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총의 계절 앞둔 재계, '50대 女교수'에 꽂혔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헤드헌팅기업 유니코써치, 100대 기업 사외이사 분석
사외이사 441명 중 여성 35명 불과
여성 사외이사 중 교수 출신 50대 여성 비중 높아
사외이사 441명 중 여성 35명 불과
여성 사외이사 중 교수 출신 50대 여성 비중 높아
재계에 여성 사외이사 영입 열풍이 불고 있다. 내년 8월부터 시행되는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자본시장법) 개정안에 따라 자산 2조원 이상 대기업이 여성 사외이사를 사실상 1명 이상 두는 것이 의무화됐기 때문이다. 이에 '여성이면서 교수 출신의 1960년대생’인 이른바 ‘여교육(女敎六)’이란 키워드를 갖춘 이들이 국내 대기업 사외이사 영입 1순위에 오를 것으로 헤드헌팅기업 유니코써치는 전망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100대 기업 사외이사 중 여성은 열 명 중 한 명꼴도 되지 않은 형편이다. 국내 100대 기업 사외이사 숫자는 441명으로 집계됐다. 여성은 35명(7.9%)에 그친 반면 남성은 406명(92.1%)로 압도적으로 많았다.
여성 사외이사가 단 한 명이라도 있는 곳은 30곳이었고, 70곳은 전무했다. 아직까지 국내 대기업에서 사외이사를 영입할 때 남성을 선호하는 경향이 팽배하다는 뜻이다. 여성 사외이사 있는 30곳 중 2명 이상 되는 곳은 4곳에 그쳤다.
100대 기업 중 여성 사외이사가 가장 많은 회사는 지역난방공사였다. 이 회사의 사외이사 총 6명 중 절반인 3명이 여성으로 채워졌다. 이어 삼성전자, 한국전력, S-Oil도 여성 사외이사가 각각 2명씩으로 집계됐다. 삼성전자와 S-Oil의 경우 사외이사 6명 중 2명(33.3%), 한국전력은 8명 중 2명(25%)이 여성이었다. 여성 사외이사 35명을 살펴보면 1960년대생이 21명으로 60%를 차지했다. 대학 교수 출신도 20명(57.1%)으로 가장 많았다. 이런 흐름이 이어질 경우 올해 신규 선임되는 여성 사외이사 중 1960년대 출생의 대학 교수가 최종 이사회로 진출할 확률이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유니코써치는 “학자 출신의 교수들은 상대적으로 전문성이 높고, 현재 이사회 중 상당수는 1950~1960년대 생이 많기 때문에 이들과 어느 정도 보조를 맞출 수 있는 연령대의 여성을 선호할 것”으로 전망했다.
실제 기아에서 올 3월 주주총회에서 신규 선임할 조화순 사외이사도 1966년생으로 현재 연세대 교수로 활동 중이다. 현대모비스가 새로 선임할 강진아 사외이사 역시 1967년생으로 서울대학교 협동과정 기술경영경제정책대학원 교수직을 맡고 있다. 두 명 모두 ‘여교육’ 그룹에 속하는 이들이다. 다른 기업들도 비슷한 이력을 가진 이들을 사외이사 우선 후보군에 둘 것으로 유니코써치는 전망했다.
조사 대상자 중에는 1980년대 사외이사도 두 명 나왔다. 최연소 사외이사는 한국전력의 방수란 비상임이사로 1987년생이었다. 방 이사는 서울에너지공사 고문 변호사로도 활약 중이다. 방 이사의 임기는 내년 8월까지다. 또 다른 1980년대생은 지역난방공사 정이수 사외이사이다. 1982년생인 정 이사는 정이수법률사무소 변호사이자 의정부지방법원 파산관재인 등을 맡고 있다.
사외이사의 학력은 절반 가까이가 박사 학위 취득자인 전문가였다. 박사급만 197명으로 44.7%를 기록했다. 출신대학의 경우 이른바 '스카이(서울대·연세대·고려대)' 학부 대학을 나온 사외이사도 165명(37.4%)이었다. 서울대 출신 사외이사는 106명이어서 대기업 사외이사도 서울대 출신을 선호하는 편중 현상이 뚜렷했다.
