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산밥캣, 美서 '밥캣' 브랜드로만 승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북미 지게차 시장 점유율 1위
주택시장 탄탄, 건설장비 수요↑
브랜드서 '두산' 빼고 현지화
중국 등 亞 시장은 두산 유지
주택시장 탄탄, 건설장비 수요↑
브랜드서 '두산' 빼고 현지화
중국 등 亞 시장은 두산 유지
두산밥캣이 내년부터 북미에서 ‘두산’을 뺀 ‘밥캣’ 브랜드(로고) 지게차를 출시한다. 북미 소비자에게 더 친숙한 밥캣 로고를 달아 시장 점유율을 끌어올리기 위한 전략이다.
5일 업계에 따르면 두산밥캣은 브랜드 전략을 재정비해 두산과 밥캣 두 브랜드로 나눠 지역별 공략에 나서기로 했다. 내년부터 북미시장에선 밥캣 브랜드를 적용한 지게차를 출시한다. 국내를 비롯해 중국 등 아시아 시장에선 두산 브랜드를 유지하기로 했다. 현재 두산밥캣의 매출 중 70%는 북미시장에 집중돼 있다. 유럽·중동·아프리카의 매출 비중은 20~25%, 아시아·오세아니아는 5~10% 수준이다. 두산밥캣은 밥캣 브랜드를 북미뿐만 아니라 유럽까지 확대할 계획이다. 지게차를 시작으로 물류 장비, 이동식 발전기를 포함한 포터블 파워 제품도 밥캣 브랜드를 달아 판매할 예정이다.
두산밥캣은 올해 글로벌 건설장비 점유율 순위에서 전년 대비 세 계단 높은 11위에 올랐다. 점유율은 2.9%로 전년 대비 0.9%포인트 상승했다. 엔진 좌승식 지게차 제품군에서는 미국 내 점유율 1위를 기록했다. 북미 주택시장 호황으로 밥캣을 찾는 수요는 계속 늘어날 전망이다. 두산밥캣 관계자는 “미국에서 딜러 재고가 통상 4~5개월 수준인데 현재 2개월로 줄어든 상황”이라며 “당분간 딜러들이 재고를 확충하려는 수요가 이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생산능력도 확대하고 있다. 두산밥캣은 2020년부터 잔디깎이 등 새로운 제품을 포트폴리오에 추가하며 사업영역을 넓혔다. 또 지난해 미국 노스캐롤라이나 스테이츠빌 GME(농업·조경용 장비) 공장 증설을 완료했다.
미국 내 사후 관리서비스 경쟁력도 강화하고 있다. 두산밥캣은 올초 미국 애틀랜타에 새로운 부품센터를 열었다. 기존 일리노이, 네바다와 합쳐 부품센터는 세 곳으로 늘어났다. 그 덕분에 북미 전역에서 사흘 내 제품 배송이 가능해졌다.
스캇 박 두산밥캣 부회장은 “두산산업차량이 올해 미국에서만 매출 1조원을 넘어설 예정”이라며 “GME도 곧 미국 매출이 1조원을 넘길 전망”이라고 내다봤다.
강미선 기자 misunny@hankyung.com
5일 업계에 따르면 두산밥캣은 브랜드 전략을 재정비해 두산과 밥캣 두 브랜드로 나눠 지역별 공략에 나서기로 했다. 내년부터 북미시장에선 밥캣 브랜드를 적용한 지게차를 출시한다. 국내를 비롯해 중국 등 아시아 시장에선 두산 브랜드를 유지하기로 했다. 현재 두산밥캣의 매출 중 70%는 북미시장에 집중돼 있다. 유럽·중동·아프리카의 매출 비중은 20~25%, 아시아·오세아니아는 5~10% 수준이다. 두산밥캣은 밥캣 브랜드를 북미뿐만 아니라 유럽까지 확대할 계획이다. 지게차를 시작으로 물류 장비, 이동식 발전기를 포함한 포터블 파워 제품도 밥캣 브랜드를 달아 판매할 예정이다.
두산밥캣은 올해 글로벌 건설장비 점유율 순위에서 전년 대비 세 계단 높은 11위에 올랐다. 점유율은 2.9%로 전년 대비 0.9%포인트 상승했다. 엔진 좌승식 지게차 제품군에서는 미국 내 점유율 1위를 기록했다. 북미 주택시장 호황으로 밥캣을 찾는 수요는 계속 늘어날 전망이다. 두산밥캣 관계자는 “미국에서 딜러 재고가 통상 4~5개월 수준인데 현재 2개월로 줄어든 상황”이라며 “당분간 딜러들이 재고를 확충하려는 수요가 이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생산능력도 확대하고 있다. 두산밥캣은 2020년부터 잔디깎이 등 새로운 제품을 포트폴리오에 추가하며 사업영역을 넓혔다. 또 지난해 미국 노스캐롤라이나 스테이츠빌 GME(농업·조경용 장비) 공장 증설을 완료했다.
미국 내 사후 관리서비스 경쟁력도 강화하고 있다. 두산밥캣은 올초 미국 애틀랜타에 새로운 부품센터를 열었다. 기존 일리노이, 네바다와 합쳐 부품센터는 세 곳으로 늘어났다. 그 덕분에 북미 전역에서 사흘 내 제품 배송이 가능해졌다.
스캇 박 두산밥캣 부회장은 “두산산업차량이 올해 미국에서만 매출 1조원을 넘어설 예정”이라며 “GME도 곧 미국 매출이 1조원을 넘길 전망”이라고 내다봤다.
강미선 기자 misunn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