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학교 의과대학 학장단이 소속 의대생들에게 제시한 복귀 시한일인 27일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에서 시민들이 오가고 있다./ 사진=뉴스1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학장단이 소속 의대생들에게 제시한 복귀 시한일인 27일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에서 시민들이 오가고 있다./ 사진=뉴스1
연세대에 이어 서울대 의대 학생들이 27일 일제히 '1학기 등록' 방침을 정했다. 다른 대학 의대생들의 결정에도 영향을 줄지 주목된다.

이날 의료계에 따르면, 서울대 의대 의정갈등 대응 태스크포스(TF)가 전날 밤부터 학생을 대상으로 투표를 진행한 결과 3분의 2가량이 등록에 찬성했다.

ADVERTISEMENT

'미등록 휴학으로 투쟁을 지속할 의향이 있는지'에 대한 질문에 총 응답자 645명 중 기존에 휴학이 승인된 38명을 제외한 607명의 65.7%(399명)가 '아니오'를 택했다. 미등록을 이어가겠다는 응답은 34.3%(208명)에 그쳤다.

이에 TF는 "미등록 휴학으로 투쟁을 이어 나가는 것이 실질적으로 불가능하다고 판단해 등록 후 투쟁 방식을 채택하는 것으로 결정했다"며 "금일 오후 2시까지 복학원 제출 및 수강신청을 통해 등록 절차를 마무리해달라"고 밝혔다. 서울대 의대 1학기 등록 마감은 이날 오후 5시다.

전날 서울대 의대 학장단은 학생들에게 이날을 마지노선으로 제시하며 "27일 이후에는 모든 결정이 비가역적으로 의대 학장단의 통제를 벗어나며 '학생 보호'라는 의대의 원칙, 의지와 전혀 다른 심각한 상황을 맞이할 수도 있다"고 복귀를 호소했다.

ADVERTISEMENT

연세대 의대 학생 비상시국대응위원회도 전날 1학기 휴학 방식을 '등록 휴학'으로 전환한다고 공지한 바 있다. 연세대는 지난 21일 이미 등록을 마감했으나, 학교 측은 28일 최종 제척 처리를 앞두고 문을 열어뒀다.

다만 전체 의대생 단체는 일단 '미등록 투쟁'을 이어간다는 입장이다.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학생협회(의대협)은 이날 서울대와 연세대를 제외한 38개 의대 대표 명의 입장문을 내고 "투쟁이 끝난 것이 아니다"라며 "서울대와 연세대 일부의 동요가 있었지만, 나머지 38개 단위는 여전히 미등록을 유지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들은 가장 먼저 '등록 거부'에서 '등록 후 휴학 또는 수업거부'로 방향을 선회를 결정한 연세대를 향해 "타 학교 학생들을 위협하고 있다"며 "연세대 대의원의 독단적 행동으로 제적 협박이 더욱 거세질 것"이라고 했다.

ADVERTISEMENT

한편, 이날 의대생 복귀 신청 접수를 마감하는 대학은 서울대 외에도 이화여대, 부산대, 동국대 등이 있다.

이슬기 한경닷컴 기자 seulk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