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닝
    • 스태그플레이션 경고에 느긋한 한은

      [한경ESG] ESG와 경제올 상반기도 마무리됐다. 연초 비교적 낙관적으로 출발한 세계경제가 지난 2월 이후 러·우전쟁, 미국중앙은행(Fed)의 금리인상, 중국의 경제봉쇄 조치, 신흥국 금융위기 같은 대형 변수들이 순차적으로 발생하면서 하반기 들어 한 치 앞도 내다볼 수 없는 상황으로 급변하고 있다.종전과 달리 올 상반기 대형 변수들은 ‘성장률 훼손’과 ‘물가상승’에 유독 큰 영향을 주는 변수다. 세계적 예측 기관들이 지난해 말과 지난 6월에 내놓은 전망치를 비교해보면, 대형 변수들이 올해 세계 경제성장률을 1.3%포인트 이상 떨어뜨리고 세계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2%포인트 이상 끌어올리는 것으로 나온다.세계경제를 보는 시각도 빠르게 악화되고 있다. 연초만 해도 ‘과연 경기가 침체될까’를 놓고 논쟁을 벌였는데, 지난 4월 국제통화기금(IMF) 전망에서 ‘슬로플레이션’ 우려가 처음 제기되었다. 그 후 불과 두 달 만에 세계은행(WB)은 ‘스태그플레이션이 닥칠 수 있다’고 경고했다.슬로플레이션과 스태그플레이션 경고 미국과 중국을 비롯한 각국의 경제 상황을 들여다보면 WB의 스태그플레이션 경고는 늦은 감이 없지 않다. 미국 경제는 올해 1분기 성장률이 -1.5%로 추락했다. 반면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 3월 이후 Fed의 물가 목표치(2%)를 4배 이상 웃도는 수준이 지속되다 5월에는 8.6%로 한 단계 뛰어올라 증시를 충격에 몰아넣고 있다.중국 경제 상황은 더욱 심각하다. 지난해 1분기 18.3%에 달했던 성장률이 올 1분기에는 4.8%로 급락했다. 경제봉쇄 조치가 집중된 올 2분기에는 2%에도 못 미칠 것이라는 시각이 지배적인 가운데 0% 내외로 추락할 것이라는

      2022.07.05 06:00
    • 이사회 다양성 의무화에 성공한 나스닥

      [한경ESG] ESG와 법 ⑩회사의 이사회가 특정 성별이나 인종의 이사로만 구성된 경우가 많다는 반성에 따라, 세계 여러 나라가 이사회 내 다양성을 위해 일정 성별·인종의 이사 선임을 의무화하거나 선임 현황을 공시하게 하는 법 제도를 도입했다.특히 미국 캘리포니아주는 성별뿐 아니라 인종, 성소수자도 고려하는 내용의 입법을 통해 주목받아왔다. 2018년 캘리포니아주 의회는 캘리포니아주에 본사가 소재한 상장회사에 이사회 규모에 따라 1인에서 3인 이상 여성 이사를 선임하도록 하는 법률(SB-826)을 통과시켰다. 이어 2020년에는 백인을 제외한 소수 인종과 성소수자 같은 소수 그룹 출신 이사를 이사회 규모에 따라 1인에서 3인 이상 선임하도록 하는 법률(AB-979)을 입법했다(2021년 말 시행). 위반 시 벌금을 부과하도록 해 강제력도 확보했다.그런데 지난 4월 1일 소수 그룹 이사 선임을 의무화하는 AB-979가, 5월 13일 여성 이사 선임을 의무화하는 SB-826이 캘리포니아주 헌법에 위반된다는 캘리포니아주 LA 지역 1심 법원의 판결이 연달아 선고되면서 논란을 불러일으켰다. AB-979나 SB-826처럼 특정 계층을 우대하는 입법에는 캘리포니아주 헌법 원리상 엄격 심사 기준(strict scrutiny test)이 적용되기에 이 기준에 따라 이러한 입법을 할 중대한 공익이 존재하고, 이러한 공익을 위해 불가피한 조치이며, 공익을 실현하기 위해 최소한의 차별 수단이라는 점이 인정되어야 한다. 그런데 캘리포니아주 정부가 이를 입증하지 못했다는 것이 법원의 주된 논리다. 캘리포니아주 국무장관이 이 판결에 항소 의사를 표시했기에, 캘리포니아주 법원의 최종 결정이 어떻게 될지 지금으로서는 알기 어렵다. 또 이 글에서는

      2022.07.05 06:00
    • ‘전 세계 몸살’ 인플레이션 극복 가능할까

      [한경ESG] ESG와 경제전 세계인이 인플레이션(이하 인플레)으로 몸살을 앓고 있다. 30∼40년 만에 최고 수준은 이제는 예사로 보일 정도다. 선진국 국민들은 인플레로 겪는 경제 고통이 하늘을 찌를 태세다. 개도국 국민들은 11년 전 실업 문제가 거세게 불어닥친 ‘아랍의 봄’이 이번에는 인플레 문제로 다시금 불어올 조짐이다. 인플레를 ‘짖지 않는 개(The Dog That Didn’t Bark)’로 경시해온 국제통화기금(IMF)은 종전의 입장을 확 바꿔 각 회원국에 인플레 안정에 최우선순위를 둘 것을 촉구했다. 각국 중앙은행도 발 빠르게 움직이기 시작했다. 캐나다·뉴질랜드 중앙은행은 기준금리를 빅 스텝(0.5%p)으로 올린 데 이어 미국 중앙은행(Fed) 회의에서도 앞으로 몇 차례에 걸쳐 같은 폭으로 올릴 것으로 예상된다.2년 전 하이먼 민스키의 리스크 이론에서 가장 위험하다는 ‘아무도 모르는(nobody knows)’ 코로나19 사태를 맞아 지난해 1분기까지만 해도 디플레이션이 우려될 정도로 세계경제는 암울했다. 하지만 같은 해 4월 미국의 소비자물가상승률이 예상보다 높게 나오자 갑작스럽게 인플레 논쟁이 불거졌다. Fed조차도 일시적 현상에 그칠 것으로 본 인플레가 지난 1년 동안 날로 높아져 이제는 세계경제의 최대 난제로 부상했다.코로나발 인플레의 실체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이론적 배경이 필요하다. 인플레는 원인별로 비용 상승과 수요 견인으로 나눠지고, 상승 속도에 따라 마일드‧캘로핑‧하이퍼로, 경기와 관련해 디플레이션‧스태그플레이션‧슬로플레이션‧골디락스, 정책 의지와 결부돼 리플레이션‧디스인플레, 그리고 공유경제와 관련해 데모크라플레이션 등이 있다.&lsqu

      2022.06.08 06:00
    • 제품 환경영향 70% 결정하는 ‘친환경 설계’

      [한경ESG] 환경경영 ABC ⑪제조업체의 환경에 대한 고려는 제품 설계와 개발의 전과정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생산단계부터 환경 측면을 고려할 경우 선택의 폭이 제한되고 실제 반영하기도 어려우며, 심각한 문제가 발견되어 반드시 수정해야 할 경우 그동안 진행했던 모든 과정을 다시 거쳐야 하므로 비용이 크게 증가한다.따라서 제품 설계와 개발의 초기 단계에서 환경성을 충분히 고려해 반영하는 것이 보다 효율적이다. 그림에서 알 수 있듯이 제품의 환경영향은 생산, 유통, 사용 및 폐기 단계에서 주로 발생하지만 환경영향의 결정은 70% 정도가 설계 단계에서 이루어진다. 제품 전과정에 걸쳐 환경영향을 줄이기 위해서는 설계 단계에서 제품의 환경성을 충분히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다.개발 초기 단계부터 환경규제 고려설계 단계에서 환경을 고려하는 것이 바로 친환경 설계(Design for Environment, DfE 또는 eco-design)다. 친환경 설계는 ‘기능적 부작용 없이 제품이나 공정의 전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부정적 환경영향을 최소화하도록 설계하는 시스템적 접근 방법’이다. 이는 곧 제품 설계 단계에서 기본적으로 고려해야 할 사항에 환경 측면을 포함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다시 말하면 제품 가격이나 기능, 안전, 디자인 등 기본적 수준은 유지하면서 설계 단계에서 제품의 전과정에 걸친 환경부하를 최소화하기 위한 활동이며, 환경경영의 궁극적 목표인 경제성과 환경성의 조화를 추구하는 중요한 수단이다.친환경 설계 목적은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점차 강화되어온 각종 제품 관련 환경규제에 대응하는 것이 우선이라 하겠다. 친환경 설계 규정(ErP), 전기·전자 장비 폐기물 처리지침(WEEE),

