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론] 물 건너간 연금 구조개혁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구조개혁 실종된 연금개편안
근본 해결책 외면하는 야당
유경준 前 통계청장
근본 해결책 외면하는 야당
유경준 前 통계청장
![[시론] 물 건너간 연금 구조개혁](https://img.hankyung.com/photo/202503/07.37915580.1.jpg)
그러나 지난 21대 국회에서 연금개혁을 진행해 온 필자의 입장에서는 이번 안에서도 연금개혁의 본질인 구조개혁(기초연금, 퇴직연금, 개인연금을 국민연금과 통합 또는 연계해 노후생활 보장을 체계적으로 구축하는 것)이 또다시 무산돼 실망스러움을 금할 수 없다. 즉, 이번 안이 지속 가능성 측면에서도 기존 안과 별반 차이가 없는 기득권 보호에 치중한 안이라는 점이 기본적인 문제다. 이번 모수개혁을 하고 난 뒤 다시 구조개혁을 합의하면 되지 않느냐는 생각은 정말 순진한 희망사항일 뿐이다.
ADVERTISEMENT
또한 기득권을 보호하기 위한 지급 보장은 명문화했는데 그와 대칭적 제도이자 미래 세대를 위한 연금재정의 자동안정화 장치는 빠졌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선진국 38개국 중 3분의 2 정도가 채택한 자동안정화 장치는 인구나 경제 상황에 따라 연금액을 조정해 연금의 지속 가능성을 높이는 수단인데 아예 빼 버린 것이다.
출산과 군 복무 크레디트 부분도 문제인데 개편안에는 재원 조달 방법이 보이지 않는다. 크레디트를 위한 추가 재정 소요는 향후 70년간 약 300조원에 달할 것으로 추정된다. 국가에서 재정으로 지원하지 않으면 기금 고갈 시점이 기존 예상치보다 8∼9년 정도 더 짧아질 수밖에 없다는 분석이 나온다.
ADVERTISEMENT
마지막으로 이번 개편으로 향후 연금 구조개혁은 더욱 불가능해졌다는 점을 인지해야 한다. 그 이유는 지난 37년 동안 한국에서 구조개혁이 사실상 없었으며, 연금개혁을 주도해 온 더불어민주당의 개혁안에서도 이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다.
국민연금 개혁의 역사는 1998년 김대중 정부와 2007년 노무현 정부 때 보험료율을 3%에서 9%로 인상하고, 70%인 소득대체율을 40%로 낮춘 것과 2014년 박근혜 정부 때 기초연금을 도입한 것이 전부다.
문재인 정부 때는 구조개혁은 아예 없는 모수개혁의 네 가지 안을 가지고 변죽만 울리다가 결국 아무것도 하지 않았다. 따라서 민주당 연금개혁안에는 ‘일관되게’ 구조개혁안은 아예 없었으며, 그리하여 연기금이 고갈되면 국가재정(세금)을 투입하는 전형적인 표퓰리즘이 내포돼 있음을 깨달아야 한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