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로이터
사진=로이터
미국은 최근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할 경우 ‘달러 결제망’에서 퇴출할 수 있다고 엄포를 놨다. 러시아 금융회사가 금융결제망인 스위프트(SWIFT·국제은행간통신협회)에 접근하는 것을 차단한다는 것이다.

러시아는 스위프트에서 배제될 경우 유럽으로의 가스·석유 수출을 중단될 것이라고 경고하는 등 민감한 반응을 보였다. 니콜라이 주라블레프 러시아 상원의원은 최근 타스통신과 인터뷰에서 "러시아가 스위프트에서 차단되면 외화를 받지 못한다"며 "유럽 국가들도 우리의 가스와 석유, 금속 등을 받지 못할 것"이라고 말했다. 미국과 유럽의 으름장에도 아랑곳하지 않고 우크라이나를 위협하던 러시아가 스위프트 배제에 부랴부랴 맞대응에 나섰다. 세계 각국에 상당한 영향력을 미치는 스위프트의 존재감을 보여주는 사례다.

달러조달 파이프...끊기면 치명적

스위프트는 1973년 유럽과 북미의 239개 금융회사가 회원사 간 결제업무를 처리하기 위해 만든 폐쇄형 지급결제망이다. 현재는 1만1000개에 달하는 전세계 금융회사(중앙은행 포함)와 기업이 가입해 있다. 스위프트 지분은 3000개 금융회사가 공동으로 소유하고 있다. 1977년 첫 서비스를 시작했을 땐 연간 1000만건의 거래가 이뤄졌지만 최근에는 4000만건으로 늘었다.

세계 각국의 송금망은 이 스위프트를 거친다. 예컨대 미국 LA의 기업이 서울의 다른 업체에 돈을 보내기 위해 미국 거래은행에 요청하면, 이 은행은 스위프트망을 통해 B업체의 거래은행에 메시지를 보내 결제하는 식이다. 세계 금융을 연결하는 파이프라인 역할을 한다.

러시아가 스위프트에서 퇴출되면 러시아와 해외의 금융기관 간 자금 송금이 거의 불가능하게 된다. 러시아 은행 및 기업과 외국업체와 거래가 막히게 된다. 미국 달러화로 러시아 석유나 가스를 구매하는 기업은 러시아에 돈을 전달할 방법이 사실상 막히게 되는 것이다. 스위프트 퇴출은 러시아로 통하는 달러 공급선을 봉쇄한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국제 달러조달선인 스위프트는 미국의 영향력 아래 있다. 미국이 스위프트를 바탕으로 달러를 무기화할 수도 있다는 의미다. 러시아는 물론 수출규모 전세계 1위인 중국을 비롯해 전세계가 수출대금을 스위프트을 통해 받는다. 미국이 스위프트를 통해 언제든 이 수출대금이 오가는 돈줄을 끊을 수 있다. 스위프트를 바탕으로 달러패권을 다지고 있는 것이다.

중국·러시아 대응수단 강구 부심

중국과 러시아는 이 같은 스위프트 퇴출에 대응하기 위해 다양한 방안을 시도하고 있다. 중국과 러시아가 미국 달러 대신 자국 통화를 활용한 무역 결제를 늘리는 것이 대표적이다. 작년 9월 러시아의 가스 기업 가즈프롬 산하 정유회사인 가즈프롬네프트는 중국과 러시아를 오가는 항공기 급유 비용을 달러 대신 위안화와 루블화로 받기 시작했다. 가즈프롬네프트는 중국 내 34개 공항에서 항공유 급유 사업을 하고 있다. 중국과 러시아 간 교역량이 불어나는 만큼 주요 상품의 자국 통화 결제가 계속 증가할 것으로 보고 있다.

작년까지 중국과 러시아의 교역 규모는 3년 연속 1000억달러(약 119조원)를 넘어섰다. 러시아 중앙은행과 세관당국에 따르면 중·러 간 교역에서 위안화 결제 비중은 17% 이상이다. 러시아의 외환보유액에서 위안화 비중은 12%를 넘는다.

중국도 스위프트 위협에 시달린 사례가 있다. 미국은 2020년 중국 정부의 ‘홍콩 국가보안법’ 강행에 대응하기 위해 스위프트에서 홍콩을 배제하는 방안 등을 검토한 바 있다.
중국·러시아도 떤다…미국의 비밀병기 '스위프트' [김익환의 외환·금융 워치]
최근 디지털화폐에 몰두하는 것도 이같은 탄탄한 달러패권을 흔들려는 시도로 읽힌다. 미국이 중국을 압박하기 위한 수단으로 달러를 언제든지 쓸 수 있는 만큼 이에 대응하려는 의도도 엿보인다. 중국이 달러 거래망을 우회해 한국을 비롯한 주요 교역국과 디지털화폐 결제시스템을 구축할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국가 간 거래에서 디지털 위안화를 쓰면 스위프트 등 달러 중심의 국제 금융결제 시스템에 대한 의존도를 크게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현재 중국은 미국의 금융제재를 받는 이란 베네수엘라 등과 거래하는 과정에서 위안화를 결제 통화로 쓰고 있다.

하지만 한계도 뚜렷하다. 금융위원장을 지낸 전광우 세계경제연구원 이사장은 "인류 역사에서 통화패권이 바뀐 사례는 1·2차 세계대전을 거치면서 영국 파운드에서 미국 달러로 넘어간 것이 유일하다"며 "디지털화폐 등장으로 금융·통화 체계가 단숨에 바뀔 가능성은 희박하다"고 말했다.

김익환 기자 love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