사외이사의 핵심 경력은 대학 총장과 교수 등 학계 출신이 184명(41.7%)으로 최다를 이뤘다. 100대 기업 사외이사 10명 중 4명은 대학 교수 출신으로 채워질 정도였다. 또한 최고경영자(CEO) 등 재계 출신 99명(22.4%), 국세청·금감원·공정위·지자체 등 행정계 출신이 84명(19%)으로 많았다. 판사·검사·변호사 등 법조계 출신은 54명(12.2%)으로 나타났다.
조사 대상자 중에서는 장·차관급 이상 고위공직을 역임한 이들도 30명이나 활약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고위공직자를 제외하고 국세청, 공정거래위원회, 금융감독원 세 기관에서 공직 생활을 한 이들 중에서도 25명 정도가 현재 사외이사로 활동 중인 것으로 파악됐다.
대기업 사외이사 441명 중 155명(35.1%) 이상은 올 3월 말 이전에 임기만료를 앞두고 있는 상황이다. 2022년에도 올해와 비슷한 150명 정도가 사외이사를 연임하거나 새롭게 교체될 예정이다. 올해와 내년 사이에 300명 정도 되는 사외이사 임기가 만료를 앞두고 있다.
유니코써치가 별도로 범위를 넓혀 국내 100대 기업에서 사내이사와 사외이사를 포함한 이사회 멤버를 조사한 결과, 756명으로 집계됐다. 이중 여성은 39명으로 여성의 이사회 진출 비율은 5.2%에 그쳤다.
미국 뉴욕 증시 상장 대기업 500개사로 구성된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에 들어가는 회사들의 여성 이사회 비율은 지난해 기준 28%이다. 스웨덴(24.9%)과 영국 (24.5%)도 이사회에서 여성 비율은 20%대 수준이다. 덴마크와 노르웨이 등 유럽 선진국은 법률 등에 여성 이사 비율을 40%로 명시하고 있다. 독일도 최근 3명 이상의 이사회를 꾸린 상장사의 경우 1명 이상의 여성 이사를 두는 방안에 합의했다. 이사회에서 30% 이상을 여성 몫으로 주어진 셈이다.
하지만 올해와 내년 사이 한국 기업의 여성 이사회 진출 비율 수치도 크게 달라질 것으로 관측된다. 한국도 자산 2조원이 넘는 상장사는 내년 8월부터 이사회에서 최소 1명 이상의 여성 이사를 두도록 자본시장법에 의무화했기 때문이다. 개정안에는 처벌 조항이 없으나 법 시행과 함께 기업들이 다양성을 확충하기 위해 여성 사외이사 영입에 나설 것으로 관측된다.
유니코써치는 "내년까지 150명가량의 여성이 사외이사직을 맡을 경우 100대기업 내 이사회 중 여성 비율은 20% 정도까지 높아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현재 국내 100대 기업 중 이사회에서 여성 비율이 20%를 넘는 삼성카드와 지역난방공사 두 곳(지난해 3분기 기준)밖에 없었다. 삼성카드는 이사회 멤버가 총 7명인데 사내이사와 사외이사에 여성이 각각 1명씩 배치돼 여성 비율은 28.6%였다. 이어 지역난방공사가 27.3%로 높았다. 여성 이사회 비율이 10%대 인 곳은 27곳으로 파악됐다.
김혜양 유니코써치 대표는 “세계적으로 환경·사회·지배구조(ESG)가 새로운 경영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며 "여성 사외이사의 증가는 기업의 지배구조인 거버넌스( Governance)를 투명하게 하고 조직 운영의 다양성(Diversity)을 강조하는 세계적인 추세에 발맞추기 위한 행보의 일환이기 때문에 이제는 거스를 수 없는 시대적 대세"라고 강조했다.
