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모신소재 "이형필름·양극재 초일류될 것"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MLCC 제조의 핵심 소재
삼성전기 물량 70% 납품
日 제치고 세계시장 1위
내년 생산량 20% 더 늘릴 것
전기차 2차전지 양극재도
3만t 이상으로 확대 계획
삼성전기 물량 70% 납품
日 제치고 세계시장 1위
내년 생산량 20% 더 늘릴 것
전기차 2차전지 양극재도
3만t 이상으로 확대 계획
![코스모신소재 공장에서 직원들이 MLCC 이형필름 품질을 점검하고 있다. /코스모신소재 제공](https://img.hankyung.com/photo/202112/AA.28336417.1.jpg)
세계 시장 점유율 1위
![코스모신소재 "이형필름·양극재 초일류될 것"](https://img.hankyung.com/photo/202112/AA.28336465.1.jpg)
삼성 공급량이 늘어나면서 세계 정상에도 올랐다. 올해 3분기 기준 코스모신소재의 이형필름 세계 시장 점유율은 23%로 1위다. 일본 린텍이 2위, 도레이가 3위다. 정보기술(IT)과 에너지저장장치(ESS), 5세대(5G) 이동통신용으로 MLCC 수요가 크게 늘어난 영향이다. 그는 “작년 대비 생산능력(캐파)을 30% 늘린 증설이 지난 10월 끝나 11월 양산에 들어갔다”며 “양이 얼마나 되든, 먼지 하나 없고 균일하게 무결점 코팅하는 게 코스모신소재의 경쟁력”이라고 말했다. 이 회사가 생산하는 이형필름의 가로 길이는 280㎝지만 세로는 1만m에 달할 정도로 길다.
MLCC 끌고 전기차 밀고
코스모신소재는 올해 3분기(누적) 매출 2422억원, 영업이익 178억원을 기록했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18%, 영업이익은 43% 늘어났다. 올해 연간으로는 매출 3300억원, 영업이익 220억원을 기록할 것으로 증권가는 예상하고 있다. MLCC 시장 호황이 지속되고 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내년에 추가 증설에 나설 정도다. 내년 말까지 올해 대비 생산능력을 20% 확대한다는 목표다. 홍 대표는 “해외에서도 러브콜이 잇따르지만 삼성에만 공급하기도 바쁘다”고 했다.내년에는 전기차용 2차전지 소재 사업에 한층 탄력이 붙을 전망이다. 이 회사는 2차전지 3대 소재 중 하나로 배터리 성능을 좌우하는 양극재도 만든다. 전기차용 2차전지 국내 양대산맥인 두 대기업과 모두 거래한다. 기존엔 스마트폰 양극재 시장을 공략했지만 지금은 자동차산업이 핵심 전방시장이다. 충주 공장에서 현재 연 2만t인 생산능력을 내년에 3만t 이상으로 늘릴 계획이다. 이렇게 MLCC가 끌고 전기차가 밀면서 2022년 매출은 4000억원을 훌쩍 넘어 5000억원 선까지 가능할 것으로 키움증권 등 증권가는 예상하고 있다.
홍 대표는 옛 LG금속 출신으로 7년 전 코스모신소재 대표로 발탁됐다. 이형필름과 양극재를 회사의 핵심 성장동력으로 키운 공로를 인정받아 내년 초 사장에서 부회장으로 올라설 예정이다. 홍 대표는 “중견기업은 기술밖에 믿을 게 없다”며 “이형필름과 양극재 기술력을 초일류로 키워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병근 기자 bk11@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