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플러스 회생채권, 2.7조 유통업 '최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유동성 위기로 회생 절차를 밟고 있는 홈플러스의 회생채권 규모가 약 2조7000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유통업계 역대 최대 규모로, 자산유동화전자단기사채(ABSTB) 상환 등 산적한 과제 해결에 난항이 예상된다.
서울회생법원 제4부(재판장 정준영 법원장)는 11일 홈플러스의 채권자 목록을 공개했다. 전체 채권 규모는 2조6961억원이며, 회생담보권은 4건 269억원, 회생채권은 2894건 2조6691억원어치다. 이는 지난해 티몬·위메프 회생채권(1조2187억원)의 두 배가 넘는 규모다. ‘사기 발행’ 논란으로 법정 공방을 낳고 있는 ABSTB를 비롯해 담보신탁채권, 대여금채권, 기업어음(CP) 등 다양한 유동화 상품이 포함됐다. 채권 목록에서 누락됐거나 금액이 다를 경우 채권자들은 4월 24일까지 법원에 신고해야 한다.
채권 규모는 구체화됐지만 자금 확보 방안은 여전히 불투명하다. 특히 4600억원어치 ABSTB 상환 계획이 마련되지 않아 투자자들의 불안이 커지고 있다. 최대주주인 김병주 MBK파트너스 회장은 최근 600억원 차입금에 지급보증을 서고 별도로 수백억원을 증여했으나, 이 자금은 소상공인 결제 대금 상환에만 사용됐고 ABSTB 투자자에 대한 직접 보상은 포함되지 않았다.
더구나 DIP(기업회생절차 중 자금조달) 파이낸싱으로 조달된 이 자금이 공익채권으로 분류돼 일반 채권보다 우선 변제될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논란이 일고 있다. 이에 법원이 변제 순위를 조정하는 방안을 고려할 것으로 예상된다.
황동진 기자 radhwang@hankyung.com
서울회생법원 제4부(재판장 정준영 법원장)는 11일 홈플러스의 채권자 목록을 공개했다. 전체 채권 규모는 2조6961억원이며, 회생담보권은 4건 269억원, 회생채권은 2894건 2조6691억원어치다. 이는 지난해 티몬·위메프 회생채권(1조2187억원)의 두 배가 넘는 규모다. ‘사기 발행’ 논란으로 법정 공방을 낳고 있는 ABSTB를 비롯해 담보신탁채권, 대여금채권, 기업어음(CP) 등 다양한 유동화 상품이 포함됐다. 채권 목록에서 누락됐거나 금액이 다를 경우 채권자들은 4월 24일까지 법원에 신고해야 한다.
ADVERTISEMENT
더구나 DIP(기업회생절차 중 자금조달) 파이낸싱으로 조달된 이 자금이 공익채권으로 분류돼 일반 채권보다 우선 변제될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논란이 일고 있다. 이에 법원이 변제 순위를 조정하는 방안을 고려할 것으로 예상된다.
황동진 기자 radhwang@hankyung.com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