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프리카에 '통일벼' 심는다…"3000만명 먹을 쌀 생산"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아프리카에 '라이스벨트' 만드는 한국
아프리카에서 연간 3000만명이 먹을 수 있는 쌀을 생산하는 'K-라이스벨트' 사업이 올해 가나를 시작으로 본격화한다. 한국을 기아에서 구해낸 '통일벼'를 아프리카 기후에 맞게 개량한 신품종을 현지에서 재배하는 이 사업은 윤석열 정부가 국제 영향력 강화를 위해 추진 중인 공적개발원조(ODA)의 대표주자다.
농림축산식품부는 10일 서울 강남 JW메리어트 호텔에서 아프리카 8개국이 참여하는 'K-라이스벨트 농업장관회의'를 개최하고 K-라이스벨트 사업의 공식 출범을 선언했다. 이날 회의엔 사업에 참여하는 가나, 감비아, 기니, 세네갈, 우간다, 카메론, 케냐, 기니비사우 등 8개국의 장관급 대표들이 참석했다.
K-라이스벨트는 아프리카 국가 등에 한국의 쌀 재배 경험을 공유하고 벼 품종을 공급하는 공적개발원조(ODA)사업이다.
한국은 아프리카 현지에 최적화된 벼 품종인 '이스리-6', '이스리-7'등 다수확 품종을 이들 국가에 공급할 계획이다. 이들 품종은 통일벼와 아프리카 품종을 교잡해 만든 개량 품종이다. 이 품종의 ha당 벼 수확량이 5~7t으로 기존 아프리카 벼 품종(1.5t)에 비해 4배 가량 생산성이 높다.
사업이 추진되는 8개국은 쌀을 주식으로 소비하나 생산량이 소비량에 미치지 못해 많은 양을 수입하고 있는 국가들이다. 농식품부는 2027년까지 이들 국가에 43만ha의 쌀 생산 기반을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성공적으로 생산이 이뤄질 경우 생산 예상량은 200만t에 이른다. 3000만명이 1년 간 먹을 수 있는 규모다.
윤석열 대통령은 지난 5월 일본 히로시마에서 열린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에 참석해 "식량 위기국에 대한 장단기 지원을 강화하겠다"며 "기아와 질병으로부터 자유를 확대하는데 동참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그러면서 "장기적 대책으로 K-라이스벨트 구축 사업을 통해 아프리카 빈곤국에 쌀 생산을 지원하겠다"고 강조했다.
정부는 쌀을 매개로 농기계, 농약, 비료 등 부대 산업의 현지 진출을 추진할 계획이다. 노동력과 광물 등 자원이 풍부한 아프리카와의 공급망 구축 협력도 이어질 전망이다.
참여국 장관들은 K-라이스벨트의 성공 가능성에 대해 긍정적인 평가를 내놨다. 뎀바 샤발리 감비아 농업부 장관은 "이스리-7을 시험 생산한 결과 ha당 7t 이상이 생산될 정도로 수율이 높고 맛도 좋아 농민들에게 인기가 좋았다"며 "농업 뿐 아니라 한국의 성장 경험과 기술을 배우고 싶다"고 말했다.
프랭클린 미티카 린투리 케냐 농축산개발부 장관은 "식량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가뭄에 강하고 병충해에 강한 품종과 관개 시스템의 개선, 인프라 구축 등이 필요한데 한국은 좋은 파트너가 될 것"이라며 "농업을 넘어 다른 분야까지도 한국과 상호 이익이 되는 분야를 발굴하고 싶다"고 말했다.
정황근 농식품부 장관은 "한국은 녹색 혁명(식량 증산)과 백색 혁명(하우스농업)을 이룬 국가"라며 "이젠 공여국이 된 한국이 아프리카의 녹색 혁명(식량 증산)에 한국이 지대한 역할을 하겠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황정환 기자 jung@hankyung.com
농림축산식품부는 10일 서울 강남 JW메리어트 호텔에서 아프리카 8개국이 참여하는 'K-라이스벨트 농업장관회의'를 개최하고 K-라이스벨트 사업의 공식 출범을 선언했다. 이날 회의엔 사업에 참여하는 가나, 감비아, 기니, 세네갈, 우간다, 카메론, 케냐, 기니비사우 등 8개국의 장관급 대표들이 참석했다.
K-라이스벨트는 아프리카 국가 등에 한국의 쌀 재배 경험을 공유하고 벼 품종을 공급하는 공적개발원조(ODA)사업이다.
한국은 아프리카 현지에 최적화된 벼 품종인 '이스리-6', '이스리-7'등 다수확 품종을 이들 국가에 공급할 계획이다. 이들 품종은 통일벼와 아프리카 품종을 교잡해 만든 개량 품종이다. 이 품종의 ha당 벼 수확량이 5~7t으로 기존 아프리카 벼 품종(1.5t)에 비해 4배 가량 생산성이 높다.
사업이 추진되는 8개국은 쌀을 주식으로 소비하나 생산량이 소비량에 미치지 못해 많은 양을 수입하고 있는 국가들이다. 농식품부는 2027년까지 이들 국가에 43만ha의 쌀 생산 기반을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성공적으로 생산이 이뤄질 경우 생산 예상량은 200만t에 이른다. 3000만명이 1년 간 먹을 수 있는 규모다.
윤석열 대통령은 지난 5월 일본 히로시마에서 열린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에 참석해 "식량 위기국에 대한 장단기 지원을 강화하겠다"며 "기아와 질병으로부터 자유를 확대하는데 동참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그러면서 "장기적 대책으로 K-라이스벨트 구축 사업을 통해 아프리카 빈곤국에 쌀 생산을 지원하겠다"고 강조했다.
정부는 쌀을 매개로 농기계, 농약, 비료 등 부대 산업의 현지 진출을 추진할 계획이다. 노동력과 광물 등 자원이 풍부한 아프리카와의 공급망 구축 협력도 이어질 전망이다.
참여국 장관들은 K-라이스벨트의 성공 가능성에 대해 긍정적인 평가를 내놨다. 뎀바 샤발리 감비아 농업부 장관은 "이스리-7을 시험 생산한 결과 ha당 7t 이상이 생산될 정도로 수율이 높고 맛도 좋아 농민들에게 인기가 좋았다"며 "농업 뿐 아니라 한국의 성장 경험과 기술을 배우고 싶다"고 말했다.
프랭클린 미티카 린투리 케냐 농축산개발부 장관은 "식량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가뭄에 강하고 병충해에 강한 품종과 관개 시스템의 개선, 인프라 구축 등이 필요한데 한국은 좋은 파트너가 될 것"이라며 "농업을 넘어 다른 분야까지도 한국과 상호 이익이 되는 분야를 발굴하고 싶다"고 말했다.
정황근 농식품부 장관은 "한국은 녹색 혁명(식량 증산)과 백색 혁명(하우스농업)을 이룬 국가"라며 "이젠 공여국이 된 한국이 아프리카의 녹색 혁명(식량 증산)에 한국이 지대한 역할을 하겠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황정환 기자 ju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