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청 공중진화대와 산불재난특수진화대가 26일 밤부터 27일 새벽 사이 경남 산청군 시천면 동당리 일대에서 민가와 지리산을 지키기 위해 산불과 사투를 벌이고 있다. 산림청 제공
산림청 공중진화대와 산불재난특수진화대가 26일 밤부터 27일 새벽 사이 경남 산청군 시천면 동당리 일대에서 민가와 지리산을 지키기 위해 산불과 사투를 벌이고 있다. 산림청 제공
경북 의성에서 시작된 산불이 안동, 영덕, 영양, 청송 등 인근 지역으로 급속히 확산되면서 피해 규모가 서울 면적(6만ha)의 약 60%을 넘어섰다. 27일 오전 9시 기준 산불 영향구역은 3만6009㏊로 이미 2000년 동해안 산불(2만3794㏊)을 훌쩍 넘어 역대 최대 산림 피해가 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진화율도 급감하고 있다. 일부 지역에선 진화율이 10%대로 떨어지며 사실상 화세(불의 기세)를 제대로 잡지 못하는 상황이다. 이날 전국적으로 비가 예보됐지만, 경북에는 5㎜ 안팎의 적은 강수량만 예상돼 진화에는 큰 도움이 되지 않을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전국 곳곳에 산불이 이어지고 있는 27일 경북 의성군 고운사에서 연기가 피어오르고 있다. 이번 산불로 국가지정 문화유산 보물로 지정된 고운사 가운루와 연수전 등이 전소됐다. 뉴스1
전국 곳곳에 산불이 이어지고 있는 27일 경북 의성군 고운사에서 연기가 피어오르고 있다. 이번 산불로 국가지정 문화유산 보물로 지정된 고운사 가운루와 연수전 등이 전소됐다. 뉴스1
27일 경북 청송군 서산영덕고속도로 청송휴게소(상주방향)가 산불에 폐허가 돼 있다. 연합뉴스
27일 경북 청송군 서산영덕고속도로 청송휴게소(상주방향)가 산불에 폐허가 돼 있다. 연합뉴스

ADVERTISEMENT

산불 피해, 사망자만 26명…이재민 3만 명 넘어

행정안전부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경북 산불로 인한 사망자는 26명, 중경상자는 30명으로 잠정 집계됐다. 이 중 22명이 경북 지역에서 발생해 가장 많은 인명 피해가 집중됐다. 산불로 인한 대피 인원은 총 3만7185명으로, 이 중 약 2만여 명은 귀가했지만 나머지는 여전히 대피 중이다.

주택과 공장, 문화재, 차량 등 시설물 피해도 325건에 이른다. 가장 큰 피해를 입은 곳은 의성으로 1만2685㏊의 산림이 불탔다. 이어 영덕이 7819㏊, 청송이 5000㏊를 기록했다. 영덕군은 자체 집계로만 2만㏊ 이상이 불탔다고 발표했으나 이 수치는 중앙정부 집계에는 포함되지 않았다.
전국 곳곳에 산불이 이어지고 있는 27일 오전 경북 안동시 시내가 산불 연기와 안개로 뿌옇게 보이고 있다. 뉴스1
전국 곳곳에 산불이 이어지고 있는 27일 오전 경북 안동시 시내가 산불 연기와 안개로 뿌옇게 보이고 있다. 뉴스1
진화율은 여전히 낮은 수준이다. 27일 오전 기준 경북 영덕의 진화율은 10%, 영양은 18%에 그쳤다. 의성(54%), 안동(52%) 역시 절반을 겨우 넘긴 수준이다. 청송은 77%로 비교적 진척이 있었지만, 확산세가 꺾였다고 보기는 어렵다는 평가다.

경남 산청·하동 지역은 다시 확산세를 보이고 있다. 전날 1685㏊였던 산불 영향구역은 이날 1894㏊로 확대됐고, 진화율은 87%에서 77%로 떨어졌다. 울산 울주 온양읍 산불도 494㏊에서 886㏊로 면적이 늘었고, 진화율은 92%에서 68%로 낮아졌다.
육군 치누크 헬기(CH-47)가 경북 의성군 안계면 일대 야산에 발생한 산불을 진화하고 있다. 육군 제공
육군 치누크 헬기(CH-47)가 경북 의성군 안계면 일대 야산에 발생한 산불을 진화하고 있다. 육군 제공

ADVERTISEMENT

“5㎜ 비라도 고마운 상황”…헬기 투입도 지연

기상청은 27일 오후까지 전국에 비가 내리고, 남부지방과 제주도는 밤까지 비가 이어질 것으로 예보했다. 산불 피해가 집중된 경북 지역에는 5㎜ 안팎의 강수량이 예상된다.

산림당국은 이날 일출과 동시에 진화작업을 재개했지만, 기상 여건 악화로 헬기 투입은 다소 지연되고 있다. 안동시 산불 진화현장에 투입된 강모 소방관은 “적은 양이라도 비가 내려 산불 확산을 억제해주길 바라고 있다”고 말했다.

권용훈 기자 fac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