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감이 유행한 지난 1월  서울 중구 을지로입구역에서 마스크 자율 착용 대시민 캠페인을 벌이는 서울시 관계자들. / 사진=연합뉴스
독감이 유행한 지난 1월 서울 중구 을지로입구역에서 마스크 자율 착용 대시민 캠페인을 벌이는 서울시 관계자들. / 사진=연합뉴스
지난겨울 '독감 유행주의보' 발령 이후 빠르게 증가했다가 1월 둘째 주부터 9주 연속 감소세를 이어온 독감 환자가 다시 늘었다. 3월 개학 이후 아동·청소년들을 중심으로 '독감 유행'이 일부 다시 나타나는 모양새다.

23일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올해 11주 차(3월 9일∼15일) 전국 300개 표본 의료기관을 찾은 독감 의심 환자는 외래환자 1000명당 10.8명으로, 전주 대비 35% 늘었다.

ADVERTISEMENT

지난겨울 독감 환자는 지난해 12월 20일 유행주의보 발령 이후 빠르게 증가해 1월 첫째 주엔 2016년 이후 최고치인 1000명당 99.8명까지 치솟았다가 이후 9주 연속 감소세를 이어갔다.

일주일 전에는 1000명당 8.0명으로, 이번 절기 유행 기준인 1000명당 8.6명을 밑돌기도 했으나, 10주 만에 환자 수가 반등하면서 다시 유행 기준 위로 올라왔다.

통상 독감 유행은 12월 말에서 1월 초 무렵 정점을 찍은 후 3월 개학 무렵에 다시 소폭 반등하는 양상을 보인다.

ADVERTISEMENT

연령별로 보면 13∼19세에서는 1000명당 29.5명, 7∼12세에선 1000명당 27.6명으로, 다른 연령대보다 아동·청소년들 사이에서 독감 의심 환자가 많이 나왔다. 이는 일주일 전 대비 각각 84.4%, 41.5% 급증한 수치다.

보건당국은 아직 유행주의보가 해제되지 않은 독감 외에도 수두, 유행성이하선염, 백일해 등 감염병 역시 새 학기를 맞은 아동·청소년들이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한편, 독감 유행주의보는 의심 환자 비율이 유행 기준 미만으로 2주 이상 지속되면 전문가 자문을 거쳐 해제된다.

이보배 한경닷컴 객원기자 newsinf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