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끗 차이] 지능형 CCTV, CCTV랑 뭐가 다른 걸까?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지능형 CCTV, 네트워크 따라 IP카메라 ·클라우드캠 ·홈캠 등
5G 시대 이끌 빅데이터 수집장치로도 각광
보안, 해킹 문제 등은 여전히 숙제
5G 시대 이끌 빅데이터 수집장치로도 각광
보안, 해킹 문제 등은 여전히 숙제
CCTV는 폐쇄 회로 텔레비전(closed circuit television)을 말한다. 폐쇄(closed)라는 말에는 특정인만 볼 수 있도록 한다는 의미가 있다. 때문에 CCTV의 영상이나 자료는 특정 PC나 메모리에 저장되는 게 보통이다.
예전 범죄 스릴러 영화에서 영상의 파일이나 메모리카드를 은밀히 숨기거나 뺐고 뺐기면서 사건이 펼쳐지는 까닭도 '폐쇄성'이라는 전제가 붙기 때문이다. 복사만 안했다면 단 하나의 메모리만 존재해서다.
CCTV는 '사생활 침해' 문제가 제기됨에도 불구하고 범죄 방지용, 교통 관제용, 방재용 등의 목적이 부각되면서 국내 시장을 폭발적으로 성장했다. 집에서 나서는 순간, 엘리베이터의 CCTV부터 차량의 블랙박스까지 우리가 노출되지 않는 곳은 없을 정도다.
e나라지표에 따르면 공공기관의 CCTV는 2014년에 65만5030대였지만 매년 15% 안팎의 성장세를 나타내 2015년에는 73만92327만대, 2016년에는 84만5136만대까지 성장했다. 여기에 민간에서 설치한 CCTV까지 합치면 그 수는 500만대 이상이라는 추정이 있을 정도다.
보이지 않는 '눈' CCTV가 이제는 똑똑해지기까지 했다. 이른바 '지능형(intelligent) CCTV'다. 과거에는 찍기만 했다면, 이제는 골라서 찍거나 알아서 사물을 인식해 움직이는 기능까지 있다. 카메라의 성능향상까지 더해져 '지켜보는 눈'에서 '생각하는 눈'이 됐다는 얘기다.
◆CCTV, 네트워크 날개달고 '지능형 CCTV'로 발전
CCTV가 똑똑해지면서 '5G(세대) 시대'의 핵심 영역으로 주목하고 있다. 단순한 영상 수집이 아닌 의미 있는 빅데이터의 입력장치가 될 수 있어서다. 숫자나 데이터, 정보에 영상까지 추가한다면 다가오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서도 좀 더 앞선 대처가 가능해질 전망이다.
지능형 CCTV가 활성화된다면 용의자를 찾기 위해서 동선에 있는 CCTV를 일일이 뒤질 필요가 없다. 용의자의 인상착의만 입력하면 자동으로 찾을 수 있다. 이런 기능이 가능한 이유는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어서다.
영상데이터는 IP(인터넷프로토콜)나 IoT(사물인터넷)로 연결되면서 빅데이터가 될 수 있다. 클라우드, 모바일, 데이터 분석 등이 더해지면서 한 단계 높은 영상 보안 방법이 가능하다. CCTV가 더이상 폐쇄형의 의미를 담고 있는 'CCTV'라는 이름이 무색해지고 있는 셈이다. 지능형 CCTV가 연결되는 네트워크에 따라 IP카메라, 클라우드캠, 홈캠 등 불리는 이름은 현재로서는 제각각인 이유도 여기에 있다. 10년 전. 휴대폰에서 스마트폰으로 시대가 옮겨가기 시작했듯이 CCTV도 지능형 CCTV로 시대가 변하고 있다. 이미 적게나마 설치된 지능형 CCTV는 관공서를 중심으로 역할과 활약을 톡톡히 하고 있다.
서울 관악구청은 지난해 3월, 기존 산불감시 CCTV를 지능형 CCTV로 교체했다. 기존 카메라는 고정형 SD 카메라인 데다 주기적인 렌즈 청소 등이 이뤄지지 않아 산불 발생 시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했다.
그러나 관악구는 총 4대의 지능형 CCTV를 설치한 후 6월 초 방화로 추정되는 관악구 화재 3건을 조기 진화하고 용의자로 추정되는 인물을 포착했다. 지난해 6월5일 삼성산에서 발생산 산불이 대표적인 경우다. 산불이 났다는 연락을 받은 관악구 통합관제팀이 CCTV 관제센터에서 산불감시카메라의 영상을 통해 정확한 화재 발생 위치를 확인, 소방서에 즉시 신고해 화재를 신속하게 진화했다. 조기 발견을 통해 2시간 만에 신속하게 진화했다.
