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ESG] 칼럼
2022년 저탄소 경제 전환 시대에 기업은 리스크 및 자산가치에 대한 근본적 재검토가 필요하다. 지난해 11월 영국 글래스고에서 폐막한 제26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6)에서 기후 합의 채택에 실망한 관계자들은 “1.5℃가 살아 있지만 맥박이 약하다”(COP26 의장), “크나큰 모순을 해결하기엔 역부족”(유엔 사무총장)이라며 우려하는 반응을 보였다. 기업들은 화석연료 사용 중단 압박에 다소 숨통이 트인다는 반응이었다. 그러나 온실가스 감축 이행에 대한 글로벌 합의와 별도로, 자본시장은 미래 리스크를 현재가로 반영하므로 기후변화의 속도보다 빠르게 자본 배분의 변화가 이뤄질 것이다.

필연적으로 자본시장은 기후변화로 인한 기업의 전환 리스크(규제 및 정책 대응 비용)뿐 아니라 물리적 리스크와 새로운 비즈니스모델, 기술 역량에 따른 기회 측면을 포괄하는 정보 요구를 강화하고 있다.

전환 리스크 측면에서는 기업의 수익과 기업가치 등 재무 성과에 부정적 영향을 의미하는 것이며 부도율, 회사채 금리, 은행 대출에도 영향을 미친다. 한국은행은 저탄소 경제로의 전환은 기후변화로 인한 물리적 피해는 줄이지만, 온실가스 배출량이 많은 고탄소 산업의 자산가치 하락, 규제 대응 비용 증대 등 전환 리스크로 인해 재무 성과에 부정적 영향이 크다고 분석했다. 연구 결과 2040년 1.5°C 목표 기준 고탄소 산업과 저탄소 산업의 주가는 각각 51.4%, 7.3% 하락하고 부도율은 각각 9.8%, 0.1% 증가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KPMG가 모건스탠리캐피탈인터내셔널(MSCI) 데이터를 활용해 분석한 결과, 국내 온실가스 배출량 관리업체 중 144개 기업 23개 업종의 2040년 기업가치는 약 51.1% 하락할 것이라 추정했다. 여기에 기후변화에 따른 물리적 리스크를 더하면 기업의 재무적 영향은 더욱 증대될 것이다. 물리적 리스크는 업종과 관계없이 사업장 위치와 공급망 특성에 따라 영향을 받으므로 고탄소 또는 저탄소 업종의 구분이 무의미하다. 실제로 규제 리스크 비용 대비 물리적 리스크 비용이 더 높은 기업이 적지 않다.

기후변화 리스크가 자본시장에 미치는 영향의 증대로 지속 가능 정보는 재무정보와 동일한 수준으로 중요해지고 있다. 이미 자본시장은 기후변화 관련 재무정보공개 태스크포스(TCFD)에 따른 기업의 기후변화 관련 전략과 재무 영향 공시를 요구하고 있으며, ‘그린 택소노미‘를 통한 저탄소 및 친환경 사업의 투자 활성화를 유도하고 있다. 실제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회계기준을 마련하는 IFRS 재단은 기후변화 중심의 공시기준 제정에 집중하고 있다. 자본시장이 글로벌 탄소중립 목표 달성에 필수적 역할을 해야 한다는 의미에서다.

하지만 우리 기업은 기후변화 대응을 ‘온실가스 감축’ 자체에 집중하기 때문에 재무와 기업 전략에 미치는 다양한 분석을 통합하는 데 어려움을 느끼고 있다. 기업은 기후변화 리스크의 재무적 영향을 관리하는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 자사의 탄소감축 경로, 저탄소 친환경 제품 개발 기술 및 판매 로드맵을 수정하고 기후변화 리스크와 기회 관점에서의 비즈니스 포트폴리오 점검이 시급하다.

김정남 삼정KPMG 상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