      2022.06.08 06:00
    • “2016년부터 공급망 ESG 관리…오랜 경험이 경쟁력”

      [한경ESG] 최강ESG팀 - ㈜두산 ESG팀㈜두산의 ESG(환경·사회·지배구조) 역사는 2012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2012년 처음으로 기업의 사회적책임(CSR) 가치체계를 정립한 후 각 계열사별로 전담 조직과 지배구조가 구축됐다. 국내 최초로 CSR위원회도 설치했다. 지난해 1월 CSR팀이 ESG팀으로 명칭을 바꾸고 조직을 재구성했다. 현재 두산의 ESG팀에는 ESG 전문 인력과 공정거래, 공급망, 동반성장 전문가 등 6명이 참여하고 있다. 두산 ESG팀은 지배구조 운영, ESG 경영 수준 제고, 커뮤니케이션 등을 맡아 ESG 프로젝트 기획부터 운영까지 담당한다. ESG팀이 꼽은 두산의 경쟁력은 선도적 규제 대응력과 사회적가치 공유의 오랜 역사다. 두산의 ESG 대응은 글로벌 규제 수준보다 한참 앞서 있다. 특히 ESG 리스크 관리를 위한 ‘두산 지속 가능 위험 관리 체계(Doosan Sustainability Risk Management, DSRM)’를 이미 2019년부터 적용하고 있다. EU 차원의 도입 의무화가 2024년임을 감안하면 매우 빠른 시점이다.DSRM은 각 사업부나 사업장에서 경영 활동 중 일어날 수 있는 ESG 리스크를 사전에 진단하고 자발적으로 개선하는 리스크 관리 체계다. 이세환 두산 ESG팀 차장은 “DSRM의 핵심은 ESG 리스크에 대한 사업부의 자발적 개선이다. 체계적 추진을 위해 업계의 잠재 리스크를 정의, 분석해 두산 사업장에 적용할 경우 생길 수 있는 영향력의 크기를 측정했다”고 설명했다. 각 사업장의 티어(tier)에 따라 현장 진단 여부를 결정하고 자가진단 주기를 달리해 관리한다.ESG 위원회가 지속 가능성 경영의 촉진을 고민하고, DSRM을 통해서는 ESG 리스크를 진단해 개선한다. 지속 가능성 제고와 리스크 저감 활동이 ‘투트랙’

      2022.06.08 06:00
    • “교수진과 현장 전문가의 ‘코티칭’이 강점이죠”

      [한경ESG] ESG 교육 현장 – 한양대 ESG MBA한양대 경영전문대학원은 지난해 2학기, 국내 MBA 중 최초로 ESG 트랙을 개설했다. 기본(ESG Foundation), 심화(ESG Extended·Advanced), 적용(ESG Practicum) 등 세 단계의 커리큘럼으로 ESG(환경·사회·지배구조) 전문가를 양성하는 과정이다. 각 과목별로 전문 지식을 보유한 교수와 현직 전문가를 매칭해 코티칭(co-teaching) 방식을 활용한다. 빠르게 변화하는 ESG 현장을 반영하기 위한 교육 방식이다. ESG MBA 주임교수를 맡은 이상명 교수는 경영전략을 시작으로 기업가 정신, 벤처, 동반성장 등 다양한 분야를 연구해왔다. 4년 전부터 한국전략경영학회에서 분야별 기업 임원, 실무자들과 ESG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기 시작했다. 이 교수를 만나 한양대 ESG MBA 과정에 대해 들었다.- ESG MBA 과정이 신설된 데에는 어떤 배경이 있습니까.“대학의 사명은 여러 가지입니다. 학문적 현상을 정리하고 체계화해 이론을 만들고, 후학을 양성해 미래세대를 준비시키는 교육의 장이죠. 특히 경영대학은 현실과 최접점에서 이론과 현실을 연결하는 매개입니다. 기업의 ESG 경영과 관련한 사회적 요구와 흐름을 적극 반영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해 지난해 2학기 ESG MBA 과정을 신설하게 되었습니다.”- 한양대 내에서도 ESG 인재 양성에 적극적인 것 같습니다. “한양대에서는 여러 사회 혁신 프로그램과 소셜 체인지 프로그램을 선도적으로 운영하고 있습니다. 한양대의 실용학풍과 문제 해결 능력을 갖춘 인재를 강조하는 교육 방식이 그 바탕이 됩니다. 전통적 경영자가 아니라 기회를 포착하고 인식하는 능력을 갖춘 사람, 즉 기업가 정신을 갖춘 사람을 양성하죠. ESG도 근본

      2022.06.08 06:00
    • 해외 온실가스 감축의 새로운 기회 ‘그린 ODA’

      [한경ESG] 기후금융 이야기 ②국제개발협력(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IDC)은 개발도상국의 빈곤 퇴치와 경제·사회개발을 지원하는 공공·민간 부문의 모든 활동을 포괄하는 국제사회의 광범위한 협력으로, 대다수 선진공여국이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개념이다.국제개발협력은 제2차 세계대전 직후 공산권 세력이 황폐화된 유럽으로 확장하는 것을 막기 위한 마셜플랜이 시초로 여겨진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개발원조는 1970년대에는 빈곤 해결, 1980년대에는 채무 문제 해결에 초점이 맞춰졌고 1990년대에는 사회주의에서 자본주의로 체제전환이 주된 과제였다. 21세기에는 전 지구적 대응이 필요한 이슈가 부각되고 있다. 2015년 유엔 총회에서 지속 가능 개발 목표(SDGs)를 채택했고, 기후변화 대응도 여기에 포함된다.그린 ODA에서 앞서가는 일본·독일 공적개발원조(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ODA)는 1969년 OECD 개발원조위원회(Development Assistance Committee, DAC)가 정의한 개념으로, IDC 활동 중 중앙 및 지방정부를 포함한 공공기관이나 이들 기관의 집행기관이 개발도상국의 복지 증진과 경제발전을 위해 개발도상국과 국제기구에 양허적 성격으로 제공하는 자금 흐름을 말한다. DAC는 ‘구휼(aid)’이라는 용어 대신 ‘원조(assistance)’라는 용어를 사용함으로써 개발원조가 일방적 행위가 아닌, 원조공여국과 원조수원국 간 동반 관계에 기초한 상호적 행위임을 강조하고 있다.ODA의 필요성은 상호의존적, 인도적, 정치·경제적 측면 등으로 다양하게 살펴볼 수 있다. 우선 인류의 보편적 가치 실현을 위해 개발도상국의 복지 증진과 경제개발을 달성할 필요가 있다. 지구상에는 아직

