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기동 중앙재안안전대책본부장이 25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울산·경북·경남 산불대응 중대본 4차 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 사진=행안부 제공
고기동 중앙재안안전대책본부장이 25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울산·경북·경남 산불대응 중대본 4차 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 사진=행안부 제공
정부가 산불 확산 방지와 인명 보호를 위해 총력 대응에 나섰다. 행정안전부는 25일 오전 8시 30분 정부서울청사에서 고기동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장(행안부 재난안전관리본부장) 주재로 울산·경북·경남 산불 대응을 위한 중대본 4차 회의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회의에는 산림청, 소방청, 경찰청, 기상청, 교육부, 국방부, 문화체육관광부, 산업통상자원부, 보건복지부, 국토교통부, 국가유산청 등 관계 부처는 물론 한국전력공사, 한국도로공사, 17개 시·도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ADVERTISEMENT

이날 오전 7시 기준으로 전국에서 발생한 산불 중 4건이 여전히 진행 중이다. 산불은 경남 산청·하동, 경북 의성, 울산 울주, 경남 김해 등에서 이어지고 있으며, 평균 진화율은 88% 수준이다.

경북 의성은 진화율이 55%로 가장 낮고, 경남 산청·하동은 88%, 울산 울주는 98%, 김해는 99%까지 진화가 진행됐다. 충북 옥천 산불은 진화가 완료됐다. 이번 산불로 영향을 받은 산림 면적은 의성 1만2565ha, 산청·하동 1557ha, 울주 435ha, 김해 97ha 등이다.

이번 산불은 봄철 건조한 날씨와 강풍이 겹치며 빠르게 확산됐다. 전문가들은 최근 잇따른 대형 산불의 주요 원인으로 고온건조한 기후와 인적 요인을 꼽는다. 정부는 기상청 등과 협력해 산불 고위험 지역에 대한 사전 모니터링을 강화할 방침이다.

ADVERTISEMENT

산림청은 “가용 가능한 헬기 110대를 총동원해 진화 작업을 벌이고 있다”며 “민가 인근에는 지연제를 살포해 불길 확산을 저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소방청 역시 전국 소방자원을 집중 투입해 산불 영향권에 있는 민가를 보호하는 데 중점을 두고 진화에 나서고 있다. 행정안전부 관계자는 “인명 피해 방지를 최우선으로 두고 대처하고 있다”고 전했다.

도로통제와 주민대피 등 선제적 안전조치도 시행되고 있다. 현재 서산영덕고속도로 북의성IC에서 영덕 톨게이트 구간은 양방향 전면 통제 중이다. 통제는 전날 오후 3시 35분부터 시행됐다.

ADVERTISEMENT

정부는 피해지역에 대한 신속한 지원을 위해 특별재난지역 선포도 단행했다.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은 전날 울산 울주군, 경북 의성군, 경남 하동군을 특별재난지역으로 추가 지정했다. 이에 따라 해당 지역은 정부 차원의 재정 지원과 피해 복구 절차가 신속히 이뤄질 예정이다.

고기동 본부장은 “산불 진화 헬기가 대형 산불 발생 지역에 집중 투입될 수 있도록 타 지역에서는 산불 예방활동에 철저히 임해달라”고 당부했다. 이어 “대형 산불에 정부의 모든 가용 자원이 집중될 수 있도록 국민 여러분께서도 산불 예방에 함께해주시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권용훈 기자 fac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