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양한 버킨백
다양한 버킨백
아카데미 감독상을 수상한 봉준호 감독의 영화 ‘기생충’. 극중 부유한 가족으로 등장하는 박 사장(이선균 분)의 자택은 그야말로 부잣집의 전형적인 모습이었다. ‘봉테일’이란 자신의 별명처럼 봉 감독은 부유층의 모습을 구현하기 위해 소품까지 활용하는 등 신경을 썼다.

박 사장의 아내인 연교(조여정 분)는 아들의 생일파티를 위해 운전기사인 기택(송강호 분)을 데리고 장을 보러 간다. 이 장면에서 연교는 왼쪽 팔뚝에 에르메스의 버킨백을 걸쳤다. 가방 손잡이엔 에르메스의 스카프를 감았다.

이 가방은 영화에서 또 한번 등장한다. 연교가 어떤 옷을 입을지 고민하는 장면에서 카메라는 집 안의 드레스룸을 비추는데 줄잡아 대여섯개의 버킨백이 진열돼 있다. 빨강 주황 검정 등 색상도 각기 다르다. 버킨백을 여러 개 갖고 있다는 것 만으로 부유함을 표현한 것이다.

○‘돈 있어도 못 사는 가방?’

프랑스 명품 브랜드 에르메스의 대표 제품인 버킨백. 이 가방이 처음 나온 건 1981년이다. 에르메스 최고경영자(CEO)가 파리에서 런던으로 가는 비행기에서 영국 여배우 제인 버킨을 만나 “편한 가방을 만들어줄 테니 이름을 사용해도 되겠냐”고 물은 게 시초다. 버킨은 이를 수락했다.

‘명품 중의 명품’, ‘돈이 있어도 살 수 없는 가방’으로도 잘 알려져 있다. 사실 버킨백은 에르메스를 먹여살리는 ‘효자 상품’이다. 전체 매출의 50% 이상을 차지할 만큼 에르메스의 주력 핸드백이다.

국내에서도 워낙 대기 명단이 길어서 통상 몇 년씩 기다려야 한다. 버킨백을 구하기 쉽지 않은 건 미국 등 해외에서도 마찬가지다. 미국 드라마 ‘섹스 앤 더 시티’에서 주인공인 사만다 존스가 에르메스 버킨백을 5년 동안 기다려도 못 받는 에피소드가 나올 정도다.

상류층 거주지인 뉴욕 어퍼이스트사이드에서의 생활기를 다룬 책 ‘파크애비뉴의 영장류’에서도 버킨백이 등장한다. 주인공은 동네 여성들의 친목모임에 끼려면 버킨백이 있어야 한다고 판단하고 인맥을 동원해 에르메스 셀러(판매원)를 소개받는 등 눈물겨운 과정을 거친다.

그러다 보니 리셀(되팔기) 등 중고시장에서 버킨백은 수백만원의 웃돈이 붙어 거래된다. 버킨백의 가격은 보통 1000만원대부터 시작한다. 이 핸드백이 대체 뭐라고, 왜 그렇게 구매하기 어려운 걸까.
에르메스의 대표 제품인 버킨백
에르메스의 대표 제품인 버킨백
○한땀한땀 제조…물량 턱없이 부족

일단 수요에 비해 물량이 턱없이 달린다. 에르메스는 다른 명품 브랜드와는 달리 핸드백을 전부 프랑스에서 생산한다. 에르메스는 가방 제작에 참여하는 자사 근로자들을 ‘장인’으로 부른다. 수년 간 교육과정을 거친 전문가라는 이유에서다.

특히 에르메스 제품 중에서도 최고가 라인인 버킨백은 교육과정을 마쳤다고 아무나 만들 수 있는 건 아니다. 10년 이상 경력을 쌓은 장인들에게만 버킨백 제작 자격을 준다. 생산에 관여할 수 있는 사람이 절대적으로 적다는 얘기다.