      2022.06.08 06:00
    • 공기업은 ESG 경영을 어떻게 해야 할까

      [한경ESG] ESG와 법⑨공기업에도 ESG(환경·사회·지배구조) 열풍이 불고 있다. 공기업들이 ESG 경영을 선포하고 ESG 위원회 등 전담 조직을 확충하는 것은 물론 친환경·친사회적 사업 전환을 위해 녹색채권이나 사회적 채권 같은 ESG 채권을 발행하는 사례도 늘고 있다. 공기업 성과 평가의 기준이 되는 공공기관 경영평가편람은 개정을 통해 윤리경영 지표의 비중을 높이고, 중대 사고 발생 시 재난 및 안전관리 지표를 0점 처리하는 등 ESG 요소의 비중을 늘렸다. 지난 2월에는 공공기관의 에너지 사용량, 폐기물 발생량, 환경 법규 위반 현황 등 ESG 경영 관련 공시를 강화하는 내용의 공공기관 통합공시에 관한 기준 개정안을 발표했다.그런데 ESG 논의가 지나친 주주우선주의에 대한 반성에서 비롯된 만큼, 기존의 ESG 논의를 공기업에 그대로 적용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은 측면이 있다. 공기업은 사기업과 달리 애당초 일정한 공익적 목적을 추구하기 위해 설립되었고, 근거 법령에 공기업이 추구해야 할 공익적 목적이 규정되어 있다. ESG 논의가 과도한 이익 추구에 경도된 사기업들이 환경·사회문제 같은 공익도 고려하게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고 보면, 이미 공익적 기능을 수행하는 공기업 입장에서 ESG에 따라 무엇을 더 고려해야 하는지 명확하지 않을 수밖에 없다. 공기업의 ESG 경영이 기존의 공기업 활동과 어떻게 다른지 모르겠다는 비판도 이러한 차이에서 비롯된다.공기업의 ESG 경영이 필요할까 그렇다고 공기업의 ESG 경영이 허상에 불과한 것일까. 그렇지는 않다. 사기업의 ESG 경영만으로는 기후변화 등 환경·사회문제를 해결하는 데 한계가 있기에, 이를 위한 공기업의 동참은

      2022.06.08 06:00
    • 자연 기반 탄소흡수원에 주목하는 이유

      [한경ESG] 러닝 - 기후금융 이야기 ①올해 서울의 공식적인 벚꽃 개화 시기는 평년보다 4일 빠른 4월 4일이었다. 지구온난화로 개화 시기가 점점 빨라지고 있는 것이다. 식목일을 3월로 앞당겨야 한다는 의견이 꾸준히 나올 만큼 기후 위기가 심각해지고 국제사회의 관심도 커지면서 ‘탄소중립’이 중요한 화두로 떠올랐다. 정부는 탄소중립 실현을 위해 온실가스를 배출하는 사업장을 대상으로 연 단위 배출권을 할당해 할당 범위에서만 배출 행위를 허용하고, 여분 또는 부족분의 배출권은 참여자 간 거래를 허용하는 제도인 배출권거래제 활성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하지만 현재 탄소시장의 주류를 이루는 규제적 시장은 지구 전체 탄소배출량의 상당 부분을 커버하지만, 탄소중립이라는 최종 목표를 달성하기에는 부족하다. 이에 탄소감축 의무가 없는 개인, 기업 등이 환경보호 및 사회적책임을 위해 활동 중 생성한 탄소를 자발적으로 상쇄하거나 배출권을 거래하는 시장인 자발적 탄소시장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혁신 프로젝트 가능한 자발적 탄소시장자발적 탄소시장에서 거래되는 크레딧은 크게 탄소감축(Reduction), 탄소격리(Removal or Sequestration), 그리고 탄소파괴(Destruction)로 나뉜다. 쿡스토브(나무 땔감 등의 사용을 줄이는 고효율 취사도구) 사업처럼 탄소배출을 줄이는 것으로 획득하는 크레딧은 탄소감축, 탄소포집처럼 대기에 배출되는 탄소를 격리해 얻은 크레딧은 탄소격리, 가축 분뇨·쓰레기 매립지·탄광 등 메탄가스를 제거해 획득하는 크레딧은 탄소파괴·제거로 인한 것이다. 자발적 탄소시장에서는 규제적 시장인 청정 개발 체계(Clean Development Mech

      2022.05.10 06:01
    • 친환경 제품의 판별 기준 ‘전과정평가’

      [한경ESG] 환경경영ABC⑩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이 대세인 요즘, ‘필(必)환경 시대’라는 말도 회자되고 있다. 이처럼 친환경이 필수라지만 일반 소비자가 어떤 것이 친환경 제품이고, 무엇이 친환경 소비인지 판단하기는 쉽지 않다. 이는 기업도 마찬가지다.여기서 우리가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기법이 바로 전과정평가(Life Cycle Assessment, LCA)다. 환경경영은 제품이나 서비스 전과정을 대상으로 환경성을 제고하는 일이 핵심이다. 이때 고려해야 하는 전과정이란 특정 기업의 내부 활동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 앞뒤에 연계된 모든 활동을 포함한다. 경제활동의 전과정을 종합적으로 분석해 환경성을 평가해야 지구생태계에 미치는 환경영향을 제대로 판단할 수 있기 때문이다.환경영향 평가수단, 전과정평가 전과정평가는 ‘원료의 채취 및 조달, 가공, 제품 제조, 사용 및 폐기 등 모든 과정에서 사용되는 에너지와 물질, 배출되는 폐기물을 규명하고 정량화함으로써 제품 및 서비스와 관련한 환경부하를 평가하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전과정평가는 모든 경제 주체에게 필요한 환경영향 평가 수단이다. 기업은 자사 제품을 대상으로 한 전과정평가로 환경 개선의 기회와 우선순위를 파악해 제품의 환경 성과를 향상시켜 경쟁력을 높이게 된다. 소비자는 제품의 환경 측면과 그 영향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친환경 구매 의사결정에 활용하게 되며, 정부나 공공기관은 전과정평가 자료를 정책결정 과정에 활용함으로써 친환경 정책의 실효성을 제고할 수 있다.1960년대 미국에서 에너지 분야에 처음 적용된 것으로 알려진 전과정평가 기법은 1997년 ISO 14040 규격이 공표

      2022.05.10 06:01
    • “현장 적용에 중점…카이스트 강점 살렸죠”

      [한경ESG] ESG 교육 현장 -  카이스트 ESG 최고경영자 과정(KEEP)카이스트 기술경영학부는 지난해 ESG(환경·사회·지배구조) 리스크 대응을 위한 새로운 최고경영자 과정을 개설했다. 기술과 경영, 정책에 초점을 맞춘 실전형 ESG 교육과정이라는 점이 특징이다. 특히 각 산업별로 기초 기술부터 실천 사례까지 다루는 심층 과정을 통해 기업이 어려워하는 현장 적용을 적극 지원한다. 매주 목요일 서울 강남구에 위치한 카이스트 도곡캠퍼스에서 열리는 KEEP(Kaist ESG Executive Program) 과정 책임자는 엄지용 카이스트 경영대학 기술경영학부 교수다.엄 교수는 스탠퍼드대 경영과학 박사학위를 받고 한국에 돌아와 에너지 및 환경경제 전문가로 활동해왔다. 엄 교수는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PCC) 5차 평가 보고서(AR5)의 제3 실무그룹 보고서 기여 저자로 참여, 정부와 민간 부문의 다양한 연구 프로젝트와 자문을 수행했다. 지난 4월 28일 카이스트 도곡캠퍼스에서 엄 교수를 만나 KEEP 과정에 대해 물었다. - KEEP 과정은 어떻게 시작되었나요. “기후 위기, ESG 경영, 탄소중립 등 여러 가지 변화를 맞닥뜨리면서 산업혁신을 이끌 수 있는 국가적 리더십의 부재를 느꼈습니다. 그간 한국의 산업 성장과 혁신을 이끌어온 카이스트가 보유한 기술과 경영, 정책 분야 교육의 강점을 살려 ESG 리더를 양성해보면 어떨까 하는 생각을 했죠. 카이스트 녹색성장대학원장과 지속발전센터장을 역임하며 어떤 커리큘럼으로 교육을 해야 ESG 리더를 배출할 수 있을지 계속 고민해왔습니다. 카이스트가 지닌 자원을 활용해 ‘기후 위기’라는 새로운 산업적 위기를 극복하는 데 기여하고자 합니다.

