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도 장르 불문 '거거익선'…세단도 대형이 '대세'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대형 세단, 쪼그라든 세단 시장서 홀로 '선방'
국민소득 증가에 따른 '큰 차' 트렌드 영향
국민소득 증가에 따른 '큰 차' 트렌드 영향
최근 국내 자동차 시장에서는 장르 불문 '큰 차'가 대세다.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은 물론이고, 위축된 세단 시장에서도 대형 세단만큼은 호실적을 기록하고 있다.
26일 한국자동차산업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전체 승용차 시장에서 세단이 차지하는 비중은 40%로 전년(40.2%) 대비 0.2%포인트 줄었다. 같은 기간 SUV 비중은 41.2%에서 44.8%로 무려 3.6%포인트 증가해 세단 시장 비중을 흡수했다.
SUV에 치이면서 소형 세단 점유율은 2019년 8.8%에서 2020년 8.1%로, 중형 세단은 13.2%에서 12.1%로 그 비중이 각각 0.6%포인트, 1.1%포인트 미끄러졌다. 대형 세단은 18.1%에서 19.8%로 1.7%포인트 상승하며 강세를 보였다. 지난해 내수 판매량에서도 대형 세단은 전년보다 약 15% 증가한 27만1937대로 집계됐다.
지난해 전체 세단 판매량은 전년(52만476대)보다 5.8% 증가한 55만1028대로 집계됐다. 소형·중형 세단 판매량이 각각 1.8%, 2.5% 감소한 11만2025대, 16만7066대에 그쳤지만 그랜저를 중심으로 늘어난 대형 세단 판매량이 이를 상쇄한 결과다. 그랜저는 지난해 국내 시장에서 14만5463대 팔리는 기염을 토했다. SUV·세단 등 전 차종을 통틀어 유일하게 연간 10만 판매량을 넘겼고, 4년 연속 국내 베스트셀링카로 등극했다.
2019년 2만2284대 판매에 그친 제네시스 G80도 지난해 5만6150대 판매되는 등 2배 이상의 성장률을 기록하면서 대형 세단 전체 판매량 증대를 이끌었다.
반면 중·소형 세단의 경우 판매량이 크게 줄고 단종도 이어지며 시장이 침체했다. 아반떼와 K5를 제외하면 지난해 '국민차' 쏘나타를 비롯해 말리부 등 중·소형 세단 판매량은 전년 대비 절반 수준으로 떨어졌다.
판매 차량은 크루즈, 아베오, 엑센트, SM3의 단종으로 아반떼, K3 정도만 남았다. 쏘나타는 작년 판매량이 6만대 선으로 떨어지면서 공장 가동이 멈추는 쓴 맛을 보기도 했다. 이러한 큰 차 선호 현상에는 소득 수준의 향상이 영향을 끼쳤다는 평가다. 2010년대 초까지만 해도 우리나라의 국민차는 경차였다. 도로를 누비는 신차 5대 중 1대가 경차였을 정도다.
소득 수준이 높아지며 국민차의 덩치는 점점 커졌다. 경차에서 아반떼, 쏘나타로, 이제는 과거 '회장님차'의 명성을 누리던 그랜저가 바톤을 이어받아 '국민차'로 자리매김했다는 평가다.
큰 차 선호 추세는 한동안 이어질 전망이다. 완성차 업체들이 SUV 중심으로 신차를 쏟아내고 있는 데다 세단으로는 G80, 그랜저 등 대형 세단을 주력으로 내세우고 있기 때문이다.
최근 얼굴을 공개한 현대차 아이오닉5, 테슬라 모델 Y를 비롯해 업체들이 조만간 선보일 신형 전기차도 대부분 SUV와 고급차 중심으로 구성됐다. 기아 CV(프로젝트명), 제네시스 JW가 대표적이며 쌍용차의 첫 전기차 E100도 준중형 SUV로 출시될 것으로 알려졌다.
