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배출권 값 사상최저 추락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t당 7400원…1년새 4분의 1로
불황에 따른 수요 급감 여파
배출량 줄어…"불황 착시효과"
불황에 따른 수요 급감 여파
배출량 줄어…"불황 착시효과"
국내 탄소배출권 가격이 사상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다. 기업은 할당량 이상으로 온실가스를 배출할 때 초과분만큼 탄소배출권을 구입해야 하는데 지난해 탄소 배출량이 줄면서 기업들의 배출권 수요가 줄어든 결과다. 하지만 이는 태풍으로 포스코 공장 가동이 중단되고 석유화학 업종이 불황을 겪은 데 따른 일종의 ‘착시효과’라는 분석이 나온다.
8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거래가 가장 활발한 2022년 배출권(KAU22) 가격은 이날 종가 기준 t당 7400원으로, 1년 전(2만8000원)의 26% 수준에 불과하다. 작년 1월 초(3만5400원)와 비교하면 80%나 떨어졌다. 현재 시세는 배출권 거래를 시작한 2015년 1월 12일 이후 최저로, 제도 시행 첫날 가격(8640원)보다 낮다. 2023년 배출권(KAU23) 가격도 이날 t당 9000원으로 지난 4월 초(1만4650원)보다 38% 급락했다.
배출권 가격 급락은 지난해 탄소 배출량이 줄면서 시장에서 탄소배출권 구입 수요가 급감했기 때문이다. 지난해 온실가스 배출량은 전년보다 3.5% 줄었다. 특히 산업부문은 6.2% 줄어 감소폭이 가장 컸다.
하지만 재계에서는 착시효과가 크다고 입을 모은다. 배출량 1위 기업인 포스코는 지난해 탄소 배출량이 전년 대비 10.6% 줄었는데, 이는 태풍 ‘힌남노’로 포항제철소 가동이 3개월간 멈춘 영향이 크다. 지난해 탄소 배출량 감소폭이 큰 대한유화(전년 대비 -23.6%), LG디스플레이(-19.7%), HD현대오일뱅크(-14.1%), 롯데케미칼(-12.0%) 등은 업황 악화로 공장 가동률을 낮췄거나 감산한 곳이다. 즉, 경기가 좋아지면 탄소 배출 증가 압력이 다시 커질 수 있다.
문제는 한국은 문재인 정부 때 2030년까지 2018년 온실가스 배출량 대비 40%를 감축하겠다고 공언했다는 점이다. 이 목표를 달성하려면 올해부터 2030년까지 연평균 4.9%씩 탄소 배출량을 줄여야 하는데 쉽지 않은 과제라는 지적이 많다.
강경민/곽용희 기자 kkm1026@hankyung.com
8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거래가 가장 활발한 2022년 배출권(KAU22) 가격은 이날 종가 기준 t당 7400원으로, 1년 전(2만8000원)의 26% 수준에 불과하다. 작년 1월 초(3만5400원)와 비교하면 80%나 떨어졌다. 현재 시세는 배출권 거래를 시작한 2015년 1월 12일 이후 최저로, 제도 시행 첫날 가격(8640원)보다 낮다. 2023년 배출권(KAU23) 가격도 이날 t당 9000원으로 지난 4월 초(1만4650원)보다 38% 급락했다.
배출권 가격 급락은 지난해 탄소 배출량이 줄면서 시장에서 탄소배출권 구입 수요가 급감했기 때문이다. 지난해 온실가스 배출량은 전년보다 3.5% 줄었다. 특히 산업부문은 6.2% 줄어 감소폭이 가장 컸다.
하지만 재계에서는 착시효과가 크다고 입을 모은다. 배출량 1위 기업인 포스코는 지난해 탄소 배출량이 전년 대비 10.6% 줄었는데, 이는 태풍 ‘힌남노’로 포항제철소 가동이 3개월간 멈춘 영향이 크다. 지난해 탄소 배출량 감소폭이 큰 대한유화(전년 대비 -23.6%), LG디스플레이(-19.7%), HD현대오일뱅크(-14.1%), 롯데케미칼(-12.0%) 등은 업황 악화로 공장 가동률을 낮췄거나 감산한 곳이다. 즉, 경기가 좋아지면 탄소 배출 증가 압력이 다시 커질 수 있다.
문제는 한국은 문재인 정부 때 2030년까지 2018년 온실가스 배출량 대비 40%를 감축하겠다고 공언했다는 점이다. 이 목표를 달성하려면 올해부터 2030년까지 연평균 4.9%씩 탄소 배출량을 줄여야 하는데 쉽지 않은 과제라는 지적이 많다.
강경민/곽용희 기자 kkm1026@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