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생산성 급락…금융위기 이후 韓 제조업 경쟁력 추락"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한경硏, 41개국 생산성 조사
10년새 단위노동비용 상승률
중국·인도 이어 세번째로 빨라
10년새 단위노동비용 상승률
중국·인도 이어 세번째로 빨라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한국 제조업의 노동생산성이 급락하고 단위노동비용은 빠르게 상승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한국 제조업 경쟁력에 적신호가 켜졌다는 분석이다.
한국경제연구원은 24일 ‘제조업 생산성 및 단위노동비용 국제비교’ 보고서를 발표했다. 미국의 비영리 민간 조사연구기관 콘퍼런스보드의 자료를 이용해 41개국의 노동생산성과 단위노동비용을 조사한 결과다.
보고서에 따르면 41개국 제조업의 1인당 노동생산성 증가율은 2008년 금융위기를 전후로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 2002~2009년 연평균 3.4%, 2010~2017년 연평균 3.5%였다.
한국의 1인당 노동생산성은 2002~2009년 연 7.0% 증가했다. 중국 폴란드 슬로바키아 루마니아에 이어 다섯 번째로 높은 수준이다. 하지만 2010~2017년 연 2.8% 증가하는 데 그치며 순위가 28위로 뚝 떨어졌다. 일본(4.1%) 독일(4.0%) 프랑스(2.9%) 등 주요 선진국보다 증가율이 낮았다.
단위노동비용 측면에서도 한국의 경쟁력은 뒷걸음질치고 있다. 단위노동비용은 제품을 하나 생산하는 데 드는 노동비용이다. 1인당 노동비용을 노동생산성으로 나눠 계산한다. 단위노동비용이 적게 들수록 기업 경쟁력은 높아진다.
41개국의 제조업 단위노동비용은 2002~2009년 연평균 6.0% 늘었지만 2010~2017년에는 연평균 1.7% 감소했다. 같은 기간 한국의 단위노동비용은 빠른 속도로 올랐다. 2002~2009년 연 0.8%였던 단위노동비용 증가율이 2010~2017년 연 2.2%로 높아졌다. 단위노동비용 증가율 순위는 37위에서 3위로 올라갔다. 정조원 한경연 고용창출팀장은 “한국 제조업의 노동생산성보다 임금 상승폭이 크다는 의미”라며 “한국보다 단위노동비용이 빠르게 증가한 곳은 중국과 인도뿐”이라고 강조했다.
추광호 한경연 일자리전략실장은 “국내에서 유연근로시간제 개편, 최저임금 인상 등 중요한 경제 문제를 다룰 때 생산성과 경쟁력 논의가 부족한 측면이 있다”며 “노사정이 생산성 향상, 국제 경쟁력 확보를 우선순위로 두고 힘을 모아야 할 때”라고 말했다.
박상용 기자 yourpencil@hankyung.com
한국경제연구원은 24일 ‘제조업 생산성 및 단위노동비용 국제비교’ 보고서를 발표했다. 미국의 비영리 민간 조사연구기관 콘퍼런스보드의 자료를 이용해 41개국의 노동생산성과 단위노동비용을 조사한 결과다.
보고서에 따르면 41개국 제조업의 1인당 노동생산성 증가율은 2008년 금융위기를 전후로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 2002~2009년 연평균 3.4%, 2010~2017년 연평균 3.5%였다.
한국의 1인당 노동생산성은 2002~2009년 연 7.0% 증가했다. 중국 폴란드 슬로바키아 루마니아에 이어 다섯 번째로 높은 수준이다. 하지만 2010~2017년 연 2.8% 증가하는 데 그치며 순위가 28위로 뚝 떨어졌다. 일본(4.1%) 독일(4.0%) 프랑스(2.9%) 등 주요 선진국보다 증가율이 낮았다.
단위노동비용 측면에서도 한국의 경쟁력은 뒷걸음질치고 있다. 단위노동비용은 제품을 하나 생산하는 데 드는 노동비용이다. 1인당 노동비용을 노동생산성으로 나눠 계산한다. 단위노동비용이 적게 들수록 기업 경쟁력은 높아진다.
41개국의 제조업 단위노동비용은 2002~2009년 연평균 6.0% 늘었지만 2010~2017년에는 연평균 1.7% 감소했다. 같은 기간 한국의 단위노동비용은 빠른 속도로 올랐다. 2002~2009년 연 0.8%였던 단위노동비용 증가율이 2010~2017년 연 2.2%로 높아졌다. 단위노동비용 증가율 순위는 37위에서 3위로 올라갔다. 정조원 한경연 고용창출팀장은 “한국 제조업의 노동생산성보다 임금 상승폭이 크다는 의미”라며 “한국보다 단위노동비용이 빠르게 증가한 곳은 중국과 인도뿐”이라고 강조했다.
추광호 한경연 일자리전략실장은 “국내에서 유연근로시간제 개편, 최저임금 인상 등 중요한 경제 문제를 다룰 때 생산성과 경쟁력 논의가 부족한 측면이 있다”며 “노사정이 생산성 향상, 국제 경쟁력 확보를 우선순위로 두고 힘을 모아야 할 때”라고 말했다.
박상용 기자 yourpenci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