오정민 한경닷컴 기자 blooming@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
100대 기업 사외이사 441명 중 여성 35명에 불과
24일 유니코써치의 ‘국내 100대 기업 사외현황 현황 분석'에 따르면 지난해 3분기 매출(개별 및 별도 재무제표 기준) 상위 100대 기업 중 70곳은 여성 사외이사가 한 명도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현재 100대 기업 이사회에서 여성이 차지하는 비율은 5% 정도에 불과했다.조사 결과에 따르면 100대 기업 사외이사 중 여성은 열 명 중 한 명꼴도 되지 않은 형편이다. 국내 100대 기업 사외이사 숫자는 441명으로 집계됐다. 여성은 35명(7.9%)에 그친 반면 남성은 406명(92.1%)로 압도적으로 많았다.
여성 사외이사가 단 한 명이라도 있는 곳은 30곳이었고, 70곳은 전무했다. 아직까지 국내 대기업에서 사외이사를 영입할 때 남성을 선호하는 경향이 팽배하다는 뜻이다. 여성 사외이사 있는 30곳 중 2명 이상 되는 곳은 4곳에 그쳤다.
100대 기업 중 여성 사외이사가 가장 많은 회사는 지역난방공사였다. 이 회사의 사외이사 총 6명 중 절반인 3명이 여성으로 채워졌다. 이어 삼성전자, 한국전력, S-Oil도 여성 사외이사가 각각 2명씩으로 집계됐다. 삼성전자와 S-Oil의 경우 사외이사 6명 중 2명(33.3%), 한국전력은 8명 중 2명(25%)이 여성이었다. 여성 사외이사 35명을 살펴보면 1960년대생이 21명으로 60%를 차지했다. 대학 교수 출신도 20명(57.1%)으로 가장 많았다. 이런 흐름이 이어질 경우 올해 신규 선임되는 여성 사외이사 중 1960년대 출생의 대학 교수가 최종 이사회로 진출할 확률이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유니코써치는 “학자 출신의 교수들은 상대적으로 전문성이 높고, 현재 이사회 중 상당수는 1950~1960년대 생이 많기 때문에 이들과 어느 정도 보조를 맞출 수 있는 연령대의 여성을 선호할 것”으로 전망했다.
실제 기아에서 올 3월 주주총회에서 신규 선임할 조화순 사외이사도 1966년생으로 현재 연세대 교수로 활동 중이다. 현대모비스가 새로 선임할 강진아 사외이사 역시 1967년생으로 서울대학교 협동과정 기술경영경제정책대학원 교수직을 맡고 있다. 두 명 모두 ‘여교육’ 그룹에 속하는 이들이다. 다른 기업들도 비슷한 이력을 가진 이들을 사외이사 우선 후보군에 둘 것으로 유니코써치는 전망했다.
사외이사 주류는 60대…'스카이' 출신 편중
400명을 웃도는 사외이사의 연령대 중 주류는 60대였다. 출생년도는 1955년생이 34명으로 가장 많았다. 5년 단위별로는 1955~1959년 출생자가 128명(29%)으로 최다였다. 1960~1964년생은 120명(27.2%)으로 다음으로 많았다. 이어 1950~1954년생 74명(16.8%), 1965~1969년 53명(12%) 순으로 집계됐다. 1970년 이후에 태어난 사외이사는 35명(7.9%)로 1950년 이전 출생자 31명(7%)보다 많았다.조사 대상자 중에는 1980년대 사외이사도 두 명 나왔다. 최연소 사외이사는 한국전력의 방수란 비상임이사로 1987년생이었다. 방 이사는 서울에너지공사 고문 변호사로도 활약 중이다. 방 이사의 임기는 내년 8월까지다. 또 다른 1980년대생은 지역난방공사 정이수 사외이사이다. 1982년생인 정 이사는 정이수법률사무소 변호사이자 의정부지방법원 파산관재인 등을 맡고 있다.
사외이사의 학력은 절반 가까이가 박사 학위 취득자인 전문가였다. 박사급만 197명으로 44.7%를 기록했다. 출신대학의 경우 이른바 '스카이(서울대·연세대·고려대)' 학부 대학을 나온 사외이사도 165명(37.4%)이었다. 서울대 출신 사외이사는 106명이어서 대기업 사외이사도 서울대 출신을 선호하는 편중 현상이 뚜렷했다.
