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플 심미안에 든 현대차의 전기차 경쟁력…사상 최고가 '축포'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현대차-애플 '전기차 동맹' 검토에 주가 연일 강세 [분석+]
▽ "현대차, 애플에게 매력적인 협력 대상"
▽ E-GMP 기술력·미래 모빌리티 혁신 행보
▽ "현대차, 애플에게 매력적인 협력 대상"
▽ E-GMP 기술력·미래 모빌리티 혁신 행보
애플이 현대자동차에 '러브콜'을 보내며 자율주행 전기자동차 동맹에 대한 세간의 관심이 뜨겁다. 업계에서는 현대차가 완성한 전기차 전용 플랫폼 E-GMP와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의 혁신 행보가 빚은 성과라는 평가가 나온다. 양사 동맹에 대한 기대감이 실리며 현대차 주가는 사상 최고가를 경신했다.
11일 업계에 따르면 현재 진행 중인 애플과 현대차의 협업 논의는 애플의 제안으로 시작된 것으로 알려졌다.
애플은 공식적으로 전기차 시장에 진출한다고 언급한 바 없지만 자동차 업계에서는 기정 사실로 받아들이고 있다.
애플은 2014년 '타이탄 프로젝트'로 전기차 개발에 나선 바 있다. 하지만 2017년께 애플의 실적 저조와 테스트 차량 사고 등이 겹치며 프로젝트는 잠정 중단됐고 관련 인력들은 대거 정리해고됐다. 이후 2018년 테슬라의 수석 엔지니어이던 더그 필드를 부사장으로 영입하며 타이탄 프로젝트가 재기동됐고, 지난해에는 TSMC와 인공지능(AI) 자율주행 시스템칩을 공동개발한다는 소식도 전해졌다.
과거 비용과 효율성 문제를 겪었던 만큼 애플이 차량을 직접 생산하기보다는 검증된 완성차 업체와 협업할 것이라는 관측이 우세하다. 일부 완성차 제조사와 부품·조립업체 등은 이미 애플과의 협업에 큰 관심을 드러냈다. 애플과 협력이 이뤄질 경우 거대한 전자기기(IT)로 변모하고 있는 전기차 시장에서 우위를 점할 수 있다는 계산 때문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애플은 협력의 대상으로 현대차에 손을 내밀었다. PC와 스마트폰 등에서 '게임 체인저'로 확고한 입지를 갖춘 애플이 전통적인 제조 기업에서 모빌리티 솔루션 기업으로 탈바꿈을 추진하는 현대차의 잠재력을 먼저 알아본 셈이다. 업계는 애플이 현대차에 협력을 타진했다는 사실에 놀라움을 감추지 못하면서도 현대차가 기술력과 유연성에 강점이 크다고 평가한다.
