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뷰 내용 중 일부를 발췌한 것입니다. 전체 내용은 동영상을 클릭 하시거나, 유튜브 채널 '한경코리아마켓'에서 보실수 있습니다.

▶안재광 기자


한국의 경제 성장률이 1%대에 머물 것이란 전망이 줄을 잇고 있습니다. 최근 5년간 한국의 경제 성장률은 연평균 2.3%였는데요. 1%대면 꽤 낮은 것이죠.

내년에 얼마나 경제가 어려울지, 주원 현대경제연구원 경제연구실장님 모시고
말씀 나눠보도록 하겠습니다.

안녕하십니까. 내년 경제성장률 전망치가 계속 내려가고 있는데요. 당초 2% 안팎이던 것이 지금 이제 1%대 중반까지 내려온 것 같아요. 내년에 얼마나 어려울까요.
'걱정 말아요, 그대'…내년에 경제 안 망합니다 [안재광의 더부자]
▶주원 현대경제연구원 연구실장

올해보다 내년 경제 상황이 나빠진다는 것은 모든 전문가들이 100% 동의합니다.
올해 경제 성장률을 2%대 중반 정도로 보고 있으니까. 1%대 초반이든, 후반이든 상당히 나빠지는 거죠. 극단적으로 성장률이 1% 포인트가 떨어지는 것이니까. 상당히 나빠지는 모습이라고 볼 수 있는데요.

최근 한 두 달 사이에 2%대 초반을 전망했던 내년 성장률을 기관들이 다 1%후반으로 내리고 있어서 이 정도면 우리가 외환위기나 금융위기가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쳤던 해를 빼놓고는 1%대 성장률을 경험한 적은 없어요. 상당히 어렵다고 보시면 될 것 같고요

어쩔 수 없는 부분인 것 같아요. 국내 요인도 있지만 주로 바깥에서 특히, 수출 쪽에서 안 좋아지는 부분. 그런 것들이 아마 성장률 하락을 주도할 것 같다.

▶안재광 기자

올해 여러 가지로 힘들었는데 물가는 높고 환율은 올라가고 금리도 계속 올라갔으니까요. 하나씩 따져보도록 하겠습니다.

올해 물가가 가장 큰 화두였던 것 같은데요. 물가가 정점을 찍고 예전 수준으로까지 내려갈지가 관심인데요. 미국의 11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나왔는데, 전월 대비로는 0.1% 오른 올랐고, 전년 동월 대비로는 7.1% 오른 것으로 나왔더라고요

절대적으로 높은 수준이긴 하지만 그래도 추세적으로 봤을 때 이제 내려가는 것이니까요. 이제 물가는 어느 정도 잡혔다고 봐야 됩니까. 어떻게 봐야 되나요.

▶주원 현대경제연구원 연구실장

피크웃은 지나갔다고 생각이 됩니다. 정점을 형성하고 내려가는. 그런데 우리가 상승률 기준으로는 여전히 플러스잖아요. 조금씩이라도 오른다는 것이죠.

상승률이 마이너스가 나와야 전월비로. 완전히 꺾였다고 볼 수 있는데. 그런데, 분위기 자체는 더 오르기는 어려운 것 같아요. 주변 여건들을 보면 특히 원자재나 에너지 가격이 좀 많이 떨어져 있고. 그런 걸 생각하면 인플레이션은 시간이 가면 갈수록 우리나라 경제든, 세계 경제든, 미국 경제든 부정적인 영향을 덜 준다고 봐야 될 것으로 생각이 되고.

특히 이번에 미국 소비자 물가 상승률 전망치가 11월 예측치로 전년 동월 대비로 7.3% 정도 시장에서는 생각했는데, 그보다 더 낮았죠. 그래서 상당히 중요한 분기점에 와 있지 않은가 이 지표가.

앞으로 미 연준의 통화 정책, 금리 결정에도 영향을 미칠 것이고. 그게 결국은 이제 우리나라 금리에도 영향을 미칠 것이기 때문에 이번에 좀 고무적인 모습이라고 생각이 됩니다.

▶안재광 기자

미국 연준이나 한국은행이나 바람직한 물가 상승률을 2% 수준으로 바라보고 있긴 한데요. 물가 상승률이 전년동월 대비로 미국에서 9%대까지 봤으니, 과거의 2%대 수준까지 물가를 낮출 수 있겠느냐 하는 의문이 듭니다. 그래서 최근 경제 전문가들이 2%라는 숫자에 연연하지 않고 연준이 3% 혹은, 4%까지를 바람직한 물가 상승률을 높일 것이다. 그리고 그에 맞게 금리나 통화 정책을 가져갈 것이다. 이런 전망들도 나오고 있던데요.

적정 물가라는 것을 어떻게 봐야 되고, 통화 정책을 하는 중앙은행들이 어떻게 물가를 바라볼 지 궁금합니다.

▶주원 현대경제연구원 연구실장

한국은행만 해도 홈페이지에 들어가면 물가 목표가 크게 나와 있어요. 2.0%라고. 연준도 그렇고 우리나라도 그렇고 2%라는 숫자는. 언제 그게 만들어졌냐 하면, 기억들을 잘 못하실 수 있는데,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에 상당히 저물가 기간이 오래됐습니다.

그러면서 만들어진 목표치이기 때문에 사실 지금 상황하고는 안 맞는 것 같아요. 우리나라도 그렇고 미국도 그렇고. 지금 우리나라가 5%까지 왔죠. 미국은 7%대. 7.1%까지 왔고. 그게 2%까지 떨어지려면 오래 걸릴 것이고.

그때까지는 금리를 내리지 말아야 하는 것이냐. 그럴 수는 없는 것 같고. 전문가들의 생각이 맞는 것 같고요. 다만 중앙은행에 있는 사람들이 상당히 자존심이 세요. 자기들이 2%를 던져놓고 이게 공식적인 목표치인데. 연준의 경우도 그렇고 우리 한국은행 총재도 그렇고 2%에 도달할 때까지는 금리 정책에 변화는 없다. 이렇게 항상 얘기를 했으니까요. 근데 상황은 많이 변했어요.

오버 캐리라는 용어가 있거든요. 금리를 너무 높은 수준으로 계속 유지를 하면 실물 경제가 죽는다는 거죠. 경기 침체에 대한 우려가 상당히 높아져 있기 때문에 결론적으로 2%를 고집하지는 않을 것 같아요. 어느 순간 슬그머니 3%대나 4%대로 적정 금리를 인하할 수도 있지 않는가 하는 코멘트들이 나올 수 있다고 생각이 듭니다.

기획 한경코리아마켓
총괄 조성근 부국장
진행 안재광 기자
편집 박정호 PD
촬영 박정호 PD
디자인 이지영·박하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