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홀로 가구' 30% 첫 돌파…인구 증가율은 세종시 1위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통계청, 2019년 인구주택 조사
국내 1인 가구 비율이 최초로 30%를 돌파했다. 65세 이상 고령인구 비중도 처음으로 15%를 넘어섰다.
통계청은 28일 이런 내용의 2019년 인구주택총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작년 11월 1일을 기준으로 14개 기관과 400여 개 대학의 주민등록부 및 학적부 등 행정자료 25종을 집계한 결과다.
지난해 한국 총인구는 외국인을 포함해 5178만 명이었다. 전년 대비 15만 명(0.3%) 증가하는 데 그쳤다. 2017년(0.3%)과 함께 역대 최저 증가폭이다.
국내 총가구는 2089만 가구로 집계됐다. 이 중 수도권 가구는 1029만 가구로 49.3%를 차지했다. 총가구에서 외국인 가구와 기숙사·요양원 같은 집단가구 등을 제외한 일반 가구 기준으로 1인 가구는 30.2%를 차지해 사상 처음으로 30%대를 기록했다. 이어 2인 가구(27.8%), 3인 가구(20.7%), 4인 가구(16.2%), 5인 이상 가구(5.0%) 순이었다. 1인 가구는 20대 가구가 2018년 102만 가구에서 작년 112만 가구로 가장 많이 늘었다.
작년 국내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775만 명으로 전체 인구의 15.5%를 차지했다. 고령인구 비중이 15%를 넘어선 건 이번이 처음이다.65세 이상 비중 첫 15% 돌파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급증한 반면 0~14세 유소년인구는 631만 명으로 전체 인구의 12.6%에 그쳤다. 전년(648만 명)보다 17만 명 줄었다. 15~64세 생산연령인구도 3594만 명(비중 71.9%)으로 1년 전 3610만 명(비중 72.2%)보다 16만 명 감소했다. 유엔은 65세 이상 인구 비중이 7% 이상이면 고령화사회, 14% 이상이면 고령사회, 20% 이상이면 초고령사회로 구분한다. 한국은 이미 고령사회에 진입했다.
지난해 중위연령은 43.7세로 전년보다 0.6세 높아졌다. 중위연령이란 전체 내국인을 연령 순으로 나열했을 때 정가운데 있는 사람의 나이를 말한다.
청·장년층 인구 100명이 부양해야 하는 노년층 인구 비율을 뜻하는 ‘노년부양비’는 2018년 20.5에서 작년 21.5로 높아졌다. 2000년 10.2 대비 두 배 이상으로 상승했다. 청·장년층의 노인 부양 부담이 급격히 늘어난 것이다.
1인 가구도 급증했다. 2015년에 전체 가구의 27.2%였지만 올해엔 30.2%로 처음 30%를 넘어섰다. 2005년 이전까지만 해도 가장 주된 유형의 가구는 4인 가구였다. 그러다 2010년 2인 가구로 바뀌었고 2015년부터는 1인 가구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1인 가구 비율이 가장 높은 광역지방자치단체는 대전(33.7%)이었다. 경기도는 26.3%로 가장 낮았다.
아파트에 거주하는 가구는 1041만 가구로 전체의 51.1%에 달했다. 50.1%였던 2018년에 비해 39만 가구 늘었다. 지역별로 보면 세종(76.8%)이 아파트와 연립주택 등 공동주택에 사는 비율이 가장 높았다.
지난해 국내 수도권 집중도는 심화됐다. 수도권 인구는 2589만 명으로 전체 인구의 50.0%를 차지했다. 수도권 인구는 처음으로 전국의 절반에 달했다. 2000년(46.3%)에 비해선 19년 새 3.7%포인트 높아졌다. 이번 인구주택총조사에서 집계된 인구 수는 통계청이 지난 1월 발표한 ‘2019년 국내 인구이동 통계’를 보완해 내놓은 수치다.
17개 광역지방자치단체 중에선 경기도가 1330만1000명으로 인구가 가장 많았다. 이어 서울(964만 명) 부산(337만 명) 순이었다. 인구 증가율 기준으론 세종이 8.2%로 가장 높았고 경기(1.5%) 제주(1.0%) 등이 뒤를 이었다. 대전은 0.8% 줄어 감소폭이 가장 컸다. 부산(-0.7%) 대구(-0.6%) 등도 인구가 줄었다. 통계청은 행정자료를 활용한 등록 센서스 방식 외에 현장조사를 추가한 인구주택총조사를 5년 주기로 한다. 올해가 여기에 해당한다. 조사 기간은 오는 10월 15일부터 11월 18일까지다.
