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범준 기자
김범준 기자
올해 2월 출생아 수가 2만명 아래로 내려가며 1981년 관련 통계 작성후 2월 기준 최저를 기록했다. 사망자가 출생아보다 많은 인구 자연감소도 40개월째 이어졌다.

26일 통계청이 발표한 ‘인구동향’에 따르면 지난 2월 출생아 수는 1만9939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766명(3.7%) 감소했다. 매년 2월 기준 출생아 수는 1981년 9만3556명에 달했지만 2001년엔 4만9939명으로 줄었고, 지난해 2만705명까지 떨어진데 이어 올해는 2만명 아래로 떨어졌다.

올해 2월 출생아를 지역별로 보면 17개 광역시·도 중 대구 인천 강원 전남 경북 등 5곳을 제외한 12개 시·도에서 출생아 수가 감소했다. 인구 1000명당 출생아 수인 조출생률(5.1명)도 2월 기준 사상 최저를 기록했다. 세종의 조출생률이 9.4명으로 가장 높았고, 전북이 4.0명으로 가장 낮았다.

월별 출생아 수는 2015년 12월 이후 87개월째 감소세(전년동기대비)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월간 기준으로 역대 출생아 수가 가장 적었던 때는 지난해 12월로 1만6803명였다.

올해 2월 사망자 수는 2만7390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1905명(6.5%) 감소했다. 월별 사망자 수가 전년 동월 대비 줄어든건 2021년 2월(-6.4%) 이후 24개월 만이다. 임영일 통계청 인구동향과장은 “코로나19 여파로 지난해 2~4월 사망자 수가 정점을 기록하며 급격히 늘었다”며 “올해는 코로나19 영향이 줄면서 전년 동기 대비 사망자 수가 감소한 것으로 분석된다”고 했다.

사망자 수가 출생아 수를 웃돌면서 2월 인구는 7452명 자연감소했다. 대전(+6명) 경기(+166명) 세종(+166명) 등 3개 지역을 제외한 14개 광역시도 인구가 모두 자연감소했다. 경북(-1033명) 경남(-979명) 전남(-932명) 전북(-857명)의 자연 감소가 두드러졌다. 한국의 인구는 2019년 11월부터 3년 4개월째 자연감소 중이다.

같은 기간 인구 1000명당 자연증가 수를 나타내는 자연증가율은 세종(5.6명)이 가장 높았다. 경기(0.2명)와 대전(0.1명)이 뒤를 이었다. 자연증가율이 낮은 곳은 전남(-6.7명), 전북(-6.3명), 경북(-5.2명) 순이었다.

올해 2월 혼인 건수는 1만7846건으로 1년 전보다 2541건(16.6%) 증가했다. 코로나19로 미뤄졌던 결혼식이 방역조치 완화뒤 늘어난 것으로 분석된다.

박상용 기자 yourpenci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