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태 묻혀있었다니…경남서 '가야 유물' 무더기 발견됐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잊혀진 왕국' 가야의 타임캡슐이 열렸다
함안 가야리 '집수지' 최초 발견
김해에선 '옻칠 제기' 등 출토
유물 관리 위한 예담고 신설
함안 가야리 '집수지' 최초 발견
김해에선 '옻칠 제기' 등 출토
유물 관리 위한 예담고 신설

24일 찾은 경남 함안군 가야리 유적 발굴조사 현장. 20m에 달하는 계단식 석조 배수로 주위로 유적지를 표시하는 흰색 실선이 그어져 있었다. 부엽층과 사질층을 번갈아 쌓아 나무판자로 고정한 성벽이 배수로 양옆에 들어섰다. 460~548년 사이 조성한 것으로 추정되는 아라가야 왕성 옛터 모습이다.
ADVERTISEMENT
이날 경남 창원 국립가야문화유산연구소에선 금관가야의 도읍지인 김해 봉황동 유적에서 최근 발견한 최고급 의례용 옻칠 제기 15점을 처음 공개했다. 1세기 변한 시대의 것으로 추정되는 유물이다. 오춘영 국립가야문화유산연구소장은 “그동안 최고급 고분에서만 발견되던 옻칠 제기가 생활유적에서 발견된 첫 사례”라면서 “봉황동 일대가 금관가야 왕족의 생활공간이었다는 것을 방증한다”고 말했다.
유물들은 약 109㎡ 공간에서 집중적으로 출토됐다. 깊이 0.7m 안팎의 유기물층에서 옻칠 제기를 비롯한 300여 점의 목제품이 무더기로 나왔다. 발굴지 일대에는 배수로 또는 도랑으로 사용된 듯한 흔적이 남아 있다. 문화유산계에선 이곳에 대규모 취락이 존재했던 것으로 보고 있다.
ADVERTISEMENT
영남권역 예담고는 가야와 신라 시대 유물 등 영남권에서 발굴된 1700여 상자의 출토품에 기반한 개방형 수장고를 운영한다. 이번 개관을 기념해 아라가야 주요 유적 발굴조사 성과를 공개하는 특별전도 마련했다. 아라가야 궁성인 함안 가야리 유적, 아라가야 귀족 무덤인 함안 말이산 고분군, 아라가야 토기 가마터인 함안 우거리 유적 출토 유물 100여 점을 전시한다.
함안·창원=안시욱 기자 siook95@hankyung.com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