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자동차가 글로벌 수소 생태계 구축을 위해 울산광역시, 중국 광저우시와 손을 잡았다. 국내는 물론 해외에도 수소 인프라를 탄탄하게 깔아 ‘수소 시대’를 앞당기기 위해서다.현대차는 25일 중국 광저우시 가든호텔에서 장재훈 사장, 김두겸 울산광역시장, 쑨즈양 광저우 시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현대차-울산시-광저우시 수소 생태계 공동협력 추진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협약에 따라 현대차와 울산시, 광저우시는 앞으로 수소 포럼을 함께 열기로 했다. 수소 생산공급활용 실증사업을 위해 협력하고, 산·학·연 공동 연구과제도 수행한다. 또 ‘수소산업협의체’도 만들어 분기별 정례 회의를 열고 실질적인 성과를 내는 데 힘을 쏟기로 했다.현대차는 수소가 미래 에너지의 핵심이 될 걸로 보고, 30년 가까이 투자해 온 글로벌 수소 리더로 꼽힌다. 1998년 수소 연구개발(R&D) 조직을 자동차 업계 최초로 만든데 이어 2013년 세계 최초 수소전기차 투싼ix를 양산했다. 2018년에는 수소전기차 전용 모델 넥쏘도 선보였다.최근엔 수소전기 콘셉트카 이니시움도 공개했다. 이니시움에는 현대차 수소 기술의 결정체로 불린다. 연료전지시스템과 배터리 성능을 끌어 올려 주행가능거리를 650㎞로 늘렸다. 전세계 수소차 중 최장 거리다.현대차는 수소시대를 열려면 단순히 수소차를 잘 만드는 것만으론 한계가 있다고 판단, 관련 생태계 구축에 열을 올리고 있다. 국내외 주요 도시와 협약을 맺고 수소 인프라를 만드는 데 힘을 쏟는 이유다. 현대차는 지난 12일 울산시와 선박·트램·지게차 등에 수소연료전지시스템을 적용하는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19일에는 전북특별자
이재현 CJ그룹 회장(사진)이 “K트렌드 확산을 기회로 삼아 글로벌 기업으로 도약해야 한다”고 강조했다.25일 CJ그룹에 따르면 이 회장은 지난 20일 서울 필동 CJ인재원에서 ‘그룹 최고경영자(CEO) 경영회의’를 열고 이같이 말했다. 이 회장은 “K푸드·K콘텐츠·K팝 등 글로벌 문화 트렌드가 한국에 대한 관심으로 확대되고 있다”며 “그룹이 글로벌 기업으로 도약할 마지막 기회라는 절실함으로 임해달라”고 했다.18일 정기 임원 인사를 단행한 지 이틀 만에 열린 이날 회의엔 김홍기 CJ주식회사 경영대표, 허민회 CJ주식회사 경영지원대표, 강신호 CJ제일제당 대표, 신영수 CJ대한통운 대표, 이선정 CJ올리브영 대표, 윤상현 CJ ENM 대표 등 주요 경영진이 모두 참석했다.이 회장은 기후 변화, 초고령화, 양극화 등 국내외 트렌드 변화에 선제 대응할 것을 당부하고 글로벌로 확산한 K트렌드 기회를 강조했다. 이와 함께 ‘경쟁력 성장’을 화두로 던졌다. 그는 “글로벌 성장의 기회가 열려 있는 만큼 단기 실적뿐 아니라 미래 성장성도 깊이 인식해야 한다”며 “디지털 전환, 신제품 개발 등 국내 사업 혁신도 게을리해선 안 된다”고 말했다.이 회장은 비전을 실현하기 위한 인재 확보 중요성도 재차 강조했다. CJ그룹은 올해 상·하반기 신입사원 공개채용을 통해 세 자릿수 신입사원을 모집했다. 이번 정기 임원 인사에서는 1980년대생 임원 12명을 선임하고 처음으로 1990년대생 CEO를 발탁했다.CJ 관계자는 “글로벌 불확실성이 심화하는 가운데 국내외 경영환경 변화를 전망하고 사업 역량과 성장동력을 점검하는 자리였다”며 “그룹이 쌓아온 문
포스코인터내셔널의 호주 자회사인 세넥스에너지가 24일(현지시간) 호주 퀸즐랜드주에 있는 가스전에 가스 처리시설 1호기를 준공하고 시운전에 나섰다.이번에 준공한 가스 처리시설은 천연가스에서 불순물을 제거하고 압축해 가스발전소와 도시가스 등에 이송해주는 설비다. 이 설비를 거쳐야만 천연가스를 판매할 수 있다. 포스코인터내셔널은 내년 2분기까지 이 시설의 시운전을 마치고 순차적으로 가스 판매에 나설 방침이다.포스코인터내셔널은 2022년 호주 광산업체 핸콕과 함께 세넥스에너지를 인수하면서 천연가스 증산 계획을 발표했다. 연간 생산량을 종전 20페타줄(PJ·열량측정 단위)에서 세 배인 60PJ까지 늘리는 게 목표다. 액화천연가스(LNG) 120만t을 생산할 수 있는 규모다. 지난해 한국 LNG 수입량(4415만t)의 2.7%에 달한다.포스코인터내셔널은 세넥스에너지를 통해 호주에서 천연가스 생산량을 더 늘릴 예정이다. 내년 말까지 280여 공의 생산정을 시추하고 가스 처리시설을 총 3개로 증축한다. 증산 개발이 끝나면 2026년부터 호주 동부지역 가스 시장에서 점유율을 10%까지 끌어올린다는 전략이다. 이계인 포스코인터내셔널 사장은 “세넥스에너지는 이번 증산을 통해 호주의 대표 에너지 기업으로 도약할 것”이라며 “증산이 완료될 때까지 지속해서 세넥스를 지원하겠다”고 밝혔다.오현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