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대생들의 복귀 시한이 다가오면서 대규모 제적 사태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사진은 20일 서울 시내의 한 의과대학. 연합뉴
의대생들의 복귀 시한이 다가오면서 대규모 제적 사태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사진은 20일 서울 시내의 한 의과대학. 연합뉴
미등록 의대생들에 대한 '무더기 제적'이 현실화될 조짐을 보이자 뒤늦게 추가 복학 절차를 문의하는 의대생들이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고려대 의대는 지난 21일까지 등록을 마감한 데 이어 등록자들을 대상으로 26일까지 복학 신청을 받았다. 미등록자 뿐만 아니라 이날 복학 신청을 하지 않은 학생들에게도 28일 최종적인 제적 통보서가 발송될 예정이다. 고려대는 이미 지난 21일 미등록 제적 예정 통보서를 발송한 바 있다.

ADVERTISEMENT

제적 예정 통보서가 날아간 이후 학교에는 "등록 기한을 연장해 달라"는 문의 전화가 쏟아져 행정 업무에 차질을 빚을 정도였다고 한다. 의대 학장단은 긴급 회의를 열고 제적에 앞서 원하는 학생들은 27일 의대 교수들과 면담 신청을 할 수 있도록 안내했다. 면담 신청자는 200명이 넘는 것으로 알려졌다.

고대 의대 관계자는 "해당 면담이 제적에 대한 '구제 절차'인 것은 아니다"라면서도 "면담 결과를 종합해 본교 등과 협의해 최종적인 의사결정이 이뤄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24일 복학 신청을 마감한 전남대에서도 추가 복학 절차에 대한 문의가 이어진 것으로 알려졌다. 대학 측은 마감 이후의 복학 신청 건을 승인할 수 있는지 내부 규정을 검토 중이다.

ADVERTISEMENT

의대생 내부에서 처음으로 '복귀 존중' 입장문이 나오기도 했다. 김다은 제35대 고려대 의예과 학생회장 등 5명의 학생대표는 지난 25일 "서로를 감시하고 비난하는 것은 이 사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되지 않는다"며 "더 이상 불필요한 시선 없이 자신의 거취를 결정할 자유를 충분히 보장받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런 목소리가 복귀 마감을 앞둔 의대생의 결정에 영향을 줄지 주목된다. 27일이 복귀 마감 시한인 서울대 의대생들은 26일 밤 복귀 여부를 결정하는 투표를 거친다. 이들은 등록과 휴학 여부를 놓고 의견을 수렴할 것으로 알려졌다. 서울대 의대생들은 지난 1월에도 복학 여부를 두고 비공개 투표를 했다. 당시 복귀 찬성 의견은 23%로 지난해(17%)보다 많아졌다.
고재연/이미경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