게다가 모든 공정을 한 사람이 도맡는다. 장인 한 명이 버킨백 한 개를 만드는 데 걸리는 시간은 평균 48시간이다. 중간중간 휴식을 취해야 하고 법정 근로시간도 준수해야 한다. 그러다 보니 일주일에 만드는 버킨백은 2개에 불과하다. 생산량이 매우 적다.

버킨백에는 가방을 만든 장인의 책상 번호와 제작연도가 찍혀 있다. 나중에 가방을 수선할 일이 생기면 매장은 이를 프랑스 공장으로 보내 해당 버킨백을 만든 장인에게 맡긴다.

에르메스는 가죽을 연도, 색상, 종류에 따라 분류해 보관해 둔다. 가방에 사용되는 악어 가죽도 꽤 까다롭게 고른다. 내구성 등 에르메스의 자체 검사를 통과한 가죽 원단만 사용한다.

○희소한 가치…청탁용 종종 등장

버킨백은 ‘세계에서 가장 비싼 핸드백’이란 기록도 갖고 있다. 2018년엔 런던 경매에서 ‘2008 히말라야 버킨백’이 16만2500파운드(2억4250만)에 낙찰되기도 했다. 2008년 생산된 제품으로 18캐럿짜리 백금 다이아몬드가 자물쇠에 박혔다. 눈으로 뒤덮인 히말라야의 색깔과 비슷한 나일 악어가죽을 사용했다.


그러다 보니 희소하다. 없어서 못 판다. 세간을 떠들썩하게 만든 각종 비리 사건에 청탁용으로 심심찮게 등장하는 게 버킨백이다. 이명박 전 대통령의 부인 김윤옥 여사가 2007년 대선을 앞두고 뉴욕의 한 여성 사업가로부터 버킨백을 받은 적도 있다. 김 여사는 이후 논란이 커지자 가방을 다시 돌려줬다.

버킨백은 ‘최순실 국정농단’ 사태에도 등장했다. 박채윤 와이제이콥스메디칼 대표가 안종범 전 청와대 정책조정수석의 부인에게 건넨 뇌물로 쓰였다. 2016년 ‘대우조선 비리’ 연루로 구속된 홍보대행사 대표 박수환 씨도 로비를 벌일 때 에르메스 가방을 활용했고, 2007년 학력위조 사건에 휩싸였던 신정아 씨도 정재계 인사들에게 이 가방을 선물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화폐’ 역할하는 버킨백…투자 가치

버킨백이 최근 다시 화제에 오르고 있다. 중국 매체인 징데일리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고급 시계인 롤렉스의 2차 시장가격은 떨어졌으나 버킨백은 오히려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고 최근 보도했다.


일본 닛케이 역시 “홍콩의 가장 오래된 중고명품 매장에서 최근 두 달 동안 버킨백의 거래가 30% 이상 늘었다”고 보도했다. 코로나19 여파로 인한 미증유의 경기 침체 상황에서도 버킨은 여전히 굳건함을 유지하고 있다.

“이 가방엔 경제 기본원리가 적용되지 않는 것 같다”고 징데일리는 분석했다. 버킨백을 소유하는 건 이제 단순히 지위를 과시하는 것을 떠나 경기 침체기에 ‘가치있는 투자’가 됐다는 이야기다. 버킨백이 ‘화폐’로서 역할을 하고 있다고 이 매체는 덧붙였다.

버킨백의 희소성과 배타성, 금융 유동성 등도 가치를 올리는 요인이다. 코로나19로 인해 전세계가 봉쇄되면서 부유층의 소비 욕구가 억눌렸던 것도 원인으로 분석된다. 중국 광저우의 에르메스 매장은 최근 재개장하자마자 270만달러(33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조사업체인 바쿤터는 지난 35년 동안 버킨백의 가치는 평균 14% 증가했다고 분석했다. 이는 “버킨백에 투자하는 게 금보다 더 안정적으로 수익을 높일 수 있다는 의미로 꽤 괜찮은 금융자산”이라고 징데일리는 밝혔다.

김정은 기자 likesmil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