사외이사의 핵심 경력은 대학 총장과 교수 등 학계 출신이 184명(41.7%)으로 최다를 이뤘다. 100대 기업 사외이사 10명 중 4명은 대학 교수 출신으로 채워질 정도였다. 또한 최고경영자(CEO) 등 재계 출신 99명(22.4%), 국세청·금감원·공정위·지자체 등 행정계 출신이 84명(19%)으로 많았다. 판사·검사·변호사 등 법조계 출신은 54명(12.2%)으로 나타났다.
조사 대상자 중에서는 장·차관급 이상 고위공직을 역임한 이들도 30명이나 활약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고위공직자를 제외하고 국세청, 공정거래위원회, 금융감독원 세 기관에서 공직 생활을 한 이들 중에서도 25명 정도가 현재 사외이사로 활동 중인 것으로 파악됐다.
대기업 사외이사 441명 중 155명(35.1%) 이상은 올 3월 말 이전에 임기만료를 앞두고 있는 상황이다. 2022년에도 올해와 비슷한 150명 정도가 사외이사를 연임하거나 새롭게 교체될 예정이다. 올해와 내년 사이에 300명 정도 되는 사외이사 임기가 만료를 앞두고 있다.
국내 100대기업 이사회 내 여성 비율 5.2%…유럽은 30~40% 의무화
국내 대기업의 여성 이사회 비율은 세계 선진국과 비교하면 아직까지는 현저히 낮은 수준이다.유니코써치가 별도로 범위를 넓혀 국내 100대 기업에서 사내이사와 사외이사를 포함한 이사회 멤버를 조사한 결과, 756명으로 집계됐다. 이중 여성은 39명으로 여성의 이사회 진출 비율은 5.2%에 그쳤다.
미국 뉴욕 증시 상장 대기업 500개사로 구성된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에 들어가는 회사들의 여성 이사회 비율은 지난해 기준 28%이다. 스웨덴(24.9%)과 영국 (24.5%)도 이사회에서 여성 비율은 20%대 수준이다. 덴마크와 노르웨이 등 유럽 선진국은 법률 등에 여성 이사 비율을 40%로 명시하고 있다. 독일도 최근 3명 이상의 이사회를 꾸린 상장사의 경우 1명 이상의 여성 이사를 두는 방안에 합의했다. 이사회에서 30% 이상을 여성 몫으로 주어진 셈이다.
하지만 올해와 내년 사이 한국 기업의 여성 이사회 진출 비율 수치도 크게 달라질 것으로 관측된다. 한국도 자산 2조원이 넘는 상장사는 내년 8월부터 이사회에서 최소 1명 이상의 여성 이사를 두도록 자본시장법에 의무화했기 때문이다. 개정안에는 처벌 조항이 없으나 법 시행과 함께 기업들이 다양성을 확충하기 위해 여성 사외이사 영입에 나설 것으로 관측된다.
유니코써치는 "내년까지 150명가량의 여성이 사외이사직을 맡을 경우 100대기업 내 이사회 중 여성 비율은 20% 정도까지 높아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현재 국내 100대 기업 중 이사회에서 여성 비율이 20%를 넘는 삼성카드와 지역난방공사 두 곳(지난해 3분기 기준)밖에 없었다. 삼성카드는 이사회 멤버가 총 7명인데 사내이사와 사외이사에 여성이 각각 1명씩 배치돼 여성 비율은 28.6%였다. 이어 지역난방공사가 27.3%로 높았다. 여성 이사회 비율이 10%대 인 곳은 27곳으로 파악됐다.
김혜양 유니코써치 대표는 “세계적으로 환경·사회·지배구조(ESG)가 새로운 경영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며 "여성 사외이사의 증가는 기업의 지배구조인 거버넌스( Governance)를 투명하게 하고 조직 운영의 다양성(Diversity)을 강조하는 세계적인 추세에 발맞추기 위한 행보의 일환이기 때문에 이제는 거스를 수 없는 시대적 대세"라고 강조했다.
오정민 한경닷컴 기자 blooming@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