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시장에서 ‘꿈의 신소재’로 불리는 그래핀 관련주가 동반 폭등하고 있다. 코스닥시장에서 국일제지가 자회사에서 개발한 그래핀 기술이 구글로부터 관심을 받는다는 소식으로 열흘 만에 다섯 배 뛰면서 불이 붙었다. 국일제지가 투자위험종목으로 지정됨에 따라 거래가 정지된 지난 10일에는 대창, 상보, 엘엠에스, 대유에이피, 휘닉스소재, 오리엔탈정공 등 그래핀 테마주 6개 종목이 동반 상한가를 기록하기도 했다. 이같이 ‘묻지마 투자’ 조짐이 일자 학계에서는 기술 공개 검증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그래핀 기술에 대한 시장 오해가 커질 것으로 우려하기 때문이다. 흑연을 원료로 하는 그래핀은 구부러져도 강도나 특성이 변하지 않고 전류 전달 속도가 빨라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등에 폭넓게 쓰일 수 있다.
그래핀 학계 “기술 검증하자” 제안

12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홍병희 서울대 화학부 교수는 국일제지 측에 그래핀 기술 공개 검증을 요구했다. 홍 교수는 국내 그래핀 학계의 선구자로 꼽히는 인물로 2012년 서울대 창업 벤처기업인 그래핀스퀘어를 설립하기도 했다. 그래핀스퀘어는 그래핀 대량생산장비 공급을 목표로 폭 40㎝, 길이 100m 평면 그래핀 생산기술을 갖고 있다.

국일제지는 지난 1월 기업설명회(IR)에서 자회사 국일그래핀 기술을 그래핀스퀘어 기술 등 기존 기술과 비교해 설명했다. 당시 △기존 기술 공정(전사공정) 없는 방식으로 무결점 그래핀 완성 △간편하고 축소된 제조공정으로 낮은 제조원가 △대면적 그래핀 상용화 가능 등을 차별화된 강점이라고 소개했다.

홍 교수는 국일제지 측 IR이 사실을 호도하고 있다고 반박하고 있다. 그는 “국일제지의 그래핀 기술은 연속적인 그래핀 필름이 아니라 20마이크로미터(㎛) 크기 점으로 이뤄진 기술”이라며 “대면적 그래핀이 아니라 오히려 초소형 그래핀이고 실질적인 응용이 불가능하다”고 지적했다. 이어 “국일제지 측이 양산 근거로 내놓은 롤투롤(roll-to-roll) 화학기상증착(CVD) 설비도 금속을 증착하는 장비지, 그래핀 합성장치가 아니다”고 덧붙였다. 홍 교수는 “학계가 참여하는 공개 기술 검증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래핀 전문가인 신현석 울산과학기술원(UNIST) 저차원탄소혁신소재연구센터장(교수)도 “국일제지 자료엔 기술적인 수준을 판단할 데이터나 근거가 안 보인다”며 “무결함 그래핀이라는 건 지나친 과장 광고”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논문에 나온 원천 기술을 상용화하려면 상당한 기술적 진보가 필요하고 시간도 오래 걸린다”고 했다.

국일제지 스톡옵션 700% ‘대박’

국일제지가 100% 자회사 국일그래핀을 설립(자본금 5억원)한 건 지난해 11월이다. 국일그래핀 기술은 윤순길 충남대 재료공학과 교수의 논문에 근거를 두고 있다. 윤 교수는 전사과정 없이 대면적 그래핀을 저온(약 150도)에서 만들어냈다며 특허를 받았고, 이를 국일그래핀에 기술이전했다. 홍 교수는 지난 8일 윤 교수에게 이메일을 보내 국일제지의 기술 홍보 문제를 지적했다고 전했다. 이에 대해 윤 교수는 “국일그래핀 대표가 홍보를 한다며 기존 그래핀과 비교해달라고 해서 전사공정(그래핀 공정)이 필요 없다는 내용을 만들어 준 것”이라며 “회사 대표가 어떤 내용을 갖고 어떻게 진행했는지는 잘 모르고 회사에서 이뤄지는 일에는 전혀 관심이 없다”고 답한 것으로 전해졌다.

국일제지 주가는 지난달 23일부터 급등하기 시작했다. 8인치 플라즈마 화학기상증착 기술 시연회에 구글 엔지니어가 참석했다고 밝히면서 이튿날부터 급등세를 탔다. 지난 9일엔 4965원까지 올랐다. 지난달 24일 이후 384.3%나 폭등했다. 국일제지 측은 12일 자사 홈페이지에 “최근 주가 단기 급등으로 인해 우려스러움이 있다”며 “투자자께서는 각별히 유의하시기 바란다”고 공지사항을 띄웠다. 하지만 국일제지 임원은 기술 공개 검증과 관련한 기자의 질문에 답변을 거부했다.

국일제지 임직원 6명은 주식매수선택권(주당 600원)을 행사해 신규 주식을 취득했다. 1인당 20만 주씩 총 140만 주(현재 발행주식 수의 1.2%)를 취득했다. 2016년 임시주주총회에서 임직원에게 부여됐던 스톡옵션이 이번에 모두 행사된 것이다. 이날 기준으로 평가차익은 1인당 8억7300만원, 수익률은 727.5%로 추정된다. 수익 실현은 신주 상장 예정일인 오는 17일부터 가능하다.

고윤상/김동현 기자 kys@hankyung.com