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년 탄소 피크…‘기후 악당’ 중국의 변신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세계 최대 이산화탄소 배출국인 중국은 지난해 ‘3060 탄소중립 목표’를 발표한 이후 적극적으로 탄소배출량 저감을 위해 움직이고 있다. 특히 신재생에너지, 전기차 등 에너지 전환 분야에서 특히 두각을 보인다
[한경ESG] 이슈 브리핑
2021년은 중국의 탄소중립 계획이 실행되는 해다. 시진핑 주석은 지난해 제75차 유엔기후회의에서 2030년까지 탄소 피크(연간 이산화탄소 총배출량이 최고치를 찍고 점차 감소하는 것), 2060년까지 탄소중립을 실현하겠다는 목표를 내놓았다. 이전까지는 기후변화 책임에 다소 소극적 태도를 보이던 중국이 이후 6개월간 탄소중립을 위한 세부 목표를 꾸준히 내놓는 등 적극적으로 변했다.
중국 정부는 지난 3월 발표한 제14차 5개년(2021~2025년) 계획에서도 ‘지속 가능한 성장’을 제시했다. 제14차 5개년 계획 핵심인 ‘내수 중심의 쌍순환 경제발전’을 중심으로 비화석 에너지 사용 비중을 현재 15%에서 20%까지 늘리겠다는 공격적 목표를 제시한 것이다. 이산화탄소 배출량 1위를 자랑하던 중국의 변화는 신재생에너지 확장, 탄소배출권거래소 설립 등으로 본격화하고 있다.
신재생에너지 공룡, 중국
중국의 신재생에너지 시장점유율은 계속 상승하는 추세다. 전 세계 태양광 패널업체 상위 10개사 중 8곳이 중국 기업이다. 국내 태양광 패널 역시 80% 이상 중국산에 자리를 내줬다. 지난해 증설한 중국 내 태양광 설비는 48.2GW에 달한다. 신규 증설량은 8년 연속 세계 1위, 누적 증설량도 6년 연속 세계 1위를 달성했다.
단순 생산량 증가뿐 아니라 자동화, 스마트화, 디지털화를 중심으로 큰 변화도 있었다. 진레이 중국 공업정보화부 전자정보사·전자인프라 처장은 “스마트 태양광 시대는 중국이 ‘쌍탄소’(탄소배출량 정점 도달·탄소중립) 목표를 실현하는 데 새로운 원동력을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풍력발전 성장도 가파르다. 세계풍력에너지협의회(GWEC)가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새로 설치한 풍력발전 설비의 56%가 중국산이며 중국 풍력발전 설비 용량은 유럽·아프리카·중동·중남미 지역을 모두 합친 것보다 많다. 특히 지난해 중국의 풍력 설치량은 전년 대비 93.3% 늘어나 글로벌 풍력 수요 59.7%를 차지하는 강국이 됐다.
특히 해상풍력발전을 통한 성장이 눈에 띈다. 중국의 해안지대는 약 1만8000km로 1000GW 이상의 풍력발전이 가능한 잠재력을 보유하고 있다. 최근에는 해상풍력발전 기술의 정교함도 높였다. 부유식 해상풍력발전소 설립과 해상풍력발전 제어 시스템의 국산화 등이 그 예다. 부유체에 풍력터빈을 설치하는 부유식 해상풍력발전소를 통해 수심 제약을 극복하고 기후에 따른 운영 제한을 해결할 수 있게 됐다. 해외 기술에 의존하던 해상풍력발전기 제어 시스템을 국산 기술로 대체해 독립성도 확보했다.
중국의 수소에너지는 2010년부터 10년간 누적된 생산량이 이미 1000만 톤을 넘기며 세계 1위 수준의 수소 생산국 지위를 확보했다. 정부 역시 수소 충전소 1000개 설립, 수소연료전지차 25만 대 생산 등 목표를 높게 설정하며 수소발전을 독려했다. 지난해 베이징시는 ‘수소연료전지 자동차산업 발전계획’을 발표해 2025년까지 수소연료전지 자동차 1만 대를 보급한다는 목표를 제시하기도 했다.
