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CI, 폴리실리콘 접는다…中 저가공세로 태양광소재 전멸위기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폴리실리콘 만들수록 손해
중국 의존도는 더 높아져
중국 의존도는 더 높아져
한국 태양광 소재산업이 소멸될 위기에 처했다. 국내 1위·세계 2위 폴리실리콘 생산업체인 OCI가 국내에서 폴리실리콘 사업을 중단하기로 한 데 이어 한화솔루션도 사업 철수를 검토하고 있어서다. 이들 회사가 폴리실리콘 사업을 접으면 한국에는 태양광 소재 업체가 한 곳도 안 남게 된다. 태양광 소재산업에서 중국 의존도가 더욱 높아질 것이란 우려가 나온다.
국내 태양광 소재 업체 사라진다
OCI는 11일 기업설명회(IR)를 통해 국내 폴리실리콘 사업에서 철수하겠다고 발표했다. 태양광산업은 폴리실리콘→잉곳→웨이퍼→셀→모듈 순으로 생태계가 짜여 있다. 폴리실리콘은 태양광 사업의 토대가 되는 기초 소재다.
OCI는 이달 중순부터 폴리실리콘 군산 공장 가동을 중단하고, 일부 생산라인은 반도체용 폴리실리콘 설비로 바꿀 예정이다. 2018년 군산 공장 인력도 구조조정했다. 지난 한 해에만 1807억원의 영업손실을 내면서 더 이상 폴리실리콘 사업을 계속하기 힘들어졌기 때문이다.
다만 말레이시아 등 해외 폴리실리콘 사업은 유지한다. 말레이시아 공장의 연간 생산능력은 기존 1만3800t에서 2만7000t으로 확대했다.
한화솔루션도 폴리실리콘 사업을 접는 것을 적극 검토 중이다. 한화솔루션 관계자는 “셀·모듈 앞단 제조업은 모두 중단할 방침”이라며 “폴리실리콘 사업 재검토도 그 일환”이라고 밝혔다.
한화솔루션 케미칼 부문은 작년부터 여수 폴리실리콘 공장 가동률을 낮춰 왔다. 이 공장이 생산을 중단하면 셀과 모듈만 제조해 이 회사의 강점인 수직계열화도 사라지게 된다. 한화는 2018년 중국 웨이퍼 공장 문도 닫았다. 중국 전기요금 최대 한국의 7분의 1 수준
이들 업체가 사업을 접는 이유는 중국 업체와의 가격 경쟁에서 승산이 없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OCI 관계자는 “중국 업체들이 정부 지원을 등에 업고 증설에 나서면서 2018~2019년 중국의 신규 공급 물량만 19만t에 달했다”며 “이는 전 세계 수요의 세 배 가까이 되는 규모”라고 말했다. 공급 급증으로 2018년 1월 ㎏당 17달러 수준이던 폴리실리콘 가격은 이달 7달러까지 급락했다.
중국 업체들이 폴리실리콘을 저가에 공급할 수 있는 것은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전기요금 지원 덕분이라는 분석이다. 전기요금은 폴리실리콘 제조원가에서 40%가량을 차지한다.
중국 신장의 TBEA, 다코(Daqo) 등 업체는 폴리실리콘 1㎏을 생산할 때 ㎾h당 1.5~3.6센트의 전기요금을 낸다. 한국(10.5센트)의 최대 7분의 1 수준이다. 선진국인 독일 미국 업체들이 내는 전기요금도 한국의 절반 수준에 불과하다.
사드(고고도 미사일방어체계) 한반도 배치에 따른 중국의 경제 보복 조치도 국내 폴리실리콘산업이 어려워진 원인으로 꼽힌다. 중국 정부는 2017년 한국 폴리실리콘 제품에 대한 반덤핑 조사에 들어간 뒤 지난달 국내 업체들에 반덤핑 관세를 부과하기로 결정했다. 올해부터 5년간 OCI와 한화솔루션은 중국에 폴리실리콘을 수출할 때 각각 4.4%, 8.9%의 반덤핑 관세를 내야 한다.
중국 의존도 심각 우려도
두 기업이 적자사업을 정리한다는 점에서 실적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그러나 갈수록 태양광산업에서 중국 의존도가 높아지는 데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잉곳, 웨이퍼에 이어 폴리실리콘까지 모두 중국에서 수입해야 할 판”이라며 “중국 소재공장 가동이 중단되면 국내 셀·모듈 업체들도 생산에 차질이 빚어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실제 한화솔루션은 이날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우한 폐렴) 사태로 중국에서 부품 수입이 중단됨에 따라 태양광 모듈 제조 공장인 충북 진천공장과 음성공장의 가동을 한시적으로 중단하기로 했다고 발표했다.