      2022.05.10 06:01
    • 주주 단기주의가 환경문제의 주범일까

      [한경ESG] ESG와 법 ⑧기후변화, 각종 불평등 같은 환경·사회문제의 원인을 주주 단기주의(short-termism)에서 찾아야 한다는 주장이 힘을 얻고 있다. 주주들이 회사의 분기별 매출이나 영업이익 같은 단기 실적을 중시하는 이상 경영진이 온실가스 저감이나 안전한 작업환경 조성, 친환경적 생산과정으로의 전환 등에 노력을 기울이기 어렵다고 보기 때문이다. ESG(환경·사회·지배구조) 논의는 기업과 우리 사회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목표로 하고, 투자자들이 장기적 시각으로 회사의 성장을 추구하는 것을 중요하게 생각한다. 따라서 주주 단기주의에 대해 부정적 입장을 취하는 경우가 많다.이사 의무에 지속 가능성 고려 포함 대표적으로 EU 집행위원회가 2020년 7월에 공개한 ‘이사의 의무 및 지속 가능한 기업지배구조에 관한 연구 보고서’는 회사의 의사결정권자들이 단기적 주주가치를 회사의 장기적 이익에 우선하고, 그 결과 기업활동의 경제·환경·사회적 지속 가능성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고 본다. 보고서는 단기주의의 원인으로 다음과 같은 7가지 문제점을 지적한다.① 이사의 의무나 회사 이익이 지나치게 좁게 해석되고, 단기적 주주 가치의 극대화를 장려하는 경향이 있다는 점, ② 행동주의 투자자(activist investors) 등 단기적 성향의 투자자 압력이 증가함에 따라 이사회가 장기적 가치 추구보다 주주에 대한 단기적 재무 수익에 치중하게 된다는 점, ③ 회사들이 지속 가능성에 대한 전략적 시각이 부족하고 현재의 실무가 지속 가능성 관련 리스크나 영향을 효과적으로 발견하고 관리하지 못한다는 점, ④ 이사의 보수 체계가 회사의 단기적 주주가치를 추구할

      2022.05.10 06:00
    • 강달러 충격…‘옐런 독트린’은 가능성 낮아

      [한경ESG] ESG와 경제 (사진 캡션 :  원달러환율이 장중 1270.10원까지 오르면서 최고치를 나타낸 4월 28일 서울 중구 하나은행 위변조대응센터에서 직원이 달러를 정리하고 있다. 연합뉴스) 원달러환율이 1250원을 넘어서면서 심한 변동성을 보이고 있다. 최근 원달러환율이 올라가는 것은 ‘원화 약세’라기보다 ‘달러 강세’라는 표현이 더 정확한 진단이다. 1년 전 미국의 소비자 물가상승률이 예상보다 높게 나온 인플레이션 쇼크 이후 달러인덱스는 14%, 원달러환율은 15% 정도 올랐다. 전 세계 통화 중 달러 가치가 유일하게 약세를 보인 통화는 중국 위안화다.달러 가치는 머큐리(mecury, 펀더멘털) 요인과 마스(mars, 정책) 요인에 의해 결정된다. 지난해 4월 이후 달러 강세는 머큐리 요인에서 비롯했다. 지난해 미국 경제성장률은 5.7%로 유로 5.2%, 일본 1.6%, 그리고 한국의 4%보다 높았다. 격차는 줄어들겠지만, 올해도 이 추세는 유지될 것으로 예상된다.하지만 올해 들어 달러 강세는 마스 요인이 더 강하게 작용하고 있다. 뒤늦게 인플레이션의 심각성을 인식한 미국중앙은행(Fed)이 출구전략(테이퍼링→금리인상→양적긴축)을 서두르고 있기 때문이다. 금융위기 이후 출구전략 추진 과정을 보면 테이퍼링을 처음 언급한 이후 양적긴축까지 4년이 넘게 걸렸으나, 이번에는 7개월로 단축될 가능성이 높다.인플레이션 우려로 Fed 출구전략 추진 Fed가 ‘성장 훼손’과 같은 부작용을 우려하면서도 급진적 출구전략을 추진하는 것은 이미 위험수위를 넘은 인플레이션이 광범위하고 오랫동안 지속될 것이라는 판단에서다. 지난 3월 소비자 물가상승률 8.5%는 목표선인 2%를 4배

      2022.05.10 06:00
    • “중소기업과 대기업의 긴밀한 ESG 협력 필요”

      [한경ESG] 대한민국 ESG 클럽 월례포럼중소기업에 ESG(환경·사회·지배구조)는 당장 직면한 과제처럼 보이지는 않는다. ESG 정보 의무 공시, 공급망 실사 모두 대기업부터 차례대로 요구되는 사항이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중소기업이 ESG를 왜 ‘지금’해야 하는가. 우태희 대한상공회의소 상근부회장이 지난 4월 27일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에서 열린 ‘대한민국 ESG 클럽’ 월례포럼에서 그에 대한 해답을 제시했다. 대한상공회의소가 한국생산성본부와 지난해 12월 실시한 ‘ESG 확산 및 정착을 위한 기업 설문조사’에 따르면 ESG가 중요하다고 답한 중소기업은 71.6%에 달했지만, 준비 수준이 미흡하다고 답한 중소기업이 48.1%로 절반에 가까웠다. 우 부회장은 설문조사를 기반으로 중소기업이 ESG를 해야 하는 이유로 4가지를 꼽았다. 첫 번째는 소비자의 변화다. MZ세대 10명 중 6명은 가격이 비싸더라도 ESG 실천 기업 제품을 구매할 의향이 있다고 밝혔다. 평균적으로는 2.5~5% 가격을 추가 지불할 의사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는 국내외 거래처의 요구다. 글로벌 공급망 실사 대응을 비롯해 ESG 대응을 제대로 하지 못하는 기업을 대상으로 거래 배제 같은 불이익을 주고 있다. 이에 따라 글로벌 글로벌 공급망 내에 있다면 중소기업 역시 규제 대응의 의무 여부와 무관하게 ESG에 대응해야 한다는 것이다. 세 번째는 ESG가 금융권의 요구사항이 되고 있다는 점이다. 은행권은 투자, 대출 등 금융거래 시 대상 기업에 ESG 사항을 준수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ESG 활동과 성과를 투자 및 대출 기준에 포함해 금리를 조정하는 지속가능성연계대출(SLL), 금융기업의 투

      2022.05.10 06:00
    • “인권은 ESG 모든 분야와 연결된 이슈”

      [한경ESG] ESG 클럽 월례포럼“인권은 ESG(환경·사회·지배구조) 중 어디에 속하는 주제인가요?” 인권경영에 대한 전 세계인의 관심이 높아지면서 국내 인권경영 현황 점검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이에 지난 3월 23일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에서 열린 ‘대한민국 ESG 클럽’ 월례포럼에서 이성훈 한국국제협력단 비상임이사가 인권경영에 대한 질문을 던졌다. 이 이사는 “현재 기업에서 인권경영을 ESG 중 어느 부분의 이슈로 보고 있느냐 물으면 대부분 사회 부문으로 분류한다. ESG는 기업, 인권, 지속 가능 개발 목표(SDGs)의 교차점에 있는 개념이므로 인권을 별개로 보기보다는 함께 연결해 이해해야 한다”고 말했다. 인권경영 핵심은 지배구조2011년에 발표한 ‘UN 기업과 인권 이행 원칙’에는 인권경영이 국가의 보호 의무와 기업의 인권존중 책임, 그리고 국가와 기업의 실효적 구제에 대한 접근을 실천하는 경영이라고 명시돼 있다. 국가는 보호 의무가 있으며, 기업은 이를 존중할 책임이 있다. 국가와 기업은 문제가 발생했을 때 사법적·비사법적 구제 수단을 제공해야 한다는 것을 명확히 한 것이다. 이전까지는 인권경영이 기업 자율 사항이었으나 법률로 의무화하는 추세가 확대되며 기업들이 인권경영 대응책을 마련하느라 분주하다. 국내에서는 대표적으로 포스코와 SK이노베이션이 ‘인권경영’을 명시한 가이드라인을 만들고 지속 가능 경영 내 인권 실사를 진행하고 있다.기업 내 인권을 정의하는 주요 용어는 범위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다. 유엔에서는 ‘기업과 인권(Business and Human Rights, BHR)’을, OECD에서는

