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AI 투자 100조원 시대 열어 3대 강국으로 도약"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첫 공개 일정으로 퓨리오사AI 방문
'경제 성장' 비전으로 AI 강국 제시
"국가 AI 데이터 클러스터 조성하고
글로벌 각 국과 AI 공동 투자 조성"
"지역 대학에 AI 단과대 설립 목표
AI 규제 합리화…AI 특구도 마련"
"한국형 챗GPT, 전국민 무료 제공"
'경제 성장' 비전으로 AI 강국 제시
"국가 AI 데이터 클러스터 조성하고
글로벌 각 국과 AI 공동 투자 조성"
"지역 대학에 AI 단과대 설립 목표
AI 규제 합리화…AI 특구도 마련"
"한국형 챗GPT, 전국민 무료 제공"

이 전 대표는 이날 페이스북에 올린 정책 발표문을 통해 “AI는 동시대 세계 경제 판도를 바꿀 ‘게임 체인저’”라며 “대한민국은 이제 추격 국가가 아니라, 첨단 과학 기술로 세계의 미래를 설계하는 선도 국가여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K-AI가 필수인 까닭”이라고 덧붙였다.
ADVERTISEMENT
이와 함께 이 전 대표는 ‘국가 AI 데이터 집적 클러스터’를 조성하겠다고도 했다. 그는 “AI 핵심 자산인 그래픽처리장치(GPU)를 최소 5만개 이상 확보하고, AI 전용 신경망처리장치(NPU) 개발·실증을 지원해 기술 주권을 확보하겠다”며 “기업의 연구·개발 지원을 위한 공공 데이터도 민간에 적극 개방하겠다”고 했다. 각 국에선 ‘AI 붐’으로 엔비디아 GPU ‘품귀 현상’이 빚어지고 있는데, 국가가 나서서 해결하겠다는 얘기다.
이 전 대표는 국내뿐 아니라 각 국과의 AI 협력 모델을 제시했다. 그는 “글로벌 AI 공동투자기금을 조성하고, 협력국 간 공용으로 사용 가능한 기술을 개발하겠다”며 “이를 기반으로 태평양, 인도, 중동 국가까지 협력이 확대돼 다국적 데이터 활용이 가능해지면, 디지털 인구가 10억 명까지 늘어날 수 있다”고 했다.
ADVERTISEMENT
AI 규제를 완화하겠다는 계획도 내놨다. 이 전 대표는 “기업이 불필요한 규제에 시달리지 않고 온전히 기술 개발에 몰두할 수 있도록 AI 관련 규제를 합리화하겠다”며 “AI 산업 생태계 조성 관련법을 정비하고, 특허법 출입국관리법 등 규제 특례가 적용될 ‘AI 특구’도 확대하겠다”고 했다.
이 전 대표는 ‘한국형 챗GPT’을 전 국민에게 무료로 제공하겠다고 제안했다. 그는 “국민 모두가 선진국 수준의 AI를 무료로 활용할 수 있게 ‘모두의 AI’ 프로젝트를 추진하겠다”며 “이른바 ‘한국형 챗GPT’를 전 국민이 사용하게 된다면 순식간에 수많은 데이터를 쌓을 수 있다”고 했다. 그는 “AI로 금융·건강·식량·재난 리스크를 분석해 국민의 삶을 지키는 ‘AI 기본사회’를 만들겠다”며 “AI를 통해 워라밸을 가능케하고, 안전 사회를 실현하겠다”고 말했다.
김형규 기자 khk@hankyung.com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