구은서 기자 koo@hankyung.com
통계청은 28일 이런 내용의 2019년 인구주택총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작년 11월 1일을 기준으로 14개 기관과 400여 개 대학의 주민등록부 및 학적부 등 행정자료 25종을 집계한 결과다.
지난해 한국 총인구는 외국인을 포함해 5178만 명이었다. 전년 대비 15만 명(0.3%) 증가하는 데 그쳤다. 2017년(0.3%)과 함께 역대 최저 증가폭이다.
국내 총가구는 2089만 가구로 집계됐다. 이 중 수도권 가구는 1029만 가구로 49.3%를 차지했다. 총가구에서 외국인 가구와 기숙사·요양원 같은 집단가구 등을 제외한 일반 가구 기준으로 1인 가구는 30.2%를 차지해 사상 처음으로 30%대를 기록했다. 이어 2인 가구(27.8%), 3인 가구(20.7%), 4인 가구(16.2%), 5인 이상 가구(5.0%) 순이었다. 1인 가구는 20대 가구가 2018년 102만 가구에서 작년 112만 가구로 가장 많이 늘었다.
작년 국내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775만 명으로 전체 인구의 15.5%를 차지했다. 고령인구 비중이 15%를 넘어선 건 이번이 처음이다.
65세 이상 비중 첫 15% 돌파
청년층, 부양부담 20년새 2배로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급증한 반면 0~14세 유소년인구는 631만 명으로 전체 인구의 12.6%에 그쳤다. 전년(648만 명)보다 17만 명 줄었다. 15~64세 생산연령인구도 3594만 명(비중 71.9%)으로 1년 전 3610만 명(비중 72.2%)보다 16만 명 감소했다. 유엔은 65세 이상 인구 비중이 7% 이상이면 고령화사회, 14% 이상이면 고령사회, 20% 이상이면 초고령사회로 구분한다. 한국은 이미 고령사회에 진입했다.지난해 중위연령은 43.7세로 전년보다 0.6세 높아졌다. 중위연령이란 전체 내국인을 연령 순으로 나열했을 때 정가운데 있는 사람의 나이를 말한다.
청·장년층 인구 100명이 부양해야 하는 노년층 인구 비율을 뜻하는 ‘노년부양비’는 2018년 20.5에서 작년 21.5로 높아졌다. 2000년 10.2 대비 두 배 이상으로 상승했다. 청·장년층의 노인 부양 부담이 급격히 늘어난 것이다.
1인 가구도 급증했다. 2015년에 전체 가구의 27.2%였지만 올해엔 30.2%로 처음 30%를 넘어섰다. 2005년 이전까지만 해도 가장 주된 유형의 가구는 4인 가구였다. 그러다 2010년 2인 가구로 바뀌었고 2015년부터는 1인 가구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1인 가구 비율이 가장 높은 광역지방자치단체는 대전(33.7%)이었다. 경기도는 26.3%로 가장 낮았다.
아파트에 거주하는 가구는 1041만 가구로 전체의 51.1%에 달했다. 50.1%였던 2018년에 비해 39만 가구 늘었다. 지역별로 보면 세종(76.8%)이 아파트와 연립주택 등 공동주택에 사는 비율이 가장 높았다.
지난해 국내 수도권 집중도는 심화됐다. 수도권 인구는 2589만 명으로 전체 인구의 50.0%를 차지했다. 수도권 인구는 처음으로 전국의 절반에 달했다. 2000년(46.3%)에 비해선 19년 새 3.7%포인트 높아졌다. 이번 인구주택총조사에서 집계된 인구 수는 통계청이 지난 1월 발표한 ‘2019년 국내 인구이동 통계’를 보완해 내놓은 수치다.
17개 광역지방자치단체 중에선 경기도가 1330만1000명으로 인구가 가장 많았다. 이어 서울(964만 명) 부산(337만 명) 순이었다. 인구 증가율 기준으론 세종이 8.2%로 가장 높았고 경기(1.5%) 제주(1.0%) 등이 뒤를 이었다. 대전은 0.8% 줄어 감소폭이 가장 컸다. 부산(-0.7%) 대구(-0.6%) 등도 인구가 줄었다. 통계청은 행정자료를 활용한 등록 센서스 방식 외에 현장조사를 추가한 인구주택총조사를 5년 주기로 한다. 올해가 여기에 해당한다. 조사 기간은 오는 10월 15일부터 11월 18일까지다.
구은서 기자 ko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