      2022.04.12 06:01
    • 임박한 양적긴축…‘빚의 복수’가 시작된다

      [한경ESG] ESG와 경제 마침내 3월, 미국중앙은행(Fed) 회의에서 기준금리가 인상됐다. 시장의 관심은 앞으로 금리를 얼마나 더 올리느냐와 함께 지난해 12월 Fed의사록에서 검토된 ‘양적긴축(Quantitative Tightening, QT)’이 언제 시행될 것인가, 그리고 QT가 추진된다면 그 규모는 얼마나 될 것인가로 빠르게 이동하고 있다.Fed가 금리를 올린 것은 3년 만의 일이다. 초저금리와 풍부한 유동성으로 ‘돈의 향연’에 익숙해진 경제주체에게는 금리를 올리는 것 자체가 부담스럽다. 3월 회의 점도표대로 Fed가 추진한다면 올해는 7차례, 내년에는 4차례 더 올려 내년 말에는 미국의 기준금리가 최대 3%까지 올라갈 것으로 예상된다.더 무서운 것은 코로나19 사태처럼 비상국면에 추진된 비전통적 통화정책을 회수하는 출구전략(테이퍼링→금리인상→QT)의 마지막 단계에 추진되는 QT다. 금융위기 이후 출구전략은 2013년부터 테이퍼링을 추진해 2014년 10월에 종료하고 1년 2개월이 지난 2015년 12월에 첫 금리인상을 단행했다. 그리고 약 2년이 지난 2017년에야 QT가 추진됐다.이번에 출구전략 추진은 지난해 9월 Fed 회의 직전 테이퍼링을 처음 언급하면서 자연스럽게 논의되기 시작했다. 테이퍼링 추진을 놓고 Fed 내에서도 논쟁이 치열한 가운데 11월 회의에서는 금리인상 문제가 언급됐고, 그 후 한 달도 안 돼 열린 12월 회의에서 전혀 예상치 못한 QT가 검토됐다.코로나19 이후 인플레로 출구전략 급물살 금융위기와 달리 출구전략의 세 단계가 한꺼번에 거론되는 것은 코로나19 사태 이후 추진된 무제한 통화공급 정책의 숙취(hangover) 현상인 인플레가 심상치 않기 때문이다. 미국 매사추세츠주립대 이사벨라

      2022.04.12 06:01
    • ‘친환경 제품’은 모두 믿을 만할까

      [한경ESG] 환경경영 ABC ⑨기업의 환경 이슈가 생산공정에서 제품 중심으로 옮겨감에 따라 환경경영에서도 제품의 환경성에 더 많은 전략적 관심을 갖게 되었다. 정부, 소비자, 환경단체 등 주요 이해관계자의 제품 환경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기업으로서는 친환경 제품으로의 전환이 시급한 과제가 된 것이다. 친환경 제품의 중요성이 크게 부각된 배경으로는 제품에 대한 환경규제 강화, 기업 경쟁력 제고, 소비자의 제품 환경정보 요구 등을 들 수 있다.환경규제, 공정에서 제품으로1990년대부터 환경 성과를 개선하고 기업의 경쟁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공정 중심에서 제품 중심으로의 전략적 변화가 필요하다는 인식이 점차 확산했다. 이는 곧 여러 국가의 환경정책에도 반영되기 시작해 유럽을 비롯한 선진국의 환경규제가 공정 중심에서 제품 중심으로 폭넓게 변화해왔다. 대표적 제품 환경규제로는 EU의 에너지 관련 제품 친환경 설계 규정(ErP), 전기·전자 장비 폐기물 처리 지침(WEEE), 유해 물질 사용 제한 지침(RoHS), 폐차 처리 지침(ELV) 등이 있다. 이러한 제품 중심의 환경규제는 특히 자동차·전자 등 주요 산업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며, 관련 기업이 친환경 제품 개발을 핵심 경영 전략으로 삼게 되었다.친환경 제품 개발은 비용 절감이나 매출액 증대 등 경쟁력 향상에도 필수 요소가 되고 있다. 부품 수를 줄이거나 재활용 가능한 부품 사용, 유해 물질을 사용하지 않는 제품 생산 등으로 생산원가를 절감하고, 친환경 제품 개발·출시로 소비자의 적극적 구매 유도 및 친환경 이미지 제고, 선제적 제품 환경규제 대응으로 새로운 시장 선점이 필요하게 된 것이다. 여기에는 소비자의

      2022.04.12 06:01
    • “국내 첫 ESG 석사과정...다양한 선택과목 강점이죠”

      [한경ESG] ESG 교육 현장 – 서강대 경제대학원 ESG 경제 석사과정매주 화요일 저녁 7시, 서강대 경제관에서는 특별한 수업이 열린다. ESG(환경·사회·지배구조)에 관심 있는 직장인을 대상으로 한 서강대 경제대학원 ESG 경제 석사과정의 ‘ESG 개론’ 시간이다. 올해로 첫 기수 모집을 시작한 ESG 경제 석사과정에 지원한 수강생은 26명가량. 올해 경제대학원 총입학생 82명 중 30% 이상이 ESG 과정에 지원할 정도로 관심이 뜨겁다. 주임교수를 맡은 김홍균 교수는 공공경제과 환경경제를 전공했으며, 로체스터대에서 경제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김 교수는 국민경제자문회의 민생분과의장, 지속가능발전위원회 산업분과 위원장, 환경부 통합물관리 비전포럼 위원 등 공공경제 및 환경 분야 전문가로 활발하게 활동 중이다. 이번 ESG 석사과정에서는 ESG 개론 수업을 맡았다. 지난 3월 22일 서강대에서 김 교수를 만나 ESG 경제 석사과정에 대한 이야기를 들었다. - ESG 경제 석사과정은 어떻게 구성되었습니까.“ESG의 기반이 되는 환경·사회·지배구조를 과목으로 변환했습니다. 1학년 과정에서는 기초적 경제 분석 기법에 대한 교과과정과 ESG 개론을 함께 배웁니다. ESG 평가기관과 평가 방법상 차이점, ESG 관련 기준 동향을 배울 수 있는 과목 등으로 구성했죠. 공통 필수과목으로는 ESG 개론과 거시경제학, 미시경제학을 첫 학기에 수강하게 됩니다. 전공 필수 과정에는 ESG 평가방법론, ESG 세미나, ESG와 금융시장, ESG와 환경, 기업지배구조론, 노동정책론을 배정했습니다. 환경·사회·지배구조가 각각 경영·금융·경제 과정과 어떠한 관련성이 있는지 학습하는 교과과

      2022.04.12 06:00
    • “대출 기업 대상 ‘신한 ESG 등급’ 선보입니다”

      [한경ESG] 최강ESG팀 - 신한금융지주 ESG기획팀‘금융권 최초’. 신한금융지주의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을 소개하는 단골 문구다. 신한금융은 2020년 동아시아 최초로 금융자산 탄소중립 목표 ‘제로 카본 드라이브(Zero Carbon Drive)’를 선언했다. 지난해 11월에 열린 제26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6) 공식 행사 ‘마라케시 파트너십’에는 조용병 신한금융지주 회장이 유일한 아시아 민간 금융 대표로 초대받았다. 이뿐만이 아니다. 신한금융은 2015년 국내 금융기관 중 최초로 이사회 내 ESG전략위원회를 신설하며 일찍부터 ESG 경영 체계를 다져왔다. 신한금융의 ESG 업무는 2018년부터 전략기획 부문에서 담당해왔다. 그러다 2021년 1월 독립 부서인 ESG기획팀이 출범했다. 현재는 ESG기획팀을 중심으로 신한은행, 신한카드, 신한금융투자 등 그룹사의 ESG 전담 조직이 유기적으로 협력하며 신한금융그룹의 ESG 전략을 이끌고 있다. ESG기획팀의 주요 업무는 환경·사회 부문의 ESG 총괄 전략 설정과 그룹사 내 포트폴리오 조정, 전략 전달 및 실무반 운영, 전략 실행 지원 등이다. 올해 목표는 ESG기획팀이 베스트 프로젝트로 꼽는 제로 카본 드라이브의 적극적 실행이다. 금융기관의 탄소중립 전략의 핵심은 자산 포트폴리오의 저탄소전환이며, 이를 실행할 수 있는 체계가 구축되어야 할 시점이다.신한은 ‘금융 배출량(financed emissions)’ 측정치를 통해 구체적 감축 목표를 제시하는 등 실행에 방점을 둔 전략을 공개했다. 금융 배출량은 탄소회계금융협회(PCAF)에서 제공한 가이드라인을 기반으로 산출한다. 올해 기준 8만6300개사의 데이터를 확보, 각 그룹사가 배