상업적으로도 지능형 CCTV는 빛을 발하고 있다. 예를 들어 가게에 설치하게 되면, 출입인원의 동선을 분석해 분포도를 보여주게 된다. 손님들이 어느 코너에 주로 몰리고 매출은 어느 시간대에 누구를 통해 이뤄지는지는 분석할 수 있다. 매장의 진열이나 인력 배치 등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오작동이나 오알람도 줄어든다. 사람이나 물체 등과 같이 특정 개체를 지정해서 인식할 수도 있다보니 보안에도 유리하다. CCTV가 보편화되면서 절도범 등이 CCTV를 망치나 스프레이 등으로 훼손하기도 하는데, 이러한 경우에도 지능형 CCTV라면 바로 알림 메시지를 받을 수 있다.
◆지능형 CCTV로 시장 성장성 커져…통신·보안 회사들 앞다퉈 제품 개발
CCTV 설치대수는 매년 늘어나고 있지만, 사생활 침해와 보안을 이유로 시장의 증가율은 저조했다. 하지만 지능형 CCTV가 주목을 받으면서 시장이 커질 조짐을 보이고 있다. 교체수요나 연결된 네트워크를 사용한 부가적인 서비스로 연결도 가능해서다. 보안 기술의 발전은 관련 인력을 대체하는 역할도 한다. 관련 업체들이 이러한 기회를 놓칠리 없다.
보쉬시큐리티시스템즈가 최근에 내놓은 제품은 관리자가 기존에 설정해 둔 경보 규칙에 위배되는 상황이 발생하면 곧바로 경보시스템이 작동한다. 보안 요원은 중요한 보안 상황을 놓치지 않고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다.
보안 뿐만 아니라 교통규제 및 불법 주정차 단속, 효율적인 주차장 관리 등의 분야에도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내장된 영상 분석 기능을 통해 카메라가 스스로 촬영하고 있는 내용을 이해할 수 있다. 크기, 속도, 모양, 방향, 색깔 등 연합 정보를 통해 감지된 대상을 사람, 자동차, 자전거 등 자동으로 구분할 수 있다.
통신사 중에서는 KT가 활발하게 진행중이다. 지난해 8월 네트워크 기반 지능형 영상보안 솔루션인 기가아이즈를 출시했고 보안 전문 자회사인 KT텔레캅까지 가세했다. 소규모 사업장을 위한 고화질 영상보안 서비스인 ‘올레 CCTV 텔레캅’과 얼굴인식 보안 서비스 ‘페이스캅’, 사업장과 가정을 동시에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올레 CCTV 텔레캅 플러스’ 등의 결합 서비스를 제공 중이다.
LG유플러스는 5G망에서 구현할 수 있는 6개의 서비스를 꼽는 자리에서 '지능형 CCTV'를 포함시켰다. CCTV로 촬영된 실시간 고화질(Full HD) 영상을 분석해 얼굴을 인식하고 성별과 연령대까지 확인이 가능하다. 이 서비스는 대규모 행사장에서 블랙리스트 관객을 감지하고 공공장소에서 범죄자를 식별해 사고를 예방하는 등 공공안전에 활용할 수 있다.
◆보안·해킹 우려에 정부부터 '종합대책' 마련
지능형 CCTV가 보안과 보다 나은 생활만을 위해서 쓰인다면 좋으련만 현실은 해킹으로 인한 보안의 구멍을 걱정해야할 처지다. 네트워크에 무단 접속해 영상을 불법 촬영⋅유포하는 사례가 발생하고 사생활 유출이나 국가 안보까지도 우려되는 상황이다.
이를 위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방송통신위원회, 경찰청 등과 합동으로 'IP카메라 종합대책'을 지난해말 발표하기도 했다. IP카메라 제조⋅수입 단계부터 유통⋅이용 등에 이르기까지 IP카메라 해킹사고를 예방하고 IP카메라 관련 영상 및 안전산업 육성도 병행하기 위한 개선과제를 마련했다.
이웃집과 친해지면 처음에는 재미있다가도 어느 순간 '너무 우리 집에 대해 많이 아는 건 아닐까'하는 생각이 든다. 집을 비우거나 누군가 우리집에 대해 뒷말을 할 때면 괜히 의심이 갈 때도 있다. 하지만 이웃들이 나와 우리 가족을 이해하고 도움을 주고 부족한 부분을 채워주는 사람들이라면 얘기가 달라진다.
기술의 발전도 이러한 과정을 거친다. 기기들이 연결되고 인공지능(AI)과 결합하면서 우리 생활은 이미 맞춤형으로 편리해지고 있다. 동시에 '보안'과 '사생활'이 불안해지는 건 당연한 순서다. 휴대폰이 그랬고 와이파이가 처음 나왔을 때에도 그랬다.
