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관세의 '긴 그림자' 경고한 연준 관계자들 "인플레 길어지면 더 제한적 통화정책 가능" [Fed워치]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Fed 연구서 실효관세율 10% 가정시
직접 효과로 인플레 0.5%P 상승, 간접 효과로 0.7%P 상승 전망
직접 효과로 인플레 0.5%P 상승, 간접 효과로 0.7%P 상승 전망

지난 주 연준 통화정책 결정회의가 끝나고 파월 의장은 인플레이션 효과가 일시적일 것이라고 언급했습니다. 시장은 이를 완화적인 신호로 받아들였는데요. 무살렘 총재의 발언은 파월 의장의 발언이 너무 낙관적이었다고 지적한 셈입니다.
ADVERTISEMENT
금리를 현 수준에서 유지하거나 심지어 더 올리는 것도 가능하다고 말한 겁니다. 물론 노동시장이 약화되고, 인플레가 안정되거나 완화된다면, 금리를 더 낮출 수도 있다고 덧붙이긴 했지만, 전체적인 취지는 관세 정책이 생각보다 인플레에 더 오래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쪽에 기울어 있었습니다.
무살렘 총재는 그러면서 연준 직원들의 연구를 소개했는데요, 미국의 실효 관세율이 10% 상승하면 물가상승률이 1.2%포인트까지 높아질 수 있다는 내용이었습니다. 이 중에서 직접 관세효과는 0.5%포인트지만, 간접 관세효과, 아까 말씀드린 2차 효과는 0.7%포인트로 더 클 것으로 예상됐습니다. 이렇게 되면 연준의 2% 인플레이션 목표치를 달성하기는 쉽지 않아질 수 있다는 것입니다.
ADVERTISEMENT
카시카리 총재는 관세로 인한 효과가 실제로 영향을 주는 것도 있지만 가계와 기업의 심리를 위축시키는 부분을 지적했습니다. 경제 주체들이 돈쓰기를 망설이게 만들 수 있다는 겁니다. 무역 불확실성으로 인한 신뢰도 하락이 오래 지속될수록 경제 활동에 미치는 영향이 더 커질 것이라고 했는데요. 이 불확실성이 해소되면 신뢰도도 빠르게 회복될 수 있다는 단서를 붙이기는 했습니다만, 전체적으로는 무살렘 총재와 마찬가지로 관세가 일회성 이벤트는 아닐 것이라는 쪽에 기울어 있었습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