      2022.04.12 06:00
    • ESG 공시제도, 6가지 점검 포인트

      [한경ESG] ESG와 법 ⑦주요 위험 업종에 투자를 배제하는 네거티브 스크리닝, 유망 종목을 골라 투자하는 포지티브 스크리닝, 비재무 정보도 투자 기준에 포함하는 ESG 통합(ESG Integration) 방식 등 다양한 ESG(환경·사회·지배구조) 투자전략이 연기금과 기관투자자에 의해 활용되고 있다. 기업의 ESG 성과에 따라 주주권을 행사하는 사례도 점점 늘고 있다.이러한 투자와 의결권 행사가 이뤄지기 위해서는 환경, 사회, 지배구조 등 기업의 ESG 성과에 대한 적절한 정보가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기업의 재무정보는 회계 기준을 바탕으로 작성되어 감사보고서나 사업보고서라는 수단을 통해 투자자에게 전달된다. 기업의 비재무정보에 대해서도 일정한 작성 기준과 적절한 정보의 전달 경로가 필요하고, 이를 정하는 것이 바로 ESG 정보공시제도다.ESG 정보공시제도는 ESG 투자의 핵심 인프라 역할을 수행한다. 재무정보 관련 공시제도와 비슷한 수준의 신뢰할 만한 ESG 공시제도가 구축되어야 ESG 투자금이 적절히 분배되고, ESG 정보를 활용한 주주 관여가 이뤄질 수 있다. 해외 주요 국가에서 ESG 정보가 과연 ‘중요 정보’에 해당하는지에 대한 논쟁이 일어나거나 여러 ESG 공시제도 방안을 발표하는 것도 이러한 이유에서다. EU에 비해 ESG 공시제도 구축에 다소 소극적이던 미국에서도 지난 3월 21일 증권거래위원회(SEC)가 기후변화 관련 사항에 대한 공시를 의무화하는 규정 초안을 통과시킴으로써 이러한 흐름에 동참했다.핵심 ESG 정보는 사업보고서에 넣어야반면 우리나라의 경우 ESG 공시제도의 수립과 내용에 대한 구체적 논의가 다소 부족한 것이 사실이다. 지난해 1월 금융위원회는 2025년까지 ESG

      2022.04.12 06:00
    • “공급망 관리, 국제 규범 수준으로 강화합니다”

      [한경ESG] 최강ESG팀 – LG생활건강 ESG팀LG생활건강은 2005년 차석용 부회장 부임 이후 17년 연속 성장세를 이어왔다. 지난해에도 매출 8조915억원, 영업이익 1조2896억원으로 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이러한 거침없는 성장의 기반에는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이 자리한다. 제품 개발 단계에서부터 환경을 고려하고 그것을 실제 제품과 브랜드로 표현해냈다. 미세 플라스틱을 사용하지 않은 섬유유연제를 시장에 내놓으면서 업계를 선도하고 종이 패키지를 적용한 샴푸 바, 가루 치약 등 새로운 제품을 통해 소비자를 설득하기도 했다. LG생활건강은 지난해 4월 ESG 위원회를 설립했고, 이어 12월에는 기존 CSR팀을 ESG팀으로 개편했다. 그동안 추진해온 ESG 중심 경영이 더욱 체계적인 사업 성과로 이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다. 온실가스 감축 선제 대응LG생활건강의 ESG 경영은 지난 2월에 선언한 ‘2050 탄소중립’ 목표로 구체화됐다. 향후 증설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량 증가분과 경제성장률을 고려한 과학적 분석 기법을 활용해 2050년까지 배출량을 예측하고 이에 따른 감축 계획을 수립해 선제적 대응에 나섰다. 성유진 LG생활건강 ESG팀장은 “아직 전국 사업장 중 온실가스 배출량이 많아 배출권 거래제를 적용받는 곳은 없지만 향후 청주TP 증설 등을 고려해 선제적으로 감축 활동에 나설 계획”이라고 말했다. ESG팀이 꼽은 LG생활건강의 강점은 비즈니스 활동 전반을 아우르는 체계적 ESG 운영 시스템이다. ESG팀은 4가지 전략을 토대로 ESG 경영을 실현한다. 영역별 ESG 체크리스트 관리 및 목표 설정, 제품생산 전 과정에 ESG 전략 포함, ESG 커뮤니케이션 강화와 성과 모니터

      2022.03.15 06:02
    • 환경경영의 첫 출발점 ‘ISO 14001’

      [한경ESG] 환경경영 ABC⑧환경경영을 처음 시작하는 기업이 가끔 접하는 의문이 하나 있다. 환경경영 시스템에 관한 국제표준규격인 ISO 14001을 구축해 유지하면 환경경영을 제대로 이행하는 걸로 봐도 되느냐 하는 것이다. 결론부터 말하면, 꼭 그렇다고 하긴 어렵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약 1만5000개 기업이 인증받은 것으로 추산되는데, 이 가운데 과연 몇 개 기업이 환경경영을 제대로 하고 있는지 생각해보면 그 답을 쉽게 찾을 수 있다.25년 전쯤 이 규격이 처음 제정·공표될 때만 해도 환경경영에 대한 경험이나 이론이 일천했고, 관련 전문가도 거의 없어 여러 어려움이 있었다. 하지만 이제는 상황이 많이 달라졌다. 그동안 환경문제에 대한 시각은 물론 기업을 둘러싼 이해관계자의 인식이나 행동이 크게 변했기 때문이다.환경경영 국제표준규격의 탄생환경경영 관련 국제표준규격인 ISO 14000 시리즈 제정 작업은 국제상업회의소(ICC)가 1991년 ‘지속 가능 발전을 위한 기업 헌장’을 선포하고 지속가능발전기업협의회(BCSD, WBCSD의 전신)와 공동으로 국제표준화기구(ISO)에 환경경영 국제표준 제정의 필요성을 제기하면서 시작되었다. ISO는 곧바로 국제전기기술위원회(IEC)와 공동으로 환경경영 국제표준의 필요성을 검토할 환경전략자문그룹(SAGE)을 설치했고, SAGE는 이듬해인 1992년 환경경영에 관한 국제표준 제정을 ISO에 건의했다. 제정 원칙은 첫째 환경경영의 통일된 접근 방법 개발 및 보급, 둘째 환경 성과 개선을 달성하고 측정할 수 있는 조직의 능력 배양, 셋째 환경을 빌미로 한 무역장벽 철폐와 국제교역 추진 등 3가지다. ISO는 1993년 환경경영에 관한 국제표준화 업무를 담당할 기술위원회(T

      2022.03.15 06:02
    • “ISSB 표준, 기후에 초점…선제적 대응 필요”