이제는 CCTV 차례인 셈이다. 똑똑해지고 연결된 CCTV가 우리 생활을 한층 더 편리하게 해 줄 수 있도록 부족하고 모자른 부분을 채워가야하는 시기가 됐다.
김하나 한경닷컴 기자 hana@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
예전 범죄 스릴러 영화에서 영상의 파일이나 메모리카드를 은밀히 숨기거나 뺐고 뺐기면서 사건이 펼쳐지는 까닭도 '폐쇄성'이라는 전제가 붙기 때문이다. 복사만 안했다면 단 하나의 메모리만 존재해서다.
CCTV는 '사생활 침해' 문제가 제기됨에도 불구하고 범죄 방지용, 교통 관제용, 방재용 등의 목적이 부각되면서 국내 시장을 폭발적으로 성장했다. 집에서 나서는 순간, 엘리베이터의 CCTV부터 차량의 블랙박스까지 우리가 노출되지 않는 곳은 없을 정도다.
e나라지표에 따르면 공공기관의 CCTV는 2014년에 65만5030대였지만 매년 15% 안팎의 성장세를 나타내 2015년에는 73만92327만대, 2016년에는 84만5136만대까지 성장했다. 여기에 민간에서 설치한 CCTV까지 합치면 그 수는 500만대 이상이라는 추정이 있을 정도다.
보이지 않는 '눈' CCTV가 이제는 똑똑해지기까지 했다. 이른바 '지능형(intelligent) CCTV'다. 과거에는 찍기만 했다면, 이제는 골라서 찍거나 알아서 사물을 인식해 움직이는 기능까지 있다. 카메라의 성능향상까지 더해져 '지켜보는 눈'에서 '생각하는 눈'이 됐다는 얘기다.
◆CCTV, 네트워크 날개달고 '지능형 CCTV'로 발전
CCTV가 똑똑해지면서 '5G(세대) 시대'의 핵심 영역으로 주목하고 있다. 단순한 영상 수집이 아닌 의미 있는 빅데이터의 입력장치가 될 수 있어서다. 숫자나 데이터, 정보에 영상까지 추가한다면 다가오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서도 좀 더 앞선 대처가 가능해질 전망이다.
지능형 CCTV가 활성화된다면 용의자를 찾기 위해서 동선에 있는 CCTV를 일일이 뒤질 필요가 없다. 용의자의 인상착의만 입력하면 자동으로 찾을 수 있다. 이런 기능이 가능한 이유는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어서다.
영상데이터는 IP(인터넷프로토콜)나 IoT(사물인터넷)로 연결되면서 빅데이터가 될 수 있다. 클라우드, 모바일, 데이터 분석 등이 더해지면서 한 단계 높은 영상 보안 방법이 가능하다. CCTV가 더이상 폐쇄형의 의미를 담고 있는 'CCTV'라는 이름이 무색해지고 있는 셈이다. 지능형 CCTV가 연결되는 네트워크에 따라 IP카메라, 클라우드캠, 홈캠 등 불리는 이름은 현재로서는 제각각인 이유도 여기에 있다. 10년 전. 휴대폰에서 스마트폰으로 시대가 옮겨가기 시작했듯이 CCTV도 지능형 CCTV로 시대가 변하고 있다. 이미 적게나마 설치된 지능형 CCTV는 관공서를 중심으로 역할과 활약을 톡톡히 하고 있다.
서울 관악구청은 지난해 3월, 기존 산불감시 CCTV를 지능형 CCTV로 교체했다. 기존 카메라는 고정형 SD 카메라인 데다 주기적인 렌즈 청소 등이 이뤄지지 않아 산불 발생 시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했다.
그러나 관악구는 총 4대의 지능형 CCTV를 설치한 후 6월 초 방화로 추정되는 관악구 화재 3건을 조기 진화하고 용의자로 추정되는 인물을 포착했다. 지난해 6월5일 삼성산에서 발생산 산불이 대표적인 경우다. 산불이 났다는 연락을 받은 관악구 통합관제팀이 CCTV 관제센터에서 산불감시카메라의 영상을 통해 정확한 화재 발생 위치를 확인, 소방서에 즉시 신고해 화재를 신속하게 진화했다. 조기 발견을 통해 2시간 만에 신속하게 진화했다.
