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이 무슨 죄?…이란 외무부 대변인 한국기업 '철퇴' 예고 [이슈+]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무사비 대변인, 트위터에 삼성전자 사진 게재
"이란 향한 미국의 괴롭힘에 일부 기업 가담"
"이란 향한 미국의 괴롭힘에 일부 기업 가담"
이란 외무부 대변인이 삼성전자를 비롯해 한국 기업에 불만을 드러냈다. 이란에 협력하지 않았다고 판단한 국가의 기업에 보내는 경고성 메시지로 해석된다.
세예드 압바스 무사비 이란 외무부 대변인은 14일(현지시간) 자신의 트위터에 삼성전자의 이란 내 매장 간판을 철거하는 사진을 게재했다.
무사비 대변인은 "이란은 어려울 때 친구를 잊지 않는다"며 "하지만 일부 외국 기업이 미국의 괴롭힘(대이란 제재)에 가담해 최근 몇 년 사이 이란을 떠났다"라고 주장했다.
그는 "그런 외국 회사들은 앞으로 이란 시장에 복귀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는 점을 알아야 한다"며 "한 번 시장을 떠나면 재진입하기가 더욱 힘든 것이 이 사업 세계의 법칙"라고 경고했다.
무사비 대변인이 올린 사진의 촬영 장소와 시간은 불분명하지만 '삼성'의 이란어 표기가 뚜렷하다. 이 사진은 이란 유력 일간지 '함샤리(HAMSHAHRI)'가 '철거되는 테헤란의 삼성전자 판매점 간판'이라는 제목의 기사에 삽입됐다. 함샤리는 이 기사에서 "삼성전자 간판이 '삼 전자'(Sam Electronic)로 바꼈다"며 "삼 전자는 곧 삼성전자의 제품을 새 브랜드로 대체할 것이라고 발표했다"라고 보도했다. 삼 전자를 소유한 이란 삼 그룹은 20여년간 삼성전자 제품을 현지 조립·유통하고 애프터서비스를 대행했다.
무사비 대변인이 삼성전자를 특정한 것인지, 이란에서 철수하는 외국 기업을 비판하려고 삼성전자의 매장을 예로 든 것인지는 확실하지 않다. 현지 언론들은 이란 정부의 지시로 이란에 협력하지 않은 기업의 간판을 철거하고 있다고 전하는 상황이다.
배경은 2018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미국이 핵합의(JCPOA·포괄적 공동행동계획)를 일방적으로 파기한 뒤 대이란 제재를 복원하면서 한국 기업은 물론 외국 기업이 이란 시장에서 상당수 철수했다. 무사비 대변인은 지난달 22일에도 자신의 트위터에 "대한민국 국방부가 페르시아만의 역사적인 명칭조차 모르면서 파병을 한다"며 한국을 비난했다. 국방부가 '호르무즈해협 독자파병' 입장을 밝히면서 파견지역을 '아라비아만'이라고 부른 데 항의한 것이다. 그는 보란 듯 해당 내용을 한글로 올렸다.
이 트윗 역시 미국이 주도하는 호르무즈 호위연합에 우리나라가 직접 동참하진 않았지만 결과적으로 미국의 요구를 받아들였다고 해석해 불만을 표출했다는 분석이다. 이 해역은 국제적으로 페르시아만으로 통용되지만 이란에 적대적인 사우디아라비아 등은 아라비아만이라고 부른다.
강경주 한경닷컴 기자 qurasoha@hankyung.com
세예드 압바스 무사비 이란 외무부 대변인은 14일(현지시간) 자신의 트위터에 삼성전자의 이란 내 매장 간판을 철거하는 사진을 게재했다.
무사비 대변인은 "이란은 어려울 때 친구를 잊지 않는다"며 "하지만 일부 외국 기업이 미국의 괴롭힘(대이란 제재)에 가담해 최근 몇 년 사이 이란을 떠났다"라고 주장했다.
그는 "그런 외국 회사들은 앞으로 이란 시장에 복귀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는 점을 알아야 한다"며 "한 번 시장을 떠나면 재진입하기가 더욱 힘든 것이 이 사업 세계의 법칙"라고 경고했다.
무사비 대변인이 올린 사진의 촬영 장소와 시간은 불분명하지만 '삼성'의 이란어 표기가 뚜렷하다. 이 사진은 이란 유력 일간지 '함샤리(HAMSHAHRI)'가 '철거되는 테헤란의 삼성전자 판매점 간판'이라는 제목의 기사에 삽입됐다. 함샤리는 이 기사에서 "삼성전자 간판이 '삼 전자'(Sam Electronic)로 바꼈다"며 "삼 전자는 곧 삼성전자의 제품을 새 브랜드로 대체할 것이라고 발표했다"라고 보도했다. 삼 전자를 소유한 이란 삼 그룹은 20여년간 삼성전자 제품을 현지 조립·유통하고 애프터서비스를 대행했다.
무사비 대변인이 삼성전자를 특정한 것인지, 이란에서 철수하는 외국 기업을 비판하려고 삼성전자의 매장을 예로 든 것인지는 확실하지 않다. 현지 언론들은 이란 정부의 지시로 이란에 협력하지 않은 기업의 간판을 철거하고 있다고 전하는 상황이다.
배경은 2018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미국이 핵합의(JCPOA·포괄적 공동행동계획)를 일방적으로 파기한 뒤 대이란 제재를 복원하면서 한국 기업은 물론 외국 기업이 이란 시장에서 상당수 철수했다. 무사비 대변인은 지난달 22일에도 자신의 트위터에 "대한민국 국방부가 페르시아만의 역사적인 명칭조차 모르면서 파병을 한다"며 한국을 비난했다. 국방부가 '호르무즈해협 독자파병' 입장을 밝히면서 파견지역을 '아라비아만'이라고 부른 데 항의한 것이다. 그는 보란 듯 해당 내용을 한글로 올렸다.
이 트윗 역시 미국이 주도하는 호르무즈 호위연합에 우리나라가 직접 동참하진 않았지만 결과적으로 미국의 요구를 받아들였다고 해석해 불만을 표출했다는 분석이다. 이 해역은 국제적으로 페르시아만으로 통용되지만 이란에 적대적인 사우디아라비아 등은 아라비아만이라고 부른다.
강경주 한경닷컴 기자 qurasoh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