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 일본, 중국 등 동아시아 국가에서 고령화가 급속도로 진행되면서 전통적인 은퇴 연령을 넘기고도 고된 노동을 계속하는 노인이 늘고 있다고 미국 일간 뉴욕타임스(NYT)가 7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인구 구조의 변화로 각국 연금 사정이 여의치 않아지면서 퇴직자들에게 다달이 먹고 살 만큼 충분한 연금을 지급하기가 어려워졌기 때문이다.
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인구통계학자들은 이미 수년간 선진국들의 '인구구조적 시한폭탄'을 경고해 왔지만, 일본 등 동아시아 지역에서는 이미 정부와 기업, 누구보다도 고령층 자신이 고령화 사회의 현실을 뼈저리게 체감하고 있다고 NYT는 전했다.

한국에서는 노인 빈곤율이나 일하는 65세 이상 인구 비율이 각각 40%가량 된다. 홍콩에서는 노인 8명 중 1명꼴로 일을 하지만, 일본에서는 노인 4명 중 1명꼴로 일한다. 미국에서 18%인 것과 비교해 높은 것이다.

고령 근로자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지면서 노동시장의 풍경이나 정책도 달라지고 있다. 일본과 한국에는 고령 노동자를 위한 임시 직업소개소나 노조가 있다. 하지만 안정적인 정규 사무직은 대체로 젊은이들에게 주어지며, 노인들에게는 저임금에 체력적 소모가 큰 계약직 자리를 주로 돌아오는 게 현실이다.

NYT는 일본과 한국, 중국, 홍콩에서 노인들이 일을 하거나 여가를 보내는 모습을 담은 사진을 기사에 곁들이면서, 한국에서는 오전 11시 30분부터 점심 식권을 나눠주는 한 시설에서 노인들이 아침 9시부터 줄을 서고 있다고 소개하기도 했다.

각국 정부는 노동력 부족과 연금 고갈을 막기 위해 은퇴 연령을 높이는 것을 타진하고 있지만, 이는 만만치 않은 저항에 부딪히고 있다. 뉴욕 페이스대학의 천쉬잉 교수는 "(중국에서)사람들은 화가 나 있다"라며 "정년까지 풀타임으로 일했는데 더 일하라는 것이냐고 한다"고 전했다.
동아시아 기업들은 주로 근무 경력에 따라 임금이 높아지는 만큼 기업들은 정년을 늘려 임금 부담을 늘리기보다는 나이가 들수록 임금을 깎기를 바란다는 것이다.

박신영 기자 nyuso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