중국 정부가 2012년부터 태양광산업을 육성하겠다는 정책을 펼치면서 국내 태양광 소재 업체는 점차 사라지고 있다. 국내 유일한 잉곳·웨이퍼 제조업체였던 웅진에너지는 작년 5월 법정관리를 신청했다. 국내 3위 폴리실리콘 업체였던 한국폴리실리콘은 2018년부터 기업회생절차를 밟고 있다. 넥솔론, SMP는 2017년 파산했다.
이수빈 기자 lsb@hankyung.com
국내 태양광 소재 업체 사라진다
OCI는 11일 기업설명회(IR)를 통해 국내 폴리실리콘 사업에서 철수하겠다고 발표했다. 태양광산업은 폴리실리콘→잉곳→웨이퍼→셀→모듈 순으로 생태계가 짜여 있다. 폴리실리콘은 태양광 사업의 토대가 되는 기초 소재다.
OCI는 이달 중순부터 폴리실리콘 군산 공장 가동을 중단하고, 일부 생산라인은 반도체용 폴리실리콘 설비로 바꿀 예정이다. 2018년 군산 공장 인력도 구조조정했다. 지난 한 해에만 1807억원의 영업손실을 내면서 더 이상 폴리실리콘 사업을 계속하기 힘들어졌기 때문이다.
다만 말레이시아 등 해외 폴리실리콘 사업은 유지한다. 말레이시아 공장의 연간 생산능력은 기존 1만3800t에서 2만7000t으로 확대했다.
한화솔루션도 폴리실리콘 사업을 접는 것을 적극 검토 중이다. 한화솔루션 관계자는 “셀·모듈 앞단 제조업은 모두 중단할 방침”이라며 “폴리실리콘 사업 재검토도 그 일환”이라고 밝혔다.
한화솔루션 케미칼 부문은 작년부터 여수 폴리실리콘 공장 가동률을 낮춰 왔다. 이 공장이 생산을 중단하면 셀과 모듈만 제조해 이 회사의 강점인 수직계열화도 사라지게 된다. 한화는 2018년 중국 웨이퍼 공장 문도 닫았다. 중국 전기요금 최대 한국의 7분의 1 수준
이들 업체가 사업을 접는 이유는 중국 업체와의 가격 경쟁에서 승산이 없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OCI 관계자는 “중국 업체들이 정부 지원을 등에 업고 증설에 나서면서 2018~2019년 중국의 신규 공급 물량만 19만t에 달했다”며 “이는 전 세계 수요의 세 배 가까이 되는 규모”라고 말했다. 공급 급증으로 2018년 1월 ㎏당 17달러 수준이던 폴리실리콘 가격은 이달 7달러까지 급락했다.
중국 업체들이 폴리실리콘을 저가에 공급할 수 있는 것은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전기요금 지원 덕분이라는 분석이다. 전기요금은 폴리실리콘 제조원가에서 40%가량을 차지한다.
중국 신장의 TBEA, 다코(Daqo) 등 업체는 폴리실리콘 1㎏을 생산할 때 ㎾h당 1.5~3.6센트의 전기요금을 낸다. 한국(10.5센트)의 최대 7분의 1 수준이다. 선진국인 독일 미국 업체들이 내는 전기요금도 한국의 절반 수준에 불과하다.
사드(고고도 미사일방어체계) 한반도 배치에 따른 중국의 경제 보복 조치도 국내 폴리실리콘산업이 어려워진 원인으로 꼽힌다. 중국 정부는 2017년 한국 폴리실리콘 제품에 대한 반덤핑 조사에 들어간 뒤 지난달 국내 업체들에 반덤핑 관세를 부과하기로 결정했다. 올해부터 5년간 OCI와 한화솔루션은 중국에 폴리실리콘을 수출할 때 각각 4.4%, 8.9%의 반덤핑 관세를 내야 한다.
중국 의존도 심각 우려도
두 기업이 적자사업을 정리한다는 점에서 실적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그러나 갈수록 태양광산업에서 중국 의존도가 높아지는 데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잉곳, 웨이퍼에 이어 폴리실리콘까지 모두 중국에서 수입해야 할 판”이라며 “중국 소재공장 가동이 중단되면 국내 셀·모듈 업체들도 생산에 차질이 빚어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실제 한화솔루션은 이날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우한 폐렴) 사태로 중국에서 부품 수입이 중단됨에 따라 태양광 모듈 제조 공장인 충북 진천공장과 음성공장의 가동을 한시적으로 중단하기로 했다고 발표했다.
중국 정부가 2012년부터 태양광산업을 육성하겠다는 정책을 펼치면서 국내 태양광 소재 업체는 점차 사라지고 있다. 국내 유일한 잉곳·웨이퍼 제조업체였던 웅진에너지는 작년 5월 법정관리를 신청했다. 국내 3위 폴리실리콘 업체였던 한국폴리실리콘은 2018년부터 기업회생절차를 밟고 있다. 넥솔론, SMP는 2017년 파산했다.
이수빈 기자 lsb@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