현대차는 올해 전용 플랫폼 E-GMP 기반 전기차 아이오닉 5를 선보일 예정이다. E-GMP는 전기차만을 위한 플랫폼이다. 기존 전기차는 내연기관 자동차의 뼈대를 그대로 사용하면서 전기 모터와 배터리를 엔진과 연료탱크 위치에 억지로 끼워넣는 방식으로 제작됐다. 따라서 전기차의 성능을 모두 끌어낼 수 없는 구조적 한계를 안고 있었다. E-GMP는 내연기관 플랫폼과 달리 바닥을 평평하게 만들 수 있고 엔진과 변속기, 연료탱크 등이 차지하던 공간이 사라져 실내 공간 활용성을 크게 높였다. 1회 충전으로 국내 기준 500km 이상 주행할 수 있으며, 800V 충전 시스템을 기본으로 지원해 초고속 급속충전기 이용시 18분 이내 80% 충전도 가능하다. 5분 충전으로 100km를 주행할 수 있는 전기차의 시대가 열리는 셈이다. 자율주행, 고성능 EV, V2G(차량에 남은 전력을 외부로 보내 사용하는 기능) 등 미래 모빌리티 시장에 등장할 기능도 적용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모듈화·표준화된 통합 플랫폼 E-GMP는 필요에 따라 단기간에 전기차 라인업을 늘릴 수 있다는 강점도 있다. E-GMP는 현대차가 미국 전기차 전문 기업 카누와 공동 개발한 스케이트보드 형태를 갖춘 것으로 알려졌다. 하부 배터리 탑재에 따라 플랫폼 길이를 자유롭게 확장할 수 있고, 다양한 구조의 차체 상부를 장착할 수 있다. 하나의 플랫폼으로 소형 세단부터 대형 SUV까지 만들 수 있는 것. 신차 개발 공정이 단순화되고 시간도 단축되는 효과를 낳는다. 미래 모빌리티에 대한 현대차의 적극적이고 유연한 시각도 장점이다. 현대차는 미래 전기차가 이동수단을 벗어나 개인화된 맞춤형 공간으로 탈바꿈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현대차는 △슈즈케어기 △커피머신 △의류케어기 △플렉서블 올레드 디스플레이 등을 탑재한 아이오닉 콘셉트 캐빈을 선보인 바 있다. 세계 곳곳의 유망 스타트업에 투자하며 관련 기술을 확보했고, 자동차라는 형태에서 벗어난 도심항공모빌리티(UAM), 전동킥보드 기반 라스트마일 모빌리티 서비스 등에도 팔을 걷어부쳤다. 미래 전기차에 대한 애플의 상상력을 온전히 수용할 능력이 있는 제조사인 것이다.
높은 수준의 자율주행 기술도 갖췄다. 현대차그룹은 2022년 양산차에 레벨3 수준의 부분 자율주행 기술을 적용하고 2023년 로보택시 등 자율주행 상용화 서비스 사업을 추진한다. 자율주행 합작사 ‘모셔널’을 통해 미국 네바다주 공공도로에서 레벨4 무인 자율주행을 실험하고, 2023년 미국 주요 지역에서 자율주행 상용화 서비스를 선보일 예정이다. 완성차 제조사와 손을 잡으려는 애플이 현대차를 마다할 이유가 없는 셈이다. 애플과의 협력 가능성이 부상하며 현대차 주가도 신고가를 경신했다. 현대차 주가는 이날 장중 28만9000원을 기록하며 9년 만에 신고가를 갈아치웠다. 오전 11시 30분 기준 전날보다 9.55% 상승한 26만9500원을 기록 중이다. 3거래일 연속 상승세를 이어가 유가증권시장 시가총액 4위(우선주 제외)에도 올랐다.
선택권을 쥔 현대차는 애플과의 협업 득실을 따지고 있는 상황이다. 현대차가 제조개발생산(ODM) 방식으로 애플의 전기차를 만든다면 아이폰을 만드는 폭스콘과 같이 하청업체로 전락할 가능성이 있다. 이는 전기차 시장을 선도하겠다는 현대차의 전략에도 어긋난다. 협력 생산한 전기차에 탑재하는 소프트웨어를 애플이 담당한다면 자체 소프트웨어 경쟁력이 떨어질 가능성도 있다. 전기차에서 나오는 주행 관련 빅데이터를 누가 관리하고 어떻게 공유할 지도 관건이다. 자동차 시장에서 주행 데이터의 중요성은 점차 높아지고 있다. 자율주행 성능을 높이는 것은 물론이고 IT 플랫폼으로 진화하는 전기차에서는 새로운 시장을 개척할 무기가 되기 때문이다. 애플이 데이터를 독점하려 한다면 현대차 입장에서는 협업을 하지 않는 편이 나은 선택일 수도 있다는 분석이 나오는 이유다.
김준성 메리츠증권 연구원은 "차량 판매를 늘리는 것은 디바이스 보급 확대를 통한 데이터 확보량 증가와 확보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발현된 서비스 비즈니스를 적용할 사용자 증대를 의미한다”고 강조했다.
