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자연생활의 로망을 기대하고 귀농귀촌을 꿈꾸는 사람이 많지만 현실은 녹록치 않은 것으로 조사됐다. 이웃과의 관계에서 어려움을 겪거나 자금난에 시달려서다. 일부는 집값 때문에 귀촌을 결심한 것으로 드러났다.

선입견과 텃세 때문에 힘들어

24일 농림축산식품부가 발표한 '2020년 귀농귀촌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귀촌가구의 51.4%만이 지역주민과의 관계가 좋다고 답했다. '좋지도 나쁘지도 않다'는 응답이 46.7%, '좋지 않다'는 응답은 1.9%였다. 지난 2015년부터 2019년까지 귀농귀촌을 한 4066가구를 대상으로 면접조사를 한 결과다.

귀농가구의 경우엔 좋다는 응답은 74.6%로 높았으나, 좋지 않다는 응답도 2.4%로 귀촌가구보다 높았다. 갈등요인으로는 선입견과 텃세, 생활방식에 대한 이해 충돌, 집·토지 문제, 마을 일이나 모임참여 등이 꼽혔다.

귀농귀촌에 만족하는 가구는 10가구 중 6가구에 그쳤다. 귀농가구는 62.1%, 귀촌은 63.3%가 만족한다고 답했다. 불만족 이유로는 영농기술·경험부족과 자금부족이 꼽혔다.

귀농귀촌 가구가 자금부족을 호소하는 것은 도시 생활 시의 소득 수준에 비해 귀농귀촌 후 소득이 급감해서다. 귀농 1년차의 가구소득은 2782만원으로 귀농 전 평균 가구소득 4184만원의 66%로 쪼그라든 것으로 조사됐다. 귀촌은 3932만원에서 3436만원으로 소폭 감소했다.

이에 따라 귀농귀촌 가구들은 허리띠를 졸라매는 방식으로 대응하고 있었다. 귀농귀촌 전후의 월 평균 생활비를 비교하면 귀농 가구는 269만원에서 184만원으로, 귀촌가구는 260만원에서 205만원으로 각각 줄었다.

열명 중 한명은 집 값 때문에 귀촌

귀농귀촌 유형을 살펴보면 농촌에 연고가 있거나 경험이 있는 경우가 많았다. 농촌에서 태어나 도시 생활을 한 후 연고가 있는 농촌으로 이주하는 U자형 귀농자는 57.6%에 달했다.

귀농귀촌 이유는 다양했다. 귀농을 선택한 사람 중 30.5%는 자연환경을 꼽았다. 농업의 발전가능성을 보고 온 사람은 23.0%, 가업승계 목적은 13.1%였다. 귀촌은 직장취업(24.1%) 때문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정서적 여유(15.3%), 자연환경(13.7%) 등이 뒤를 이었다. 저렴한 집값 때문에 귀촌했다는 응답은 9.6%에 달했다.

귀농귀촌 준비 기간은 2년에 가까운 것으로 조사됐다. 귀농가구의 평균 준비기간은 25.8개월이었다. 이 기간 예비 귀농인들은 '정착지역 탐색', '농지 탐색', '귀농 교육', '귀농체험' 등을 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귀농가구의 47.7%는 온-오프라인 교육과 선도농가 인턴십 등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귀농 후 재배하는 주 작목은 과수(22.5%), 농벼(21.9%), 노지채소(20.2%), 시설채소(10.7%) 순이며 선택 이유로는 재배의 용이성과 높은 소득이 꼽혔다.
1년에 4184만원 벌던 가구, '귀농 후 소득' 따져보니…
1년에 4184만원 벌던 가구, '귀농 후 소득' 따져보니…
1년에 4184만원 벌던 가구, '귀농 후 소득' 따져보니…
강진규 기자 josep@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