      [한경ESG] ESG 클럽 월례 포럼국제회계기준(IFRS) 재단이 지난해 말 만든 국제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ISSB)는 다수의 지속 가능성 사안 중 기후에 초점을 두고 공시 체계를 만들 예정이다. 국제회계기준위원회(IASB)와의 협력을 토대로 비재무보고(지속 가능성) 기준과 재무보고 기준의 연계를 꾀한다. 지난 2월 23일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에서 열린 ‘대한민국 ESG 클럽’ 2월 월례 포럼에서 문두철 연세대 경영학과 교수가 3월 말 발표할 예정인 ISSB 지속 가능성 정보공시 기준 초안에 따른 국내 기업의 대응책과 공시 기준 프로토타입 분석을 발표했다. IFRS 재단은 기준을 제정할 때 참고할 4가지 전략을 공개했다. 투자자 중심(investor focus), 기후 우선(sustainability scope, starting with climate), 국제 표준(global baseline), 기존 프레임워크 사용(building on existing frameworks) 등이다. 지속 가능성 공시 기준은 여러 이해관계자 중 투자자를 중심으로 구축된다. 또한 다수의 지속 가능성 이슈 중 대응이 시급한 기후에 초점을 맞춘다. 마련될 기준은 국제 표준선이며, 각 나라에서 국가 상황에 맞춰 수정해 채택하는 것을 허용한다. 현재 금융위원회는 ISSB 공시 기준을 전면 채택하겠다고 선언한 상태다. IFRS 재단 이사회는 지난해 3월 전문 기술준비실무반(TRWG)을 구성해 지난해 11월 ISSB 출범과 함께 2가지 프로토타입을 공개했다. IASB, 기후변화 관련 재무정보공개 태스크포스(TCFD), 기후공시기준위원회(CDSB), 가치보고재단(VRF), 세계경제포럼(WEF)이 프로토타입 작업에 참여했고 국제증권감독기구(IOSCO), 국제공공부문회계기준위원회(IPSASB)가 자문을 맡았다. 사실상 글로벌 리포팅 이니셔티브(GRI)를 뺀 모든 기관이

      2022.03.15 06:01
    • 우크라이나 침공, 제3차 대전으로 비화할까

      [한경ESG] ESG와 경제 지난해 11월부터 불거지기 시작한 우크라이나 사태의 전개 방향에 대해서는 크게 3가지 시나리오가 논의돼왔다. 하나는 이해당사국이 모두 참가하는 전면전으로 치닫는 ‘비관론’, 다른 하나는 민스크 협정과 핀란드식 중립화 해법에 따라 다시 평화를 찾는 ‘낙관론’ 그리고 두 시각의 중간지대인 ‘회색론’으로 국지전이 발생하는 경우다.당초 예상대로 세 번째 시나리오에 해당하는 우크라이나와 러시아 간 전쟁이 일어났다. 앞으로 제3차 대전에 해당하는 전면전으로 비화될 수 있느냐가 최대 관심사다. 다행인 것은, 과거 키프러스 사태와 마찬가지로 이번에도 ‘찻잔 속 태풍’에 그칠 것으로 보는 것이 아직까지는 지배적 시각이라는 점이다.찻잔 속 태풍은 2가지 의미로 해석된다. 우크라이나는 국제금융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국토 면적 등과 같은 하드파워 위상에 비해 크게 떨어진다. 최악의 경우 전쟁으로 우크라이나가 디폴트에 빠져도 국제금융시장에 미칠 영향은 미미하다는 뜻이다. 국제통화기금(IMF)과 미국중앙은행(Fed)이 나서지 않는 것도 이러한 판단에서다.우크라이나, 유라시아의 화약고 하지만 찻잔 속에 무엇이 담겼느냐에 따라 그 영향은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다는 뜻이기도 하다. 만약 뜨거운 커피가 들어 있는데 찻잔을 조금만 잘못 저으면 밖으로 튀어 뜻하지 않게 큰 피해를 입을 수 있다. 앞으로 우크라이나 사태와 관련한 국가들이 어떻게 이해관계를 조율해나갈지 주목되는 것도 바로 이 때문이다.우크라이나는 뜨거운 커피 그 이상이다. 지리적 특수성과 군사적 요충지로 ‘유라시아 화약고’라 불릴 만큼 분

      2022.03.15 06:01
    • ESG는 CSR·준법 경영과 왜 다른가

      [한경ESG] ESG와 법⑥ESG(환경·사회·지배구조)의 정확한 의미를 되짚어보자. 최근 몇 년 사이 ESG 열풍이 강하게 불다 보니 무엇인가 ‘좋은 일’을 하는 것이면 다 ESG 활동이라 부르고, 기업이라면 응당 지켜야 하는 환경법이나 공정거래법, 노동법, 상법을 내용에 따라 각각 환경·사회·지배구조로 나누어 이를 ESG 법령이라 지칭하기도 한다. 일반 기업과 달리 이익 추구가 주된 목적이 아닌 공공기관이나 지방자치단체도 ESG 경영을 실행하겠다고 선언하고, 머그잔 사용하기 캠페인이나 임직원들의 봉사활동, 기업의 기부 행위를 ESG 경영의 성과로 선전하기도 한다. 평소에 주장하는 내용을 ESG로 포장해 “ESG 경영을 위해서는 이러이러한 나의 주장을 받아들여야 한다”는 식의 내용도 흔히 보인다.그런데 이렇게 ESG라는 용어를 폭넓게 쓰다 보니 도대체 ESG가 무엇을 하자는 것인지 뚜렷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현장에서 들려오는 “ESG가 옛날에 하던 것과 무엇이 다른지 모르겠다”는 혼란스러움이나 “정부에서 ESG를 강조하니까 ESG 위원회도 만들고 ESG 경영 선포식도 하지만, 몇 년 이어지다 사그러들 것” 같은 비관적 말들은 ESG 논의의 의미와 배경이 무엇인지 제대로 인식되지 않아 나오는 것이다. ESG라는 것은 법률에 정해진 용어가 아니기 때문에, 모든 사람이 이를 같은 의미로 사용할 필요는 없다. 하지만 최근의 ESG 열풍이 단순한 보여주기에 그치지 않고 기업의 활동을 통해 인류가 직면한 다양한 환경·사회문제를 해결하자는 ESG 논의의 본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그 의미에 대해 다시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ESG’ 용어 남용 경계해야ESG란

      2022.03.15 06:00
    • “제품 안전과 환경, 균형점 찾느라 고민하죠”

      [한경ESG] 최강ESG팀 - 유한킴벌리 ESG·커뮤니케이션본부“저희 걱정보다 지구 걱정을 더 해요.” 전양숙 유한킴벌리 본부장이 유한킴벌리 ESG(환경·사회·지배구조)·커뮤니케이션 본부를 한마디로 요약했다. 유한킴벌리는 1996년 환경경영보고서 발행과 함께 환경경영을 선언했다. 이어 2000년부터 상생협력본부, 환경경영연구소, 지속가능경영본부 등이 생기면서 지속 가능성과 경영의 결합을 본격적으로 실행하기 시작했다. 이후 2020년 3월에는 비전 선포와 함께 환경경영 3.0 선언을 했다. 사회책임과 환경경영의 통합 본부가 설립된 지난해에 이어 올해 커뮤니케이션 업무를 강화하며 지금의 ESG·커뮤니케이션 본부가 탄생했다.지난해 이들의 첫 업무는 임원진을 대상으로 한 기후 위기 관련 교육이었다. 2021년 1월 취임한 CEO의 첫 요구 사항이었다. 비전도 바뀌었다. 이승필 환경경영워크그룹 리더는 “‘우리는 생활-건강-지구환경을 위해 행동한다’는 새 비전은 앞으로 유한킴벌리가 해야 할 전 지구적 실천 행동과 방향을 담고 있다”고 말했다. 본부 구성원들이 꼽은 유한킴벌리의 대표적 ESG 프로젝트는 ‘우리강산 푸르게 푸르게’다. 이 프로젝트는 1984년 유한킴벌리와 산림청 등 주요 이해관계자들이 모여 시작한 숲 환경 공익 캠페인이다. 유한킴벌리는 그동안 국공유림에 약 5400만 그루의 나무를 심고 가꾸었다. 해외에도 유한킴벌리 숲이 생겼다. 유한킴벌리는 2003년부터 시민단체 ‘동북아산림포럼’과 함께 몽골에 여의도 11배 규모의 유한킴벌리 숲을 만들었다. 지난해 진재승 사장 취임 이후에도 ‘우리강산 푸르게 푸르게&rsqu