한 자동차 업계 관계자는 "과감한 투자를 지속하는 정 회장의 공격적인 행보에 협업 가능성을 봤을 것"이라면서도 "협업이 무조건 이득이라는 보장은 없다. 폭스콘과 같은 생산하청으로 전락한다면 득보다 실이 많다"고 말했다.
오세성 한경닷컴 기자 sesung@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
11일 업계에 따르면 현재 진행 중인 애플과 현대차의 협업 논의는 애플의 제안으로 시작된 것으로 알려졌다.
애플은 공식적으로 전기차 시장에 진출한다고 언급한 바 없지만 자동차 업계에서는 기정 사실로 받아들이고 있다.
애플은 2014년 '타이탄 프로젝트'로 전기차 개발에 나선 바 있다. 하지만 2017년께 애플의 실적 저조와 테스트 차량 사고 등이 겹치며 프로젝트는 잠정 중단됐고 관련 인력들은 대거 정리해고됐다. 이후 2018년 테슬라의 수석 엔지니어이던 더그 필드를 부사장으로 영입하며 타이탄 프로젝트가 재기동됐고, 지난해에는 TSMC와 인공지능(AI) 자율주행 시스템칩을 공동개발한다는 소식도 전해졌다.
과거 비용과 효율성 문제를 겪었던 만큼 애플이 차량을 직접 생산하기보다는 검증된 완성차 업체와 협업할 것이라는 관측이 우세하다. 일부 완성차 제조사와 부품·조립업체 등은 이미 애플과의 협업에 큰 관심을 드러냈다. 애플과 협력이 이뤄질 경우 거대한 전자기기(IT)로 변모하고 있는 전기차 시장에서 우위를 점할 수 있다는 계산 때문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애플은 협력의 대상으로 현대차에 손을 내밀었다. PC와 스마트폰 등에서 '게임 체인저'로 확고한 입지를 갖춘 애플이 전통적인 제조 기업에서 모빌리티 솔루션 기업으로 탈바꿈을 추진하는 현대차의 잠재력을 먼저 알아본 셈이다. 업계는 애플이 현대차에 협력을 타진했다는 사실에 놀라움을 감추지 못하면서도 현대차가 기술력과 유연성에 강점이 크다고 평가한다.
현대차는 올해 전용 플랫폼 E-GMP 기반 전기차 아이오닉 5를 선보일 예정이다. E-GMP는 전기차만을 위한 플랫폼이다. 기존 전기차는 내연기관 자동차의 뼈대를 그대로 사용하면서 전기 모터와 배터리를 엔진과 연료탱크 위치에 억지로 끼워넣는 방식으로 제작됐다. 따라서 전기차의 성능을 모두 끌어낼 수 없는 구조적 한계를 안고 있었다. E-GMP는 내연기관 플랫폼과 달리 바닥을 평평하게 만들 수 있고 엔진과 변속기, 연료탱크 등이 차지하던 공간이 사라져 실내 공간 활용성을 크게 높였다. 1회 충전으로 국내 기준 500km 이상 주행할 수 있으며, 800V 충전 시스템을 기본으로 지원해 초고속 급속충전기 이용시 18분 이내 80% 충전도 가능하다. 5분 충전으로 100km를 주행할 수 있는 전기차의 시대가 열리는 셈이다. 자율주행, 고성능 EV, V2G(차량에 남은 전력을 외부로 보내 사용하는 기능) 등 미래 모빌리티 시장에 등장할 기능도 적용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모듈화·표준화된 통합 플랫폼 E-GMP는 필요에 따라 단기간에 전기차 라인업을 늘릴 수 있다는 강점도 있다. E-GMP는 현대차가 미국 전기차 전문 기업 카누와 공동 개발한 스케이트보드 형태를 갖춘 것으로 알려졌다. 하부 배터리 탑재에 따라 플랫폼 길이를 자유롭게 확장할 수 있고, 다양한 구조의 차체 상부를 장착할 수 있다. 하나의 플랫폼으로 소형 세단부터 대형 SUV까지 만들 수 있는 것. 신차 개발 공정이 단순화되고 시간도 단축되는 효과를 낳는다. 미래 모빌리티에 대한 현대차의 적극적이고 유연한 시각도 장점이다. 현대차는 미래 전기차가 이동수단을 벗어나 개인화된 맞춤형 공간으로 탈바꿈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현대차는 △슈즈케어기 △커피머신 △의류케어기 △플렉서블 올레드 디스플레이 등을 탑재한 아이오닉 콘셉트 캐빈을 선보인 바 있다. 세계 곳곳의 유망 스타트업에 투자하며 관련 기술을 확보했고, 자동차라는 형태에서 벗어난 도심항공모빌리티(UAM), 전동킥보드 기반 라스트마일 모빌리티 서비스 등에도 팔을 걷어부쳤다. 미래 전기차에 대한 애플의 상상력을 온전히 수용할 능력이 있는 제조사인 것이다.
