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아온 해운 전성기…HMM 1분기 영업익 작년 전체 넘어설 수도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SM상선은 이미 작년 전체 영업익 초과 달성
HMM과 SM상선의 올해 1분기 영업이익이 지난해 전체를 넘어설 것으로 전망되는 등 오랜 침체기를 거쳤던 국내 해운업계가 다시 한번 전성기를 맞고 있다.
11일 증권업계에 따르면 국내 최대 원양 컨테이너 선사인 HMM의 올해 1분기 영업이익은 7천500억 원부터 1조2천억 원까지 예상된다. 만약 HMM이 올해 1분기 1조 원을 넘는 영업이익을 올린다면 역대 최대 1분기 실적을 기록하는 동시에 지난해 총 영업이익(9천808억원)도 넘어서게 된다.
이러한 실적이 이어질 경우 HMM이 올해 연간 3조원이 넘는 영업이익을 기록할 수 있는 장밋빛 전망도 제기되고 있다.
SM그룹 해운 부문 계열사인 SM상선도 올해 1분기 영업이익이 1천200억원을 넘어서며 작년 한 해 영업이익(1천206억원)을 초과한 것으로 알려졌다.
SM상선은 올해 1~2월 해운 부문 영업이익이 864억원을 기록하면서 지난해 영업이익의 72%에 이미 달성한 바 있다.
1분기가 해운업계의 전통적 비수기란 점을 고려하면 매우 이례적인 실적이라고 업계 관계자들은 전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에 더해 운임 상승의 역할이 컸다는 분석이 나온다. 상하이컨테이너운임지수(SCFI)가 지난해 대비 3배로 치솟는 등 2월 중순까지 운임이 초강세 국면을 유지했고, 조정 국면에 진입했던 유럽 운임도 수에즈 운하 사고로 재차 반등한 것이 업계엔 호재로 작용했다.
이에 따라 다음 달부터 적용될 장기운송계약(SC)도 예년에 비해 높은 운임 수준으로 체결될 가능성이 커 이러한 호황 국면은 당분간 지속될 전망이다.
또 태평양으로의 물동량이 계속해서 증가하는 추세라 2~3분기 더 좋은 실적을 올릴 수 있다는 기대감도 커지고 있다.
특히 HMM의 호실적은 2017년 한진해운 파산 후 암흑기를 벗어나지 못했던 한국 해운업계에 갖는 의미가 크다고 관계자들은 입을 모았다.
한진해운 파산 후 한국 해운은 아시아·미주 점유율이 11%에서 3%대로 떨어지는 등 침체에 허덕였지만, HMM이 세계 최대 2만4천TEU급 컨테이너선 12척을 발주하는 등 투자를 게을리하지 않았던 것이 지금의 호황을 만들어냈다는 해석이다.
HMM은 2만4천TEU 컨테이너선 12척에 더해 올해 1만6천TEU급 선박 8척을 인도받아 한진해운 파산 전 한국 해운의 점유율을 회복하겠다는 의지를 다지고 있다.
하지만 세계 최대 선사인 머스크가 HMM보다 6~7배에 달하는 영업수익을 올리는 등 전 세계 해운업계가 동일한 호황을 누리고 있어 불시에 닥칠 위험에 대비해 장기적 체력을 더욱 키워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해운은 사이클 산업이라는 특성이 강하다.
신영증권 엄경아 연구원은 "살아나지 않은 시황 때문에 글로벌 선사들이 투자에 엄두를 내지 못하는 시기에 HMM은 2만4천TEU급 12척을 주문하는 등 무언가를 했다"면서 "초대형선 수급이 상대적으로 약했던 해운동맹 '디얼라이언스' 내에서 이러한 선박을 이용해 빨리 자리매김을 했다"고 설명했다.
/연합뉴스
HMM과 SM상선의 올해 1분기 영업이익이 지난해 전체를 넘어설 것으로 전망되는 등 오랜 침체기를 거쳤던 국내 해운업계가 다시 한번 전성기를 맞고 있다.
11일 증권업계에 따르면 국내 최대 원양 컨테이너 선사인 HMM의 올해 1분기 영업이익은 7천500억 원부터 1조2천억 원까지 예상된다. 만약 HMM이 올해 1분기 1조 원을 넘는 영업이익을 올린다면 역대 최대 1분기 실적을 기록하는 동시에 지난해 총 영업이익(9천808억원)도 넘어서게 된다.
이러한 실적이 이어질 경우 HMM이 올해 연간 3조원이 넘는 영업이익을 기록할 수 있는 장밋빛 전망도 제기되고 있다.
SM그룹 해운 부문 계열사인 SM상선도 올해 1분기 영업이익이 1천200억원을 넘어서며 작년 한 해 영업이익(1천206억원)을 초과한 것으로 알려졌다.
SM상선은 올해 1~2월 해운 부문 영업이익이 864억원을 기록하면서 지난해 영업이익의 72%에 이미 달성한 바 있다.
1분기가 해운업계의 전통적 비수기란 점을 고려하면 매우 이례적인 실적이라고 업계 관계자들은 전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에 더해 운임 상승의 역할이 컸다는 분석이 나온다. 상하이컨테이너운임지수(SCFI)가 지난해 대비 3배로 치솟는 등 2월 중순까지 운임이 초강세 국면을 유지했고, 조정 국면에 진입했던 유럽 운임도 수에즈 운하 사고로 재차 반등한 것이 업계엔 호재로 작용했다.
이에 따라 다음 달부터 적용될 장기운송계약(SC)도 예년에 비해 높은 운임 수준으로 체결될 가능성이 커 이러한 호황 국면은 당분간 지속될 전망이다.
또 태평양으로의 물동량이 계속해서 증가하는 추세라 2~3분기 더 좋은 실적을 올릴 수 있다는 기대감도 커지고 있다.
특히 HMM의 호실적은 2017년 한진해운 파산 후 암흑기를 벗어나지 못했던 한국 해운업계에 갖는 의미가 크다고 관계자들은 입을 모았다.
한진해운 파산 후 한국 해운은 아시아·미주 점유율이 11%에서 3%대로 떨어지는 등 침체에 허덕였지만, HMM이 세계 최대 2만4천TEU급 컨테이너선 12척을 발주하는 등 투자를 게을리하지 않았던 것이 지금의 호황을 만들어냈다는 해석이다.
HMM은 2만4천TEU 컨테이너선 12척에 더해 올해 1만6천TEU급 선박 8척을 인도받아 한진해운 파산 전 한국 해운의 점유율을 회복하겠다는 의지를 다지고 있다.
하지만 세계 최대 선사인 머스크가 HMM보다 6~7배에 달하는 영업수익을 올리는 등 전 세계 해운업계가 동일한 호황을 누리고 있어 불시에 닥칠 위험에 대비해 장기적 체력을 더욱 키워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해운은 사이클 산업이라는 특성이 강하다.
신영증권 엄경아 연구원은 "살아나지 않은 시황 때문에 글로벌 선사들이 투자에 엄두를 내지 못하는 시기에 HMM은 2만4천TEU급 12척을 주문하는 등 무언가를 했다"면서 "초대형선 수급이 상대적으로 약했던 해운동맹 '디얼라이언스' 내에서 이러한 선박을 이용해 빨리 자리매김을 했다"고 설명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