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게티이미지뱅크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지난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충격에 국내 성장률이 -1.0%에 그쳤지만 주요국에 비해서는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3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통계에 따르면 작년 한국의 실질 성장률(-1.0%)은 관련 자료가 발표된 15개 주요국 가운데 중국(2.3%), 노르웨이(-0.8%)에 이어 세 번째로 높았다.

OECD는 회원국과 중국, 인도네시아, 사우디아라비아 등 비회원국이지만 세계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큰 국가의 성장률 발표치를 모아 공개하고 있다.

한국의 뒤를 이어선 인도네시아(-2.1%), 스웨덴(-2.8%), 미국(-3.5%), 일본(-4.8%), 독일(-5.0%), 프랑스(-8.2%) 순이었다. 영국(-9.9%)과 스페인(-11.0%)은 -10% 안팎의 큰 역성장을 기록했다.

주요국이 큰 폭의 역성장을 기록한 배경은 코로나19 확산에 관광 등 서비스업이 타격을 받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중국, 한국 등은 제조업 비중이 높아 상대적으로 충격이 덜했던 것으로 풀이된다.

노르웨이는 제조업 비중이 높진 않지만 방역조치 덕에 선방했다. 노르웨이는 인구 10만명 당 확진자 수가 유럽에서 핀란드 다음으로 가장 적다.

반도체 등 주력 업종 덕에 수출이 회복한 점도 국내 역성장 폭을 줄이는 요인으로 작용했다. 정부 재정지출 영향도 있었다. 지난해 민간 부문의 성장 기여도는 -2%포인트였지만 정부는 1.0%포인트였다. 민간소비가 위축됐지만 추가경정예산 등 확장재정이 성장률 급락을 완화하는 데 일부 기여한 것이다.

OECD는 올해 중국이 연 8.0% 성장하며 50개국 가운데 성장률이 가장 높게 나타날 것으로 예측했다. 프랑스(6.0%), 스페인(5.0%)은 기저효과 영향 등으로 급반등할 것으로 분석했고, 우리나라는 2.8% 성장해 29위를 차지할 것으로 전망했다.

채선희 기자 csun00@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