중국 국가에너지국이 지난 4월에 발표한 데이터에 따르면, 2021년 1분기 말 기준 중국의 재생가능에너지 발전 설비 용량은 9억4800만kWh에 달한다. 이 중 수력발전이 3억7100만kWh, 풍력발전이 2억8700만kWh, 태양광발전이 2억5900만kWh, 바이오매스발전이 3148만5000kWh다. 재생에너지 설비 용량과 함께 발전량도 증가하는 추세다. 단일 탄소배출권거래소 구축
중국이 지난 7월 16일 출범한 탄소배출권거래소는 전국의 탄소배출권을 한 번에 거래하는 단일 거래소다. 초기에는 중국 전체 배출량 중 30%가량을 차지하는 발전 산업 분야 2000여 개사가 참여한다. 참여 분야는 5년 내 석유화학, 화학, 건축자재, 철강, 유색금속, 제지, 민항 등 7대 에너지 소비 산업으로 확대될 예정이다. 이로써 중국의 탄소배출권거래소는 약 40억 톤의 탄소배출권이 거래되는 세계 최대 규모 거래소가 됐다.
자오리젠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중국이 탄소배출 정점에서 탄소중립까지 걸리는 기간은 선진국보다 훨씬 짧을 것”이라고 자신감을 내비쳤다. 생태환경부 지침에 따라 전국 통합 탄소배출권거래소가 별도로 만들어지기 전까지는 상하이 환경에너지거래소가 그 역할을 대신한다. 중국 정부로부터 탄소배출권을 부여받은 기업 중 배출량 감축에 성공한 기업은 남는 배출권을 거래할 수 있다.
중국은 지난 2011년부터 탄소배출권거래제도를 도입해 2013년부터 선전, 베이징, 톈진 등 총 8개의 탄소배출권 시범 거래소를 운영해왔다. 전국 통합 거래소는 각 지방에서 운영되던 거래소와 운영 방침도 달라진다. 궈진 증권연구소의 자료에 따르면, 전국 통합 거래소는 산업별 단위당 생산량의 탄소배출 기준을 두고 해당 연도 생산량에 따라 배출권을 부여한다. 시행 초기에는 무료로 할당량을 배분하며, 3~5년 뒤 경매 방식으로 변경할 예정이다.
한편에서는 중국이 여전히 석탄을 기반으로 한 화력발전소를 계속 짓는 데다 경제발전을 우선하는 정책 기조로 환경오염 방지 규정이 제 역할을 못한다는 점을 들어 중국의 완전한 탄소중립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김정진 중국서남정법대 교수는 중국 전문가 포럼에서 “탄소배출권거래소는 참여 기업이 제출하는 배출량 산출의 정확성, 의무 기업의 불이행 시 단속할 만한 수단 등이 과제로 남는다”고 지적했다.
에너지업계 관계자는 “신재생에너지 생산이 크게 증가해 중국의 탄소중립 달성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지만, 완전한 탈석탄은 어려워 보인다”며 “다만 친환경 기조가 후퇴할 가능성은 적은 만큼 중국 공급망 내 있는 기업은 중국 정책이나 기업 동향을 살피며 미리 대비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조수빈 기자 subinn@hankyung.com
중국 정부는 지난 3월 발표한 제14차 5개년(2021~2025년) 계획에서도 ‘지속 가능한 성장’을 제시했다. 제14차 5개년 계획 핵심인 ‘내수 중심의 쌍순환 경제발전’을 중심으로 비화석 에너지 사용 비중을 현재 15%에서 20%까지 늘리겠다는 공격적 목표를 제시한 것이다. 이산화탄소 배출량 1위를 자랑하던 중국의 변화는 신재생에너지 확장, 탄소배출권거래소 설립 등으로 본격화하고 있다.
신재생에너지 공룡, 중국
중국의 신재생에너지 시장점유율은 계속 상승하는 추세다. 전 세계 태양광 패널업체 상위 10개사 중 8곳이 중국 기업이다. 국내 태양광 패널 역시 80% 이상 중국산에 자리를 내줬다. 지난해 증설한 중국 내 태양광 설비는 48.2GW에 달한다. 신규 증설량은 8년 연속 세계 1위, 누적 증설량도 6년 연속 세계 1위를 달성했다.
단순 생산량 증가뿐 아니라 자동화, 스마트화, 디지털화를 중심으로 큰 변화도 있었다. 진레이 중국 공업정보화부 전자정보사·전자인프라 처장은 “스마트 태양광 시대는 중국이 ‘쌍탄소’(탄소배출량 정점 도달·탄소중립) 목표를 실현하는 데 새로운 원동력을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풍력발전 성장도 가파르다. 세계풍력에너지협의회(GWEC)가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새로 설치한 풍력발전 설비의 56%가 중국산이며 중국 풍력발전 설비 용량은 유럽·아프리카·중동·중남미 지역을 모두 합친 것보다 많다. 특히 지난해 중국의 풍력 설치량은 전년 대비 93.3% 늘어나 글로벌 풍력 수요 59.7%를 차지하는 강국이 됐다.