      2022.02.15 09:41
    • 환경경영의 4가지 전략 포지션

      [한경ESG] 환경경영 ABC⑦환경경영에 대한 기본 이해를 바탕으로 구체적인 실행에 옮기기 위해서는 전략적 검토가 선행되어야 한다. 일반적 경영 전략과 마찬가지로 환경경영 전략이 필요하다. 경영 전략이 기업 이윤 극대화에 초점을 맞춰 경제적 수익성 제고를 우선한다면, 환경경영 전략은 기업의 환경 성과 제고와 경제적 수익성을 함께 고려해 수립하게 된다. 하지만 경영 전략 이행 과정에서 행해지는 대부분의 활동이 환경에 영향을 미치므로, 환경경영 전략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전략 수립 단계에서부터 환경성과 경제성을 동시에 고려하는 접근 방식이 필요하다. 전략 수립 시 환경성·경제성 고려전략적 환경경영은 환경 성과 개선을 기업의 이윤 증대로 연결하는 것이 핵심이며, 이는 환경 개선을 통한 기업의 전략적 경쟁우위 확보로 가능하다. 실제로 환경경영은 다양한 방식으로 기업에 전략적 경쟁우위를 가져다줄 수 있다. 환경경영에 의한 원가절감과 제품 차별화는 시장 경쟁력을 높이는 핵심 수단이다. 생산공정에서 에너지를 적게 사용함으로써 생산비용을 절감하고 지구온난화 방지에도 기여할 수 있다. 환경문제가 적은 제품 개발로 친환경 소비를 늘리거나 강화되는 환경규제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도 있다. 환경경영 전략 수립의 첫출발은 해당 기업의 환경에 대한 입장을 설정하는, 즉 전략적 포지셔닝을 하는 것이다. 이는 시장 특성과 기업활동의 환경 민감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기업의 전략적 포지션 유형을 환경경영을 통한 시장 확대 가능성과 기업활동으로 인한 환경오염 정도라는 2가지 관점에서 도식화하면 다음과 같다.여기서 ‘무관심형&rsq

      2022.02.15 06:01
    • 쏟아지는 ‘테일 리스크’…ESG 경영이 답

      [한경ESG] ESG와 경제 또 다른 10년, 2020년대를 맞아 지난 2년간 코로나19 사태로 엄청난 충격을 받은 만큼 2022년 임인년에는 “좀 더 나아지지 않을까” 하는 희망이 그 어느 때보다 간절했다. 하지만 연초부터 세계경제는 코로나19 외 또 다른 테일 리스크(tail risk)가 발생하면서 증시와 암호화폐 시장을 중심으로 심한 몸살을 앓고 있다.통계학에서 자연·사회·정치·경제 현상은 평균치를 중심으로 대칭을 이루고, 평균치에서 멀어질수록 발생률이 낮아지는 종 모양의 정규 분포로 설명한다. 하지만 발생률이 적은 현상이 나타나면서 빈도가 정규 분포가 예측하는 것보다 훨씬 커져 꼬리가 두꺼워질 경우 테일 리스크가 발생한다.세계 곳곳에서 테일 리스크 발생테일 리스크로 가장 먼저 꼽는 것이 세계경제가 장기 불황에 빠질 가능성이다. ‘R(경기침체)’ 공포를 넘어 ‘D(디플레)’ 공포가 빠르게 확산된다는 의미다. 세계경제는 현재 인플레와 금리가 올라가지만 궁극적으로 성장률과 함께 마이너스 국면에 빠지는 ‘3M(triple minus)’ 시대가 닥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3차 대전에 대한 우려는 전형적인 롱테일 리스크에 해당한다. 미‧중 간 경제 패권 전쟁이 벌어지는 가운데 각국의 보호주의와 이기주의, 극우주의 세력 득세, 중남미 지역의 핑크 타이드 물결 등으로 지금의 상황이 2차 대전 직전과 흡사하다고, 영국의 사디크 칸 런던 시장은 경고했다.미국 경제의 팻 테일 리스크는 조 바이든 대통령의 탄핵과 제2의 도널드 트럼프 정부가 재탄생될 것인가 여부다. 지난 1월 20일부로 취임 1주년을 맞은 바이든 대통령은 국민의 지지도를 좀처럼 끌어올리지 못하고

      2022.02.15 06:01
    • 속도 내는 EU ‘핏 포 55’ 패키지

      [한경ESG] 정책 동향유럽연합(EU)이 온실가스를 55% 줄이기 위한 입법안에 속도를 내고 있다. 지난해 7월 15일에는 1990년 대비 55% 감축 목표 달성을 위한 정책(Fit for 55) 패키지를 발표했다. 2030년 탄소배출량 감축 목표를 40%에서 55%로 상향 조정한 이 법안은 법률 재정비를 통한 전략을 담고 있다. 그동안 수차례의 의견 수렴을 거쳐 지난해 12월 16일 두 번째 패키지를 발표, 올해 입법안을 상정하기 위한 잰걸음을 보이고 있다. 여기에는 가스 시장 규칙 개정, 메탄가스에 대한 규정 강화, 건물과 운송의 에너지 성능 개선 등이 포함된다.EU 집행위원회가 지난해 발표한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핏 포 55’ 입법안은 탄소가격 결정 3개, 감축 목표 설정 4개, 규정 강화 4개와 사회 기후 기금(social climate fund)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법안은 배출권 거래제 강화, ‘탄소국경조정제도(carbon border adjustment mechanism)’ 도입, 내연기관 규제, 에너지 관련 지침 개정을 담고 있다. 이 가운데 핵심은 탄소국경조정제도로 EU로 수입되는 제품에 대해 EU 수준의 강력한 환경규제를 적용하는 것으로 철강, 시멘트, 알루미늄, 비료, 전력에 대해 내년부터 시범 운영하고 2026년부터 전면 시행할 예정이다. 법안에 따르면 역내 수입업자는 수입품의 탄소배출량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배출권을 구입해야 한다.패키지 2, 가스·메탄 등 내용 추가 ‘핏 포 55’ 패키지는 2050년까지 어떻게 기후 중립을 달성할 것인가라는 고민에서 출발했다. 이 목표에 도달하려면 비용 효율적이면서도 공감대를 확산하고 회원국의 저항이 작도록 설계가 필요하다. 그래서 핏 포 55는 기후, 에너지·연료, 운송, 건물, 토지이용, 임업

      2022.02.15 06:00
    • “수출 중소기업 ESG 역량 강화 적극 지원”

      [한경ESG] 대한민국 ESG클럽 월례포럼“K-ESG(환경·사회·지배구조) 가이드라인은 국내 기업의 인식 제고를 위한 참고 자료일 뿐이다.”최남호 산업통상자원부 산업정책관이 지난 1월 19일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에서 열린 ‘ESG클럽 월례포럼’에서 K-ESG 가이드라인을 둘러싼 기업의 우려에 이렇게 답했다. K-ESG 가이드라인은 ESG 경영이 낯선 중견·중소기업이나 ESG 경영과 관련한 여러 기준의 혼선을 줄이기 위해 지난해 12월 정부 주도로 발표한 가이드라인이다.최 정책관은 “지난해 ESG와 관련해 가장 많이 등장한 단어는 아마 공급망일 것이다. 공급망의 트렌드를 살펴보면 공급망 내 부가가치 창출 방식의 변화를 찾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글로벌 차원의 생산 체제가 늘어나면서 한 제품의 라이프 사이클은 비단 한 국가나 한 기업만의 문제가 아니게 됐다.핵심 과제로 떠오른 공급망 ESG 관리이러한 공급망과 관련한 국내외 주요 동향으로는 ESG의 규제화가 꼽혔다. EU는 500인 이상 기업을 대상으로 ESG 정보 공시 의무화, 공급망 실사 의무화 등 법제화 단계를 거치고 있다. 영국 역시 올해부터 기후 관련 재무정보공개를 의무화한다. 독일은 지난해 6월 공급망 실사법안을 의결하고 내년 1월 시행을 앞두고 있다. 미국의 경우 기후변화, 공급망 ESG, 재생에너지, 다양성·평등성 등을 기반으로 한 여러 행정명령이 시행되고 있다. 미국은 비교적 자율적인 법령 준수 움직임이 특징이다. 공급망 전반에서 최상단에 자리한 IT 기업을 대상으로 ESG 확장이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투자 차원에서도 ESG의 영향력은 크다. 투자자들은 투자에 ESG를 활용하고 있으며,

      2022.02.15 06: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