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한국의 최대 소고기 수입국가인 미국에서 육우 가격이 들썩이고 있다. 미국 농가들이 가뭄과 생산비 급등에 사육두수를 줄였지만 소고기 수요는 계속 증가하고 있어서다.

전문가들은 미국 소고기 값이 앞으로 3~4년 더 강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아직까지 안정세를 나타내고 있는 국내 가격도 연말부터는 미국 발(發) ‘미트플레이션(고기+인플레이션)’의 영향을 피할 수 없을 것이란 우려가 나온다.

올들어 파운드당 3달러 돌파

7일 미국육류수출협회에 따르면 미국 현지에서 ‘컷아웃(분할) 소고기’ 도매가격은 지난 달 말 1파운드(0.45kg)당 3.29달러로 전년동기대비 24% 상승했다.

지난해 파운드 당 2달러 박스권에서 움직이던 소고기 도매가는 올 들어 가파른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지난 달 16일엔 파운드당 3.4달러를 찍어 2021년 8월(3.47달러) 이후 약 2년만에 최고가를 나타냈다. 코로나19로 생산량에 차질이 있었던 2020년 4, 5월을 제외하고 역대 두 번째로 높은 가격이다.

미국 현지에서 소고기 도매가격이 상승하고 있는 이유는 네브라스카, 오클라호마, 텍사스 등 주요 생산 지에 가뭄 등의 영향으로 방목지가 줄어든 영향이 크다. 거기에 사룟값, 에너지비, 인건비 등 소를 기르는 비용이 급증한 것도 축산농가에 부담으로 작용했다. 미 농무부에 따르면 올해 1월 기준 미국의 소 사육 두수는 8930만두로 전년 동기 대비 3% 줄었다.

이 같은 미국 소고기 가격 강세는 한동안 이어질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양지혜 미국육류수출협회(USMEF) 아시아태평양 총괄은 “사육업자들이 사육두수를 줄이기 시작하면 송아지 수도 감소해 1~2년 뒤 소 생산량은 더 줄어드는 결과를 낳는다”며 “올해가 생산량 감소 진입 시점인 만큼 앞으로 3~4년은 가격 강세를 보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연말이후 식탁물가 위협 가능성

양지혜 미국육류수출협회 아태 총괄 부사장이 한국경제신문과 인터뷰하고 있다. 이솔 기자
양지혜 미국육류수출협회 아태 총괄 부사장이 한국경제신문과 인터뷰하고 있다. 이솔 기자
아직까지 국내 소고기 가격은 안정세를 보이고 있다. 올 1분기 미국산 소고기 수입가격은 전년동기대비 22.1% 내렸다. 6월 소비자물가지수에서도 축산물 가격은 1년 전보다 4.9% 하락했다. 농림축산식품부 관계자는 “지금 거래되고 있는 수입소고기는 6개월~1년전 계약한 물량”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현지에서 가격이 오르기 시작한 상반기 계약분이 들어오는 연말부터는 안심할 수 없다. 외식, 가공육 등에 폭넓게 쓰이는 미국산 소고기 가격 상승세는 식탁물가와 외식물가에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

호주산 쇠고기 등 대체제가 없진 않지만 한국은 유독 미국산 수요가 많다. 지방 함유가 높은 구이용 고기에 대한 선호가 높아서다. 지난해 수입 소고기 중 54.1%(25만6910t)는 미국산이다. 올 1분기에는 미국산 비중이 55%로 높아졌다.

양 총괄은 “2021년 부터 한국은 일본을 제치고 미국이 소고기를 가장 많이 수출하는 국가가 됐다”며 “소득 증대로 육류 소비가 증가했고 코로나19를 계기로 면역력을 위해 단백질에 대한 수요가 급증한 영향”이라고 분석했다.

HMR 시장 급성장에 소고기 수요도 늘어

최근 몇 년간 급성장한 가정간편식(HMR)도 미국산 소고기 수요를 증가한 요인으로 꼽혔다. “HMR 뿐 아니라 레스토랑 간편식(RMR)등 창의적인 아이디어로 한국처럼 미식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는 국가를 찾아보기 어렵다”며 “중국 베트남 인도네시아 등 해외에서 한국의 밀키트 소고기 가공에 대한 문의가 이어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미국 현지의 소고기 생산 물량이 줄어들더라도 한국에 수급 차질이 벌어지는 상황은 없을 것이란 게 양 총괄의 진단이다. 그는 "국내 수요는 지방함량 등급이 높은 '초이스' 등급이 우세하지만 미국 현지에선 이보다 낮은 '셀렉트' 소비가 많다"며 "한국에 수입물량이 부족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가격 안정화 방안과 관련, 미국 소고기 수입 대상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도 제시됐다. 양 총괄은 “한국은 세계에서 유일하게 30개월 이상 월령의 미국 소고기에 대한 수입이 금지돼있는 국가”라며 “발병율이 0에 가까운 광우병에 대한 우려로 수입 대상을 축소할 필요는 없다”고 주장했다.

하수정 기자 agatha77@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