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네이버·카카오·배민 들어와라" 불렀다가 퇴짜 맞은 與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이익공유제 이슈 불거진 와중에 "상생 협력사례 논의하자"
박광온 민주당 의원실 관계자, 네이버·카카오·배민 등에 전화
대상 기업들 "나눌 얘기 없다" 거절
박광온 민주당 의원실 관계자, 네이버·카카오·배민 등에 전화
대상 기업들 "나눌 얘기 없다" 거절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여파로 수혜를 입은 기업이 타격을 입은 기업을 돕자는 취지의 '이익공유제'. 더불어민주당이 낸 이 정책의 핵심은 '자발성'이다.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 18일 신년기자회견에서 "코로나 시대에 오히려 더 돈을 버는 기업들이 피해를 입는 대상들을 돕는 자발적인 운동이 일어나게 하자"고 했다. 기업들의 팔을 강제로 비틀지 않겠다는 뜻을 분명히 한 것이다.
하지만 문 대통령의 기대만큼 자발적으로 손을 드는 기업이 나타나지 않자 여당 일각에서 직접 나서서 이익공유제에 참여할 기업을 물색하는 분위기다. 박광온 민주당 사무총장 측은 오는 22일 배달의민족, 네이버, 카카오, 라이엇게임즈 등 4개 플랫폼 기업을 초청해 '상생 협력 사례 공유를 위한 정책간담회' 를 하자고 제안했다. 이 간담회는 비공개로 하고 이낙연 대표, 홍익표 정책위 의장도 배석하기로 돼 있었다.
하지만 해당 기업들이 모두 난색을 표하면서 간담회는 무산됐다. 참석을 요청받은 기업 관계자에게 왜 거절했는지 묻자 "이익공유제와 관련한 얘기가 나오면 1호 기업으로 나서달라는 요청이 올 것이 분명하지 않느냐"이라는 답이 돌아왔다. 연락을 받은 다른 기업은 "매출의 상당 비중을 상생 협력에 지출하고 있고 지금도 여러 정부부처에서 비슷한 제안들이 쏟아지고 있어 더 나눠줄 수 있는 이익 자체가 없다"고 호소했다. 말이 상생 협력이지 회의장에 들어가기만 하면 여당의 핵심 의제인 이익공유제 논의에 말려들 수 밖에 없다는 것이다.
간담회를 기획한 박 총장 측 관계자는 "이들 기업들이 어떻게 상생 협력을 하고 있는지 아이디어가 듣고 싶었을 뿐"이라며 "이익공유제 관련 토론이라고 말한 적이 전혀 없는데 해당 기업들이 잘못 이해한 것"이라고 해명했다. 오해였다고 하지만 의문은 남는다. 상생 사례를 배우려 했다면 협력사와 협업한 역사와 투자 규모가 더 큰 삼성, SK, 롯데, CJ 등 국내 대기업들을 부를 수도 있었다. 그는 "4차 산업혁명의 상징성이 있는 기업이라서 선정한 것"이라며 "식품 제조기업인 대상·풀무원이나 전자상거래 기업 쿠팡 등의 상생 사례도 보고 있다"고 했다.
박 총장에게 직접 물었다. 그는 기자와의 통화에서 “이런 연락이 기업들에게 취해진 것을 전혀 몰랐다”는 의외의 답이 돌아왔다. 의원실 실무자가 한 일이고 처음 듣는 얘기라는 것이다. 이낙연 대표가 직접 참석하는 행사가 아니었냐고 재차 묻자 박 총장은 "이 대표는 모범이 되는 기업들을 격려하는 자리라면 어디든지 참석할 수 있는 것"이라며 "이익공유제는 참여 기업들에게 더 많은 혜택을 주겠다는게 핵심 내용인 만큼 오해하지 말아달라"고 말했다. 이익공유제 이슈가 불거지는 와중에 하필 상생 협력 사례를 연구해보자는 집권여당 최고위층 전화 한통을 각 기업들은 어떻게 받아들였을까. 국회를 오래 상대한 한 기업의 대관담당자는 "배민, 카카오, 네이버 등 코로나19 수혜기업 이름이 여권에서 구체적으로 적시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며 "다른 기업들도 언제 이런 전화가 올지 몰라 떨고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박종필 기자 jp@hankyung.com
하지만 문 대통령의 기대만큼 자발적으로 손을 드는 기업이 나타나지 않자 여당 일각에서 직접 나서서 이익공유제에 참여할 기업을 물색하는 분위기다. 박광온 민주당 사무총장 측은 오는 22일 배달의민족, 네이버, 카카오, 라이엇게임즈 등 4개 플랫폼 기업을 초청해 '상생 협력 사례 공유를 위한 정책간담회' 를 하자고 제안했다. 이 간담회는 비공개로 하고 이낙연 대표, 홍익표 정책위 의장도 배석하기로 돼 있었다.
하지만 해당 기업들이 모두 난색을 표하면서 간담회는 무산됐다. 참석을 요청받은 기업 관계자에게 왜 거절했는지 묻자 "이익공유제와 관련한 얘기가 나오면 1호 기업으로 나서달라는 요청이 올 것이 분명하지 않느냐"이라는 답이 돌아왔다. 연락을 받은 다른 기업은 "매출의 상당 비중을 상생 협력에 지출하고 있고 지금도 여러 정부부처에서 비슷한 제안들이 쏟아지고 있어 더 나눠줄 수 있는 이익 자체가 없다"고 호소했다. 말이 상생 협력이지 회의장에 들어가기만 하면 여당의 핵심 의제인 이익공유제 논의에 말려들 수 밖에 없다는 것이다.
간담회를 기획한 박 총장 측 관계자는 "이들 기업들이 어떻게 상생 협력을 하고 있는지 아이디어가 듣고 싶었을 뿐"이라며 "이익공유제 관련 토론이라고 말한 적이 전혀 없는데 해당 기업들이 잘못 이해한 것"이라고 해명했다. 오해였다고 하지만 의문은 남는다. 상생 사례를 배우려 했다면 협력사와 협업한 역사와 투자 규모가 더 큰 삼성, SK, 롯데, CJ 등 국내 대기업들을 부를 수도 있었다. 그는 "4차 산업혁명의 상징성이 있는 기업이라서 선정한 것"이라며 "식품 제조기업인 대상·풀무원이나 전자상거래 기업 쿠팡 등의 상생 사례도 보고 있다"고 했다.
박 총장에게 직접 물었다. 그는 기자와의 통화에서 “이런 연락이 기업들에게 취해진 것을 전혀 몰랐다”는 의외의 답이 돌아왔다. 의원실 실무자가 한 일이고 처음 듣는 얘기라는 것이다. 이낙연 대표가 직접 참석하는 행사가 아니었냐고 재차 묻자 박 총장은 "이 대표는 모범이 되는 기업들을 격려하는 자리라면 어디든지 참석할 수 있는 것"이라며 "이익공유제는 참여 기업들에게 더 많은 혜택을 주겠다는게 핵심 내용인 만큼 오해하지 말아달라"고 말했다. 이익공유제 이슈가 불거지는 와중에 하필 상생 협력 사례를 연구해보자는 집권여당 최고위층 전화 한통을 각 기업들은 어떻게 받아들였을까. 국회를 오래 상대한 한 기업의 대관담당자는 "배민, 카카오, 네이버 등 코로나19 수혜기업 이름이 여권에서 구체적으로 적시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며 "다른 기업들도 언제 이런 전화가 올지 몰라 떨고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박종필 기자 jp@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