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물가가 한국은행 목표인 2% 위로 치솟자 정부도 긴장하고 있다. 물가안정 대책을 내놓고 물가 상승세가 하반기엔 진정될 것이라고 발표하는 등 불안감 해소에 애쓰고 있다. 하지만 시장에선 물가가 ‘포스트 코로나 인플레이션’ 국면에 진입하는 것으로 보고 있으며 한은 기준금리 인상 시점도 당초 계획보다 빨라질 것으로 관측하고 있다.

정부 "하반기엔 안정된다"지만…시장선 "금리인상 앞당겨질 것"
이억원 기획재정부 1차관은 4일 “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2.3%에 이른 것은 코로나19 확대에 따른 경제 타격이 지난해 2분기 집중됐던 데 따른 기저효과에 공급 요인이 더해진 일시적인 결과”라고 진단했다. 이 차관은 이어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2분기에 2%를 웃돌 수도 있지만 하반기엔 그 가능성이 제한적”이라고 말했다. 통계청도 “하반기에 들어서 기저효과 요인이 없어지면 물가가 안정세를 되찾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정부는 이날 △5월 계란 추가 수입 △대파·양파 조기출하 독려 △구리·알루미늄·주석 조달청 비축 물량 할인 방출 등 다양한 물가 안정책을 내놨다.

하지만 시장에선 물가 상승이 지속되는 인플레이션의 가능성을 더 높게 보고 있다. 코로나19 직후 억눌린 경기·소비의 회복세가 예상보다 가파르게 나타나고 있기 때문이다. 올해 1분기 경제 성장률은 1.6%로 시장 추정치(0.7~1.0%)를 크게 웃돌았다. JP모간 등 국내외 금융회사들은 올해 한국 경제 성장률을 3%대에서 4%대로 잇달아 상향 조정하고 있다.

경기 회복 기대가 높아지는 데다 백신 접종 속도가 빨라지는 등 불확실성이 걷히면서 가계가 지갑을 열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그만큼 인플레이션에 미치는 수요 압력은 커진다. 한은 역시 짓눌렸던 소비가 보복(펜트업)소비로 이어질 수 있다는 보고서를 최근 내놨다. 김소영 서울대 경제학부 교수는 “경제 회복에 따른 수요 압력 증가로 품목을 가리지 않고 폭넓은 물가 상승이 나타날 가능성이 있다”며 “다른 나라들의 수요도 회복되며 수입 원자재발 인플레이션 우려도 있다”고 말했다.

이 때문에 한은의 기준금리 인상 시점이 앞당겨질 것이란 관측이 늘고 있다. 한은의 기준금리 인상은 당초 내년 말이나 후년께 가능할 것이라는 시각이 지배적이었다. 하지만 물가 상승 압력이 커지면서 이르면 올해 말 또는 내년 상반기 금리 인상에 나설 것이라는 분석이 힘을 얻고 있다. 김상봉 한성대 경제학과 교수는 “미국에서 백신 접종이 속도를 내는 데다 실물경제도 빠르게 반등하면서 국내외 물가와 시장금리가 나란히 올랐다”며 “뛰는 물가와 시장금리를 반영해 한은이 연내 기준금리를 올릴 수도 있다”고 말했다.

김소현/김익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