높은 수준의 자율주행 기술도 갖췄다. 현대차그룹은 2022년 양산차에 레벨3 수준의 부분 자율주행 기술을 적용하고 2023년 로보택시 등 자율주행 상용화 서비스 사업을 추진한다. 자율주행 합작사 ‘모셔널’을 통해 미국 네바다주 공공도로에서 레벨4 무인 자율주행을 실험하고, 2023년 미국 주요 지역에서 자율주행 상용화 서비스를 선보일 예정이다. 완성차 제조사와 손을 잡으려는 애플이 현대차를 마다할 이유가 없는 셈이다. 애플과의 협력 가능성이 부상하며 현대차 주가도 신고가를 경신했다. 현대차 주가는 이날 장중 28만9000원을 기록하며 9년 만에 신고가를 갈아치웠다. 오전 11시 30분 기준 전날보다 9.55% 상승한 26만9500원을 기록 중이다. 3거래일 연속 상승세를 이어가 유가증권시장 시가총액 4위(우선주 제외)에도 올랐다.
선택권을 쥔 현대차는 애플과의 협업 득실을 따지고 있는 상황이다. 현대차가 제조개발생산(ODM) 방식으로 애플의 전기차를 만든다면 아이폰을 만드는 폭스콘과 같이 하청업체로 전락할 가능성이 있다. 이는 전기차 시장을 선도하겠다는 현대차의 전략에도 어긋난다. 협력 생산한 전기차에 탑재하는 소프트웨어를 애플이 담당한다면 자체 소프트웨어 경쟁력이 떨어질 가능성도 있다. 전기차에서 나오는 주행 관련 빅데이터를 누가 관리하고 어떻게 공유할 지도 관건이다. 자동차 시장에서 주행 데이터의 중요성은 점차 높아지고 있다. 자율주행 성능을 높이는 것은 물론이고 IT 플랫폼으로 진화하는 전기차에서는 새로운 시장을 개척할 무기가 되기 때문이다. 애플이 데이터를 독점하려 한다면 현대차 입장에서는 협업을 하지 않는 편이 나은 선택일 수도 있다는 분석이 나오는 이유다.
김준성 메리츠증권 연구원은 "차량 판매를 늘리는 것은 디바이스 보급 확대를 통한 데이터 확보량 증가와 확보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발현된 서비스 비즈니스를 적용할 사용자 증대를 의미한다”고 강조했다.
한 자동차 업계 관계자는 "과감한 투자를 지속하는 정 회장의 공격적인 행보에 협업 가능성을 봤을 것"이라면서도 "협업이 무조건 이득이라는 보장은 없다. 폭스콘과 같은 생산하청으로 전락한다면 득보다 실이 많다"고 말했다.
오세성 한경닷컴 기자 sesung@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