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포스코퓨처엠 "2030년 양극재 1위"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생산능력 年 100만t 으로
전구체 투자도 확대키로
전구체 투자도 확대키로
포스코퓨처엠이 2030년까지 배터리 핵심 소재인 양극재 생산능력을 연 100만t 규모로 늘린다. 양극재 제조에 필수적인 전구체 투자도 확대한다. 포스코퓨처엠은 이를 통해 2차전지 소재 분야에서 글로벌 초일류 기업으로 도약한다는 계획이다.
7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포스코퓨처엠은 이 같은 내용을 중심으로 한 2차전지 소재 투자 계획을 마련했다. 기존 생산능력 목표치는 2030년까지 양극재 연 62만t이었다. 기존 목표치 대비 40%가량을 상향 조정한 것이다. 이와 함께 양극재 소재인 전구체 투자를 더 확대한다는 방향도 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지금은 양극재 제조 때 반드시 들어가는 전구체의 90% 안팎을 중국에서 조달하고 있다.
포스코퓨처엠이 2차전지 소재 생산능력을 대폭 늘리기로 한 것은 전기차 수요 증가에 따라 배터리 수요도 급증할 것으로 보고 있어서다. 포스코그룹도 최근 포항제철소 준공 50주년 행사에서 2차전지 소재를 철강, 수소 등과 함께 향후 50년을 책임질 ‘미래 먹거리’로 꼽았다.
포스코퓨처엠의 새로운 양극재 생산능력 목표치는 국내 주요 양극재 회사를 압도한다. LG화학은 2028년까지 연 47만t 생산을 목표로 하고 있다. 에코프로는 2027년까지 연 71만t, 엘앤에프는 2026년까지 연 40만t 생산능력 확보가 목표인 것으로 알려졌다.
포스코퓨처엠은 지난해 기준 경북 포항과 전남 광양 등의 생산시설을 통해 연 10만5000t의 양극재 생산능력을 갖추고 있다. 이와 함께 미국 제너럴모터스(GM)와의 합작회사인 얼티엄캠을 통해 캐나다 퀘벡주 등에 연산 6만t 규모의 양극재 공장을 건설 중이다. 지금까지 추가로 발표한 연산 25만t(포항 16만t, 광양 9만t) 증설을 고려해도 추가로 투자가 필요한 공장만 연 60만t 규모에 가깝다.
통상 배터리 소재 업계는 연산 1만t의 양극재 공장을 건설할 때 1000억원 안팎의 자금이 들어가는 것으로 추산한다. 양극재 공장에만 포스코퓨처엠이 최소 9조원가량을 추가 투자해야 한다는 얘기다. 여기에 전구체 공장에 투자할 경우 투자비는 더 불어난다. 양극재 1t을 만들 때 전구체도 1t이 필요하다.
국내 투자 지역은 현재 공장이 있는 포항과 광양 등이 유력하다. 이곳에 공장 부지 등이 부족할 땐 최근 2차전지 소재회사가 몰리고 있는 새만금 등도 검토할 것으로 전해졌다. 해외에선 캐나다를 포함해 미국 등 북미 지역이 주로 고려되고 있다.
최정우 포스코그룹 회장은 지난 3일 포항제철소 준공 50주년 기념행사에서 2차전지 소재 등을 미래 먹거리 사업으로 꼽고 대규모 투자를 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그러면서 포스코그룹이 향후 8년간 철강, 2차전지, 수소 분야 등에 121조원을 투자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 중 국내 투자금이 73조원이다. 포스코는 구체적인 부문별 투자 규모를 공개하지 않았지만 포스코 창사 후 처음으로 철강보다 비(非)철강(2차전지 소재, 수소) 투자금을 더 많이 책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재후 기자 hu@hankyung.com
7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포스코퓨처엠은 이 같은 내용을 중심으로 한 2차전지 소재 투자 계획을 마련했다. 기존 생산능력 목표치는 2030년까지 양극재 연 62만t이었다. 기존 목표치 대비 40%가량을 상향 조정한 것이다. 이와 함께 양극재 소재인 전구체 투자를 더 확대한다는 방향도 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지금은 양극재 제조 때 반드시 들어가는 전구체의 90% 안팎을 중국에서 조달하고 있다.
포스코퓨처엠이 2차전지 소재 생산능력을 대폭 늘리기로 한 것은 전기차 수요 증가에 따라 배터리 수요도 급증할 것으로 보고 있어서다. 포스코그룹도 최근 포항제철소 준공 50주년 행사에서 2차전지 소재를 철강, 수소 등과 함께 향후 50년을 책임질 ‘미래 먹거리’로 꼽았다.
포스코퓨처엠, 대규모 증설로 '양극재 초격차'
포스코퓨처엠은 올 들어서만 삼성SDI(40조원), LG에너지솔루션(30조3000억원), 얼티엄캠(13조2000억원) 등과 총 83조5000억원 규모의 양극재 공급계약을 맺었다. 계약 기간은 최소 3년에서 최장 10년이다. 전기차 배터리 시장이 급성장하면서 양극재 수요는 앞으로 더 폭발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국과 중국 기업들이 주도하고 있는 글로벌 양극재 시장에서 포스코퓨처엠은 대규모 증설을 통해 공급능력을 키우며 초격차를 이루겠다는 전략이다.포스코퓨처엠의 새로운 양극재 생산능력 목표치는 국내 주요 양극재 회사를 압도한다. LG화학은 2028년까지 연 47만t 생산을 목표로 하고 있다. 에코프로는 2027년까지 연 71만t, 엘앤에프는 2026년까지 연 40만t 생산능력 확보가 목표인 것으로 알려졌다.
포스코퓨처엠은 지난해 기준 경북 포항과 전남 광양 등의 생산시설을 통해 연 10만5000t의 양극재 생산능력을 갖추고 있다. 이와 함께 미국 제너럴모터스(GM)와의 합작회사인 얼티엄캠을 통해 캐나다 퀘벡주 등에 연산 6만t 규모의 양극재 공장을 건설 중이다. 지금까지 추가로 발표한 연산 25만t(포항 16만t, 광양 9만t) 증설을 고려해도 추가로 투자가 필요한 공장만 연 60만t 규모에 가깝다.
통상 배터리 소재 업계는 연산 1만t의 양극재 공장을 건설할 때 1000억원 안팎의 자금이 들어가는 것으로 추산한다. 양극재 공장에만 포스코퓨처엠이 최소 9조원가량을 추가 투자해야 한다는 얘기다. 여기에 전구체 공장에 투자할 경우 투자비는 더 불어난다. 양극재 1t을 만들 때 전구체도 1t이 필요하다.
국내 투자 지역은 현재 공장이 있는 포항과 광양 등이 유력하다. 이곳에 공장 부지 등이 부족할 땐 최근 2차전지 소재회사가 몰리고 있는 새만금 등도 검토할 것으로 전해졌다. 해외에선 캐나다를 포함해 미국 등 북미 지역이 주로 고려되고 있다.
최정우 포스코그룹 회장은 지난 3일 포항제철소 준공 50주년 기념행사에서 2차전지 소재 등을 미래 먹거리 사업으로 꼽고 대규모 투자를 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그러면서 포스코그룹이 향후 8년간 철강, 2차전지, 수소 분야 등에 121조원을 투자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 중 국내 투자금이 73조원이다. 포스코는 구체적인 부문별 투자 규모를 공개하지 않았지만 포스코 창사 후 처음으로 철강보다 비(非)철강(2차전지 소재, 수소) 투자금을 더 많이 책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재후 기자 hu@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