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형진 서울대 교수
심형진 서울대 교수
호세 N 레이예스 뉴스케일 창업자 겸 최고기술책임자(CTO)는 “글로벌 에너지산업 재편이 뉴스케일의 코밸리스 연구단지에서 시작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지난해 말 심형진 서울대 원자핵공학과 교수와 화상으로 대담하면서 이같이 말했다. 뉴스케일의 소형모듈원자로(SMR)가 에너지 패권 시대의 게임체인저가 될 것이라는 자신감을 내비친 것이다.

심 교수는 “미국 정부의 전폭적인 지원이 뉴스케일이 순항하고 있는 원동력”이라고 진단했다. 그는 “한국에 대형 원전 제조 및 테크놀로지에 관한 주도권을 빼앗겼다는 위기감이 미국 정부를 움직이고 있다”고 분석했다.

미 에너지부(DOE)는 뉴스케일에 전례없는 지원을 쏟아붓고 있다. 작년 말까지 누적 투자 금액만 4억달러(약 4752억원)에 달한다. 2023년 뉴스케일의 SMR이 아이다호 인근에 착공될 때엔 DOE가 공사비 일부인 14억달러(약 1조6632억원)를 지원하기로 했다.

DOE가 새로 도입한 ‘규제 갭 분석(requlatory gap analysis)’ 제도는 미 정부의 SMR 개발 의지가 어느 정도인지를 잘 보여준다. 레이예스 창업자는 “완전히 새로운 방식의 원전인 SMR 개발을 허가하기 위한 조치였다”며 “기존 대형 원전 건설에 대한 모든 규제를 나열한 뒤 뉴스케일 SMR에 불필요한 것을 모두 없앴다”고 설명했다. ‘괴짜 연구’로 불렸던 SMR 프로젝트는 DOE의 전폭적인 지원에 힘입어 속도를 낼 수 있었다.

호세 레이예스 뉴스케일 창업자
호세 레이예스 뉴스케일 창업자
레이예스 창업자가 2007년 뉴스케일을 설립하자 미국 건설회사 플루어가 2011년 4억7000만달러를 투자했다. DOE도 2년 뒤 2억2600만달러를 지원했다. 심 교수는 “탈원전 논란은 별개로 하더라도 한국에선 불가능한 일”이라고 부러워했다.

그는 “한국이 SMR을 개발하려면 규제 시스템을 선진화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두산중공업을 비롯한 국내 기업들은 세계 1위 원전 기술력으로 미국 대형 원전 기술의 본산 웨스팅하우스를 침몰시켰지만, SMR 분야에선 뒤처지고 있다. SMR 개발을 위한 실증 사업조차 첫발을 떼지 못하는 실정이다.

레이예스 창업자는 “SMR을 포함한 미국 신규 원전 시장은 2035년까지 1000억달러(약 120조원) 규모로 성장할 것”이라며 “뉴스케일이 글로벌 시장 수요의 20% 수준까지 감당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원전 기술 강국인 한국엔 아직 기회가 충분하다”고 했다. 레이예스 창업자는 “한국의 대형 원전 건설 기술력은 시장에서 증명됐다”며 “한국 정부와 국민의 든든한 지원이 뒷받침돼야 SMR 사업이 성공할 수 있다”고 조언했다.

박재원 기자 wonderfu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