특히 해상풍력발전을 통한 성장이 눈에 띈다. 중국의 해안지대는 약 1만8000km로 1000GW 이상의 풍력발전이 가능한 잠재력을 보유하고 있다. 최근에는 해상풍력발전 기술의 정교함도 높였다. 부유식 해상풍력발전소 설립과 해상풍력발전 제어 시스템의 국산화 등이 그 예다. 부유체에 풍력터빈을 설치하는 부유식 해상풍력발전소를 통해 수심 제약을 극복하고 기후에 따른 운영 제한을 해결할 수 있게 됐다. 해외 기술에 의존하던 해상풍력발전기 제어 시스템을 국산 기술로 대체해 독립성도 확보했다.
중국의 수소에너지는 2010년부터 10년간 누적된 생산량이 이미 1000만 톤을 넘기며 세계 1위 수준의 수소 생산국 지위를 확보했다. 정부 역시 수소 충전소 1000개 설립, 수소연료전지차 25만 대 생산 등 목표를 높게 설정하며 수소발전을 독려했다. 지난해 베이징시는 ‘수소연료전지 자동차산업 발전계획’을 발표해 2025년까지 수소연료전지 자동차 1만 대를 보급한다는 목표를 제시하기도 했다.
중국 국가에너지국이 지난 4월에 발표한 데이터에 따르면, 2021년 1분기 말 기준 중국의 재생가능에너지 발전 설비 용량은 9억4800만kWh에 달한다. 이 중 수력발전이 3억7100만kWh, 풍력발전이 2억8700만kWh, 태양광발전이 2억5900만kWh, 바이오매스발전이 3148만5000kWh다. 재생에너지 설비 용량과 함께 발전량도 증가하는 추세다. 단일 탄소배출권거래소 구축
중국이 지난 7월 16일 출범한 탄소배출권거래소는 전국의 탄소배출권을 한 번에 거래하는 단일 거래소다. 초기에는 중국 전체 배출량 중 30%가량을 차지하는 발전 산업 분야 2000여 개사가 참여한다. 참여 분야는 5년 내 석유화학, 화학, 건축자재, 철강, 유색금속, 제지, 민항 등 7대 에너지 소비 산업으로 확대될 예정이다. 이로써 중국의 탄소배출권거래소는 약 40억 톤의 탄소배출권이 거래되는 세계 최대 규모 거래소가 됐다.
자오리젠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중국이 탄소배출 정점에서 탄소중립까지 걸리는 기간은 선진국보다 훨씬 짧을 것”이라고 자신감을 내비쳤다. 생태환경부 지침에 따라 전국 통합 탄소배출권거래소가 별도로 만들어지기 전까지는 상하이 환경에너지거래소가 그 역할을 대신한다. 중국 정부로부터 탄소배출권을 부여받은 기업 중 배출량 감축에 성공한 기업은 남는 배출권을 거래할 수 있다.
중국은 지난 2011년부터 탄소배출권거래제도를 도입해 2013년부터 선전, 베이징, 톈진 등 총 8개의 탄소배출권 시범 거래소를 운영해왔다. 전국 통합 거래소는 각 지방에서 운영되던 거래소와 운영 방침도 달라진다. 궈진 증권연구소의 자료에 따르면, 전국 통합 거래소는 산업별 단위당 생산량의 탄소배출 기준을 두고 해당 연도 생산량에 따라 배출권을 부여한다. 시행 초기에는 무료로 할당량을 배분하며, 3~5년 뒤 경매 방식으로 변경할 예정이다.
한편에서는 중국이 여전히 석탄을 기반으로 한 화력발전소를 계속 짓는 데다 경제발전을 우선하는 정책 기조로 환경오염 방지 규정이 제 역할을 못한다는 점을 들어 중국의 완전한 탄소중립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김정진 중국서남정법대 교수는 중국 전문가 포럼에서 “탄소배출권거래소는 참여 기업이 제출하는 배출량 산출의 정확성, 의무 기업의 불이행 시 단속할 만한 수단 등이 과제로 남는다”고 지적했다.
에너지업계 관계자는 “신재생에너지 생산이 크게 증가해 중국의 탄소중립 달성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지만, 완전한 탈석탄은 어려워 보인다”며 “다만 친환경 기조가 후퇴할 가능성은 적은 만큼 중국 공급망 내 있는 기업은 중국 정책이나 기업 동향을 살피며 미리 대비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조수빈 기자 subin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