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마트 창사 첫 적자…대형마트 '수난시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온라인 돌풍·불황 와중에
인건비·부동산 보유세 올라
2분기 299억원 영업손실
인건비·부동산 보유세 올라
2분기 299억원 영업손실


롯데마트도 지난 2분기 영업손실이 339억원에 달했다. 베트남 인도네시아 등 해외에서 160억원의 이익을 냈지만, 국내에서 500억원의 손실이 발생한 탓이다.
대형마트 부진에는 온라인 시장의 급성이 영향을 미쳤다. 소비자들이 기저귀, 물티슈, 생수 등 공산품뿐 아니라 마트에서 구매하던 채소, 과일, 고기 등도 온라인을 통해 구매하며 마트가 ‘직격탄’을 맞았다. 온라인 업체들과 경쟁하기 위해 가격을 낮춘 것은 수익성 하락으로 이어졌다. 1인 가구 증가로 마트를 찾는 소비자가 줄어든 것도 영향을 미쳤다.
박신애 KB증권 연구원은 “당분간 오프라인 할인점의 이익 감소 추세가 지속될 것”으로 내다봤다.
매장 떠나는 소비자들…정용진의 '초저가 승부수' 이마트 구할까

예상보다 적자가 크게 난 이유로는 ‘상품 마진 하락’이 꼽힌다. 이마트는 올초부터 대대적으로 가격을 인하했다. 많이 팔리는 식품 가격을 확 낮췄다. 삼겹살, 전복, 쌀 등이 대상이었다. 온라인 쇼핑에 손님을 뺏기지 않기 위한 어쩔 수 없는 선택이었다. 덕분에 오프라인 할인점의 올 2분기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7% 늘었다. 상반기 국내 대형마트 매출이 마이너스 성장을 한 것을 감안하면 선방이다. 매장으로 소비자를 불러들이는 것도 어느 정도 성과를 냈다. 하지만 수익성은 타격을 받았다. 가격을 낮춘 결과다. 일부 상품은 ‘팔면 팔수록 손해’였다.
새로운 ‘캐시카우’로 삼으려 했던 전문점도 좋지 않았다. 특히 해외에서 브랜드를 들여온 헬스&뷰티(H&B) 스토어 부츠, ‘쇼핑 만물상’ 삐에로쑈핑 등도 적자가 커졌다. 올 2분기 이마트 전문점의 영업손실은 188억원으로 작년 2분기(-160억원)보다 늘었다.
위기 극복을 위해 정 부회장이 꺼내든 카드는 ‘상시적인 초저가’다. 잠깐 하는 세일이나 손해 보고 파는 ‘미끼 상품’을 통한 초저가가 아니다. 낮은 가격에 팔아도 이익을 낼 수 있는 구조를 형성하는 것이다. 이달 초 내놓은 한 병에 4900원짜리 와인은 가능성을 보여줬다. 한꺼번에 100만 병을 구입하는 조건으로 단가를 확 낮췄다. 이 가격에 팔아도 이익이다. 1주일 만에 이 와인은 11만 병가량 팔렸다.
또 다른 방안은 ‘매장 혁신’이다. 기존에 대형마트는 ‘장 보는’ 장소였다. 이마트는 이 공간에 ‘재미’란 요소를 넣기로 했다. 가전매장 일렉트로마트를 이마트 안에 입점시키고 있다. 드론을 날리고, 게임하고, 가상현실(VR)을 체험하는 콘텐츠가 일렉트로마트에 있기 때문이다. 또 푸드코트에 동네 ‘맛집’을 들이고, 사람들이 많이 머무르는 카페도 유치하고 있다.
이와 함께 온라인에 비해 경쟁력이 떨어지는 일반 공산품을 걷어내고 그 자리에 식품을 늘리고 있다. 식품은 여전히 오프라인 마트가 경쟁력을 지니고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새로운 캐시카우 확보에도 나섰다. 트레이더스가 대표적이다. 코스트코처럼 대용량 상품을 저렴하게 팔면서 멤버십 없이 모든 사람이 구매할 수 있다. 트레이더스는 16개까지 늘었다. 편의점 이마트24, 이마트의 자체상표(PB)만 판매하는 노브랜드 전문점, 일렉트로마트도 대대적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시장은 마트의 부활에 의문
이런 노력에 대한 시장의 평가는 좋지 않다. 주가를 보면 알 수 있다. 이날 이마트 주가는 전날 대비 1500원(1.36%) 내린 10만9000원에 거래를 마쳤다. 연중 최저가 수준이다. 한 달 새 약 22% 빠졌다. 시가총액은 약 3조원에 불과하다. 이마트가 스타필드 하남 한 곳에만 1조원 이상 투자한 것을 감안하면 ‘헐값’이나 다름없다.
이마트가 시도하는 온라인사업 전망도 밝지만은 않다. 이마트는 지난 3월 쓱닷컴을 세웠다. 이 회사는 지난 2분기 113억원의 적자를 냈다. “쓱닷컴은 당분간 흑자를 보기 어렵다”는 평가가 많다. 쓱닷컴과 경쟁하는 쿠팡 마켓컬리 등이 대규모 손실을 감내하면서까지 대대적인 공세를 하고 있기 때문이다.
박신애 KB증권 연구원은 “비용이 많이 드는 새벽배송 탓에 올 3분기 쓱닷컴의 온라인 적자가 늘어날 가능성이 있다”며 “전문점, 트레이더스, 편의점 등의 신사업을 펼치고 있으나 할인점 본업의 부진을 만회하기에는 아직 역부족”이라고 지적했다.
안재광 기자 ahnj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