 고민하고 있다. 이때문에 가동을 중단하는 생산라인이 더 늘어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알려졌다.
ADVERTISEMENT
은정진 기자 silver@hankyung.com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