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편(竹篇) 1
-여행


여기서부터, -멀다
칸칸마다 밤이 깊은
푸른 기차를 타고
대꽃이 피는 마을까지
백 년이 걸린다.


* 서정춘 : 1941년 전남 순천 출생. 1968년 《신아일보》 신춘문예로 등단. 시집 『죽편』, 『봄, 파르티잔』, 『귀』, 『물방울은 즐겁다』 등 출간. 박용래문학상, 순천문학상, 최계락문학상, 유심작품상 등 수상.
[고두현의 아침 시편] 여관방 벽지에 쓴 인생시 ‘죽편’
인생을 대나무와 기차에 비유한 명시입니다. ‘죽편’은 가객 장사익의 노래로도 유명하지요. 서정춘 시인이 1980년대 후반, 허름한 여관방에서 누군가를 종일 기다리다 번개같이 떠오른 시구를 벽지에 휘갈겨 썼다고 합니다.

“그날 혼자 여관방에서 ‘인생이란 대체 뭐길래 내가 여기까지 왔나, 왜 왔나, 여기서 얼마나 더 기다려야 하나… 온갖 상념으로 7시간을 뒤척였죠. 그런데 갑자기 ‘여기서부터, -멀다’라는 시구가 번개같이 떠오르는 거예요. 종이가 없어서 그걸 여관 벽지에다 썼지요….”

이 시의 ‘칸칸마다 밤이 깊은/ 푸른 기차’는 끝없는 인생의 여정을 닮았습니다. 시인은 ‘여기서부터,’라고 쉼표를 찍어 반 박자 쉰 다음, 하이픈을 그어 또 호흡을 조절하면서 ‘대꽃이 피는 마을까지’가 얼마나 먼지를 절묘하게 표현했지요. 5행 37자 압축미의 극치입니다.

4년 동안 80번 이상 고치고 또 고친 시

원래 초고는 25행이 넘었다고 합니다. 여관방도 등장하고 몇 시간이나 사람을 기다리던 얘기도 들어 있고 이래저래 군더더기가 많았다는군요. 그는 이 시를 4년 동안 80번 이상 고치고 또 고쳤습니다. 그러면서 고향 순천에 많았던 대나무와 대나무 막대를 가랑이에 끼고 기차놀이하던 기억, 거기에 대나무의 수직 이미지와 기차의 수평 이미지, 시간과 공간, 인생과 여행의 의미를 교직해냈지요.

그는 지금도 벽에 시 초고를 붙여놓고 들여다보는 게 버릇이라고 합니다. 그 옆엔 연필도 매달아놓고. 등단한 지 50년이 넘었지만 시집은 고작 다섯 권, 발표한 시는 160편 안팎입니다. 1년에 3~4편. 무수히 버리고 줄인 결과이지요.

첫 시집 『죽편』은 등단 28년 만에 냈습니다. 동갑내기 고향 친구인 소설가 김승옥의 추천으로 동화출판공사에 들어가 꼬박 28년을 일하고 정년퇴임할 때였죠. ‘극약같이 짧은’ 시 35편만 묶었습니다. 그때까지 서랍 속에 모셔뒀던 70여 편 중 절반을 버렸지요.

1941년 전남 순천에서 마부의 아들로 태어난 그는 가난과 독학으로 시의 길을 헤쳐 왔습니다. 신문을 배달하다 우연히 집어 든 영랑과 소월의 시집을 밤새 필사했죠. 매산중고 야간부 시절 순천여고 앞 9평 7홉짜리 초가집에서 300편 이상의 시조를 겁 없이 써 제꼈습니다. 1968년 신아일보 신춘문예로 등단할 때까지 한시와 선시를 탐독하며 앞선 이들을 스승으로 삼았지요.

헌정시를 가장 많이 받은 생존시인

2017년에 펴낸 『이슬에 사무치다』는 손으로 직접 만든 수제 시집입니다. 가내수공 출판전문가가 광목천으로 배접하고 바느질로 마무리하면서 하루 15권씩, 두 달 이상 작업해 1000권을 완성했죠.

표제작 ‘이슬에 사무치다’ 역시 수없이 고친 작품입니다. 제목도 ‘초로(初露)’에서 ‘이슬보기’로, ‘이슬에 사무치다’로 바꿨죠. 월트 휘트먼이 단 한 권의 시집 『풀잎』을 평생 고쳐 쓴 것과 같습니다.

그러나 필요한 자리에서는 즉흥시도 곧잘 씁니다. 농부시인 류기봉의 포도밭 축제 때에는 반주 한 잔 후 흰 천에 ‘즉흥, 포도밭’이라는 시를 순식간에 썼죠.

‘포도밭 주인아/ 포도나무 앞에서/ 이응(ㅇ)/ 이응(ㅇ)/ 열 번 백 번을/ 발음하여라/ 열 번에 포도송이/ 응(ㆁ), 응(ㆁ), 하면서/ 천 송알 만 송알이/ 맺히리/ 포도밭 주인아.’
이런 시인 곁에서는 포도밭도, 햇빛도, 새도 모두 시가 됩니다.

그는 시인들의 헌정시를 가장 많이 받은 생존시인이기도 합니다. 그를 주인공으로 삼은 시가 40편이 넘습니다. 선배로는 1960년 등단한 고(故) 정진규 시인부터 후배로는 2000년 등단한 장이지 시인까지 연령대도 다양했지요. 등단 50주년인 2018년에는 이런 시들을 모은 『서정춘이라는 시인』이 출간됐습니다.

지금도 그를 좋아하는 시인들이 늘어나고 있지요. 타고난 서정성과 짧은 문장, 함부로 언어를 남발하지 않는 과작의 덕목이 그를 ‘시인들에게 가장 사랑받는 시인’으로 만든 원동력이 아닌가 싶습니다.

■ 고두현 시인·한국경제 논설위원 : 1993년 중앙일보 신춘문예 당선. 시집 『늦게 온 소포』, 『물미해안에서 보내는 편지』, 『달의 뒷면을 보다』 등 출간. 시와시학 젊은시인상 등 수상.


고두현 논설위원 kd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