상업적으로도 지능형 CCTV는 빛을 발하고 있다. 예를 들어 가게에 설치하게 되면, 출입인원의 동선을 분석해 분포도를 보여주게 된다. 손님들이 어느 코너에 주로 몰리고 매출은 어느 시간대에 누구를 통해 이뤄지는지는 분석할 수 있다. 매장의 진열이나 인력 배치 등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오작동이나 오알람도 줄어든다. 사람이나 물체 등과 같이 특정 개체를 지정해서 인식할 수도 있다보니 보안에도 유리하다. CCTV가 보편화되면서 절도범 등이 CCTV를 망치나 스프레이 등으로 훼손하기도 하는데, 이러한 경우에도 지능형 CCTV라면 바로 알림 메시지를 받을 수 있다.
◆지능형 CCTV로 시장 성장성 커져…통신·보안 회사들 앞다퉈 제품 개발
CCTV 설치대수는 매년 늘어나고 있지만, 사생활 침해와 보안을 이유로 시장의 증가율은 저조했다. 하지만 지능형 CCTV가 주목을 받으면서 시장이 커질 조짐을 보이고 있다. 교체수요나 연결된 네트워크를 사용한 부가적인 서비스로 연결도 가능해서다. 보안 기술의 발전은 관련 인력을 대체하는 역할도 한다. 관련 업체들이 이러한 기회를 놓칠리 없다.
보쉬시큐리티시스템즈가 최근에 내놓은 제품은 관리자가 기존에 설정해 둔 경보 규칙에 위배되는 상황이 발생하면 곧바로 경보시스템이 작동한다. 보안 요원은 중요한 보안 상황을 놓치지 않고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다.
보안 뿐만 아니라 교통규제 및 불법 주정차 단속, 효율적인 주차장 관리 등의 분야에도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내장된 영상 분석 기능을 통해 카메라가 스스로 촬영하고 있는 내용을 이해할 수 있다. 크기, 속도, 모양, 방향, 색깔 등 연합 정보를 통해 감지된 대상을 사람, 자동차, 자전거 등 자동으로 구분할 수 있다.
통신사 중에서는 KT가 활발하게 진행중이다. 지난해 8월 네트워크 기반 지능형 영상보안 솔루션인 기가아이즈를 출시했고 보안 전문 자회사인 KT텔레캅까지 가세했다. 소규모 사업장을 위한 고화질 영상보안 서비스인 ‘올레 CCTV 텔레캅’과 얼굴인식 보안 서비스 ‘페이스캅’, 사업장과 가정을 동시에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올레 CCTV 텔레캅 플러스’ 등의 결합 서비스를 제공 중이다.
LG유플러스는 5G망에서 구현할 수 있는 6개의 서비스를 꼽는 자리에서 '지능형 CCTV'를 포함시켰다. CCTV로 촬영된 실시간 고화질(Full HD) 영상을 분석해 얼굴을 인식하고 성별과 연령대까지 확인이 가능하다. 이 서비스는 대규모 행사장에서 블랙리스트 관객을 감지하고 공공장소에서 범죄자를 식별해 사고를 예방하는 등 공공안전에 활용할 수 있다.
◆보안·해킹 우려에 정부부터 '종합대책' 마련
지능형 CCTV가 보안과 보다 나은 생활만을 위해서 쓰인다면 좋으련만 현실은 해킹으로 인한 보안의 구멍을 걱정해야할 처지다. 네트워크에 무단 접속해 영상을 불법 촬영⋅유포하는 사례가 발생하고 사생활 유출이나 국가 안보까지도 우려되는 상황이다.
이를 위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방송통신위원회, 경찰청 등과 합동으로 'IP카메라 종합대책'을 지난해말 발표하기도 했다. IP카메라 제조⋅수입 단계부터 유통⋅이용 등에 이르기까지 IP카메라 해킹사고를 예방하고 IP카메라 관련 영상 및 안전산업 육성도 병행하기 위한 개선과제를 마련했다.
이웃집과 친해지면 처음에는 재미있다가도 어느 순간 '너무 우리 집에 대해 많이 아는 건 아닐까'하는 생각이 든다. 집을 비우거나 누군가 우리집에 대해 뒷말을 할 때면 괜히 의심이 갈 때도 있다. 하지만 이웃들이 나와 우리 가족을 이해하고 도움을 주고 부족한 부분을 채워주는 사람들이라면 얘기가 달라진다.
기술의 발전도 이러한 과정을 거친다. 기기들이 연결되고 인공지능(AI)과 결합하면서 우리 생활은 이미 맞춤형으로 편리해지고 있다. 동시에 '보안'과 '사생활'이 불안해지는 건 당연한 순서다. 휴대폰이 그랬고 와이파이가 처음 나왔을 때에도 그랬다.
이제는 CCTV 차례인 셈이다. 똑똑해지고 연결된 CCTV가 우리 생활을 한층 더 편리하게 해 줄 수 있도록 부족하고 모자른 부분을 채워가야하는 시기가 됐다.
김하나 한경닷컴 기자 hana@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