한 자동차 업계 관계자는 "소득 수준이 높아질수록 자신의 사회적 지위에 맞춰 차 크기를 키우고 고급화를 추구하는 경향이 있다"며 "대형 세단을 찾는 사람들이 늘어날 수밖에 없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신현아 한경닷컴 기자 sha0119@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
26일 한국자동차산업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전체 승용차 시장에서 세단이 차지하는 비중은 40%로 전년(40.2%) 대비 0.2%포인트 줄었다. 같은 기간 SUV 비중은 41.2%에서 44.8%로 무려 3.6%포인트 증가해 세단 시장 비중을 흡수했다.
SUV에 치이면서 소형 세단 점유율은 2019년 8.8%에서 2020년 8.1%로, 중형 세단은 13.2%에서 12.1%로 그 비중이 각각 0.6%포인트, 1.1%포인트 미끄러졌다. 대형 세단은 18.1%에서 19.8%로 1.7%포인트 상승하며 강세를 보였다. 지난해 내수 판매량에서도 대형 세단은 전년보다 약 15% 증가한 27만1937대로 집계됐다.
지난해 전체 세단 판매량은 전년(52만476대)보다 5.8% 증가한 55만1028대로 집계됐다. 소형·중형 세단 판매량이 각각 1.8%, 2.5% 감소한 11만2025대, 16만7066대에 그쳤지만 그랜저를 중심으로 늘어난 대형 세단 판매량이 이를 상쇄한 결과다. 그랜저는 지난해 국내 시장에서 14만5463대 팔리는 기염을 토했다. SUV·세단 등 전 차종을 통틀어 유일하게 연간 10만 판매량을 넘겼고, 4년 연속 국내 베스트셀링카로 등극했다.
2019년 2만2284대 판매에 그친 제네시스 G80도 지난해 5만6150대 판매되는 등 2배 이상의 성장률을 기록하면서 대형 세단 전체 판매량 증대를 이끌었다.
반면 중·소형 세단의 경우 판매량이 크게 줄고 단종도 이어지며 시장이 침체했다. 아반떼와 K5를 제외하면 지난해 '국민차' 쏘나타를 비롯해 말리부 등 중·소형 세단 판매량은 전년 대비 절반 수준으로 떨어졌다.
판매 차량은 크루즈, 아베오, 엑센트, SM3의 단종으로 아반떼, K3 정도만 남았다. 쏘나타는 작년 판매량이 6만대 선으로 떨어지면서 공장 가동이 멈추는 쓴 맛을 보기도 했다. 이러한 큰 차 선호 현상에는 소득 수준의 향상이 영향을 끼쳤다는 평가다. 2010년대 초까지만 해도 우리나라의 국민차는 경차였다. 도로를 누비는 신차 5대 중 1대가 경차였을 정도다.
소득 수준이 높아지며 국민차의 덩치는 점점 커졌다. 경차에서 아반떼, 쏘나타로, 이제는 과거 '회장님차'의 명성을 누리던 그랜저가 바톤을 이어받아 '국민차'로 자리매김했다는 평가다.
큰 차 선호 추세는 한동안 이어질 전망이다. 완성차 업체들이 SUV 중심으로 신차를 쏟아내고 있는 데다 세단으로는 G80, 그랜저 등 대형 세단을 주력으로 내세우고 있기 때문이다.
최근 얼굴을 공개한 현대차 아이오닉5, 테슬라 모델 Y를 비롯해 업체들이 조만간 선보일 신형 전기차도 대부분 SUV와 고급차 중심으로 구성됐다. 기아 CV(프로젝트명), 제네시스 JW가 대표적이며 쌍용차의 첫 전기차 E100도 준중형 SUV로 출시될 것으로 알려졌다.
한 자동차 업계 관계자는 "소득 수준이 높아질수록 자신의 사회적 지위에 맞춰 차 크기를 키우고 고급화를 추구하는 경향이 있다"며 "대형 세단을 찾는 사람들이 늘어날 수밖에 없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신현아 한경닷컴 기자 sha0119@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