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선 한전은 감전 끼임 추락 등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치명적 3대 주요 재해는 미리 정한 안전 요건이 충족된 경우에만 작업을 시행하는 등 현장중심의 안전대책들을 적극 수립하고 즉시 실행키로 했다. 감전 사고를 막기 위해 ‘위해요인’의 물리적 분리, 직접활선공법 즉시 퇴출, 정전 후 작업을 확대할 방침이다.
한전은 2018년부터 간접활선(전력선 비접촉) 작업 전환을 추진하고 있다. 하지만 약 30%는 직접활선(전력선 접촉) 작업이 시행돼 왔다. 앞으로는 직접활선공법을 완전히 퇴출시켜 작업자와 위해 요인을 물리적으로 분리할 방침이다. 또 비용과 시간이 더 들고, 전력공급에 지장이 있더라도 감전의 우려가 전혀 없는 ‘정전 후 작업’을 확대하기로 했다.
또 추락사고를 막기 위해 작업자가 전주에 직접 오르는 작업을 전면 금지한다. 모든 배전공사 작업은 고소작업차 사용을 원칙으로 한 것이다. 다만 절연버킷(고소작업차)이 진입하지 못하거나 전기공사업체의 장비수급 여건이 곤란한 경우에는 해당 사업소가 사전 안전조치를 검토·승인 후 제한적으로만 예외를 적용하도록 했다.
철탑작업은 전국 4만3695개소 철탑에 추락방지장치를 설치 중이다. 당초 계획보다 3년 앞당긴 2023년까지 추락방지장치 설치를 완료하기로 했다. 한전은 끼임사고를 근절하기 위해 작업용 특수차량에 밀림 방지장치 설치를 의무화한다. 예를 들어 전기공사용 절연버킷 차량의 밀림 사고 예방을 위해 풋브레이크와 아웃트리거 간 시동잠금 장치와 고임목을 반드시 설치한 이후 작업을 진행하기로 했다. 한전은 절연버킷에 대한 기계적 성능 현장확인 제도를 도입하고 원격모니터링 시스템을 통해 고임목 설치 여부를 확인한 후 작업을 시행하기로 했다.
한전이 관리하고 있는 전력설비는 전주(973만 기), 철탑(43,695기), 변전소(892개소)가 주종을 이루며, 전국적으로 분포돼 있다. 매일 평균적으로 전국 약 1500개소에서 전력설비의 건설과 유지보수 공사가 시행돼 연간 총 28만 건에 이른다. 한전 측은 전력설비의 계획·건설, 유지·보수 과정에서 무정전, 신속복구 등 전기사용자의 편의 증진을 최우선으로 하면서 안전관리에 허점이 있다는 점을 발견했다. 전기공사업 참여가 허가제에서 신고제로 바뀌면서 진입 문턱이 낮아져 영세 소규모 전기공사업체가 급증한 게 관리 사각지대 발생의 원인이라는 진단이다. 한전 측은 작년 11월 여주 전기공사 사고와 관련해 “사고 사망자의 유족분들께 진심어린 사과와 위로의 말씀을 드린다”며 “작업자의 생명보호와 안전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밝혔다.
이지훈 기자 lizi@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