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금 가격 급등' 사재기 때문만이 아니었다…천일염에 무슨 일이 [한경제의 신선한 경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소금 가격 급등' 사재기 때문만이 아니었다…천일염에 무슨 일이 [한경제의 신선한 경제]](https://img.hankyung.com/photo/202306/01.33731199.1.jpg)
하지만 이같은 현상이 동일본대지진 이후 과거 몇차례 반복됐다는 점에 주목할 만하다. 천일염 시장에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 것일까.
업소용 소금 75% 급등
16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에 따르면 전날 소매시장에서 굵은소금(5㎏)은 1만2942원에 판매됐다. 한 달 전(1만2500원)보다 3.5%, 1년 전(1만11851원) 전보다 15.7% 오른 가격이다. 중간 유통시장에서는 가격 상승폭이 더 컸다. 가격비교사이트 에누리닷컴 업소용 소금(20㎏) 판매량 1~3위 제품은 열흘 전보다 가격이 평균 75.9% 급등했다.!['소금 가격 급등' 사재기 때문만이 아니었다…천일염에 무슨 일이 [한경제의 신선한 경제]](https://img.hankyung.com/photo/202306/01.33731317.1.png)
생산 단에서 구조적 문제 상존
최근 소금 가격 변동 원인이 후쿠시마 오염수 때문만은 아니다. 국내 최대 소금 산지인 전라남도 신안군을 중심으로 고질적인 문제가 이어져온 탓도 있다.첫째, 고령화로 폐업 수순을 밟는 염전이 늘었다. 통계청에 따르면 전국 염전 면적은 2012년 1만143헥타르(ha)에서 지난해 8362ha로 17.6% 축소됐다. 10년 사이에 여의도 면적의 두 배가 넘는 염전이 문을 닫은 것이다.
!['소금 가격 급등' 사재기 때문만이 아니었다…천일염에 무슨 일이 [한경제의 신선한 경제]](https://img.hankyung.com/photo/202306/01.33731268.1.png)
소금가격 고공행진 지속될까
일부 중간도매상들의 사재기에 소금 시세는 급격히 올랐다. 실제로 신안군 수협에서 소금 품절 대란이 시작됐던 이달 초까지만 해도 대형마트의 소금 매출은 전년 대비 10% 남짓 오르는 등 변화폭이 크지 않았다. 대형마트에서는 이번주 들어 전년 동기 대비 소금 매출이 30% 이상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다.업계에서는 소금값 추가 상승을 예상한 유통업자들이 출하 시기를 미루면서 소금 품귀 현상이 심화할 것이란 우려도 나온다. 신안군에서 천일염을 생산하는 유억근 마하탑 대표는 “소금 가격 급등은 심리적 요인으로 인한 사재기에 기인했다”며 “소금을 사용해 새우젓 등을 담가야 하는 어민들의 부담도 커졌다”고 전했다. 이어 “지금 시장에 유통중인 2021년, 2022년 산 소금에 더해 7월부터 햇소금 유통이 시작되면 가격이 안정될 것”이라 내다봤다.
한경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