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日, 중국 경기 둔화에 경제성장 타격"…IMF의 전망 [조미현의 외환·금융 워치]
한국과 일본이 중국의 경기 둔화와 공급망 차질로 경제 성장에 차질을 빚을 것이란 국제통화기금(IMF)의 전망이 나왔다.

크리슈나 슈리니바산 IMF 아시아·태평양 담당 국장은 28일(현지시간) IMF 블로그를 통해 "아시아 최대 경제국인 중국은 지난 2분기 코로나 제로 정책으로 주요 도시와 공급망 허브의 폐쇄가 가속화되면서 큰 폭의 감속세를 보였다"며 "글로벌 공급망과 중국과 긴밀히 통합된 최대 지역경제인 일본과 한국도 외부 수요 감소와 공급망 붕괴로 성장이 둔화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슈리니바산 국장은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의 후임이다.

앞서 IMF는 중국의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4.4%에서 3.3%로 수정했다. 중국의 내년 성장률은 4.6%로 내다봤다. 슈리니바산 국장은 특히 중국의 경기 침체가 장기화되고 있는 부동산 시장의 부진(slump)이 반영됐다고 언급했다.

MF는 한국의 올해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2.5%에서 2.3%로 낮췄다. 일본의 경제성장률 전망치는 2.4%에서 1.7%로 수정했다. 그는 "다만 최근 중국의 경기 둔화에도 불구하고 코로나 규제가 점차 완화되고, 제조업과 관광업이 회복세를 보이면서 말레이시아나 태국 등은 점차 경기 반등을 보이고 있다"고 했다.
IMF 홈페이지
IMF 홈페이지
슈리니바산 국장은 "중국을 제외한 아시아의 대부분 신흥시장국들은 2013년과 비슷한 자본유출을 경험했다"며 "특히 인도에서는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이후 230억 달러의 자본 유출이 발생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미국 중앙은행(Fed)이 지속적인 금리 인상을 예고하고 지정학적 긴장 때문에 한국과 대만 등 일부 아시아 선진국에서도 자본 유출이 나타났다"고 덧붙였다.

이어 "아시아의 인플레이션 압력이 다른 지역과 비교하면 비교적 덜한 편이지만, 많은 국가에서 물가 상승률이 중앙은행의 목표치를 넘어섰다"고 지적했다.

슈리니바산 국장은 "부채 수준이 높은 국가들은 인플레이션을 다스리기 위해 통화 정책을 펼치면서 긴축적인 재정 정책이 필요하다"며 "동시에 에너지나 식품 가격의 급등으로 새로운 충격에 직면한 취약 계층을 일시적이고 집중적으로 지원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또 재정 지원이 부채를 늘리는 방식이 아닌 예산 재조정 등을 통해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다만 슈리니바산 국장은 "중장기 재정 정책이 수립돼 있다면 일본과 중국은 예외다"라고 덧붙였다.

그는 "인플레이션 기대 심리와 임금 상승의 악순환을 막기 위해 몇몇 국가들은 기준금리를 빠르게 인상할 필요가 있다"며 "이를 방치한다면 나중에 더 큰 폭의 인상을 해야할 수 있다"고